View : 681 Download: 0

디지털 성범죄의 현황과 법제 개선방안 연구

Title
디지털 성범죄의 현황과 법제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urrent Status of Digital Sex Crime and Methods to Improve Legislation
Authors
고현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미
Abstract
디지털 성범죄는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약 30년 동안 우리 사회에 상존해왔으나 그 심각성과 불법성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이런 무관심 속에서 디지털 성범죄는 각종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화·악성화·산업화 되었다. 그러나 최근 ‘n번 방 사건’등으로 디지털 성범죄 피해의 심각성과 산업성이 가시화되면서 그 대응을 위해 관련 법제의 정비가 급하게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성범죄의 개념을 젠더폭력적 속성과 탈 시공간적 특성, 산업성을 근거로 광의로 정의한다. 이러한 개념 정의를 통해 디지털 성범죄의 유형을 비동의촬영·유포 외에도 개인 이미지 합성·편집, 온라인 성적 괴롭힘, 온라인 그루밍, 불법촬영물 등에 대한 소비, 유포 협박으로 구분한다. 또한 디지털 성범죄를 근절하는 데에 있어서 범죄행위에 대한 처벌만큼이나 불법촬영물 등의 유통에 관한 규제도 중요하다는 것에 근거하여 디지털 성범죄와 관련된 주요 법률인 성폭력처벌법과 청소년성보호법, 전기통신사업법과 정보통신망법을 처벌과 규제를 기준으로 검토한다. 현재 디지털 성범죄는 피해자의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으며, 온·오프라인에서의 가해의 유기성과 정보통신 기술을 통한 집단성으로 인해 복합적이고 지속적인 피해 양상을 보이며, 불법촬영물 등에 대한 꾸준한 소비로 인하여 비동의촬영·유포행위가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현황과 특성을 반영하여 현행 성폭력처벌법과 청소년성보호법은 그간 성폭력범죄로 처벌되지 않았던 유형까지 디지털 성범죄로 포함하여 처벌 범위를 확대하고, 법정형을 상향했다. 전기통신사업법과 정보통신망법은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에게 불법촬영물 등의 유통방지 의무를 부과하고, 의무를 이행하는 방식과 이에 사용할 기술 등에 관하여 상세히 규정하였으며, 위반행위에 대한 각종 벌칙을 규정함으로써 불법촬영물 등이 정보통신망서비스를 통해 유통 및 유포되지 않도록 보다 강력하게 규제하였다. 이렇게 처벌과 규제라는 두 방식으로 디지털 성범죄를 대응하는 것은 각 유형의 가해자를 처벌하는 것뿐만 아니라 불법촬영물 등의 유통과 소비 구조를 붕괴시킨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그러나 성폭력처벌법 제14조 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신체’라는 구성요건은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음란’개념에 기초하여 위 구성요건을 해석하기 때문에 본 죄의 보호법익인 ‘성적 대상화되지 않고 함부로 촬영당하지 않을 자유로서의 성적 자기결정권’이 침해되었음에도 음란하지 않다는 이유로 가해자가 처벌되지 않는 한계가 있으며, 동시에 피해자의 피해 경험이 ‘성적 수치심’을 느끼는 경험으로만 한정하기 때문에 왜곡된 피해자다움을 강요하는 한계가 드러난다. 따라서 ‘음란’이라는 개념이 아닌, 본 죄의 보호법익에 근거하여 구성요건을 해석하고, ‘성적 수치심’이라는 단어는 ‘성적 불쾌감’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동법 제13조 통신매체이용음란죄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현행법상 온라인 성적 괴롭힘을 성폭력범죄로 처벌하고 있는 유일한 조항이지만, 표제어와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 유발’이라는 구성요건의 해석을 ‘음란’에 근거함으로 인해 온라인 성적 괴롭힘의 성차별적이고 젠더폭력적인 속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최근 온라인 성적 괴롭힘은 피해자에게 전달하지는 않되, 피해자의 개인정보를 게시하여 심각한 수준의 성적 가해를 하는 양상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방에게 도달’이라는 구성요건이 충족되지 않아 처벌의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온라인 성적 괴롭힘의 속성을 가시화하고 최근의 가해 양상을 반영하기 위해 통신매체이용음란죄를 ‘통신매체 이용 성적 괴롭힘’으로 개정하고, ‘성적 수치심’은 ‘성적 불쾌감’으로 대체하고, 제2항을 신설하여 통신매체를 통하여 ‘성적 불쾌감이나 혐오감 유발’하는 표현을 상대방에게 도달하게 하지 않았으나, 그 표현에 피해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하여 게시한 경우에도 처벌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밖에도 위와 같이 정비한 처벌법과 규제는 당연히 국외 사업자에게도 적용되어야 한다. 특히 불법촬영물 등을 유통하는 해외 성인사이트와 해외의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가 운영하는 플랫폼을 통해 발생하는 디지털 성범죄는 경찰 수사가 어려운 점 때문에 처벌의 사각지대로 남기 쉽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유럽 사이버범죄방지협약과 제2차 추가의정서의 가입 및 비준함으로써 국제공조수사력을 확대해야 한다. ;Digital sex crimes have existed in our society for about 30 years from the 1990s until the present. However, its seriousness and illegality were not recognized properly. In this indifference, digital sex crimes have been diversified, malicious, and industrializ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The recent ‘Nth Room’ incident caused an urgent reorganization of related digital sex crime laws. In this thesis, the concept of digital sex crime is a broad concept. It is based on the gender-violent nature, continuous damage, and industrialization. Types of digital sex crimes include online sexual harassment, non-consensual filming· dissemination, personal image synthesis, consumption of illegal filming, online grooming, and threats to dissemination. In addition, major laws related to digital sex crimes, such as the Sexual Violence Punishment Act, the Child Sexual Protection Act, the Telecommunication Business Act,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are reviewed. The current law responds to digital sex crimes with a focus on punishment and regulation. Currently, the age of victims of digital sex crimes is getting lower. The damage is persistent and complex because it occurs through ICT. With steady consumption of illegal filming, digital sex crime has become an industry. In order to reflect these current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the Sexual violence Punishment Act and the Child Sexual Protection Act expanded the scope of punishment and raised the statutory sentence. Also, the Telecommunication Business Act,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impose obligations on ISP to prevent the distribution of illegal filming, provide detailed regulations on how to fulfill their obligations and the technology to be used therefor, and stipulate various penalties for violations. Responding to digital sex crimes in these two ways, punishment and regulation, is effective in that it not only punishes each type of perpetrator, but also disrupts th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structure of illegal filming. Nevertheless, a few things need to be improved. First, the elements of Article 14 of the Sexual Violence Punishment Act should be improved. ‘Body that can induce sexual desire or shame’ was interpreted as an obscenity. Because of this, despite the violation of the “sexual freedom not to be sexually objectified and not to be photographed indiscriminately”, there is a limit that the perpetrator is not punished because the filming is not obscene. At the same time, there is a limit to forcing a distorted victimhood by limiting the victim's experience of harm to only the experience of feeling 'sexual shame'.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interpret the elements of Article 14 based on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rather than the concept of obscenity. In addition, the word ‘sexual shame’ should be replaced with the word ‘sexual discomfort’. Second, Article 13 of the Sexual Violence Punishment Act should be improved. The sexist and gender-violent nature of online sexual harassment is not well revealed because the interpretation of the ‘inducing sexual shame or disgust’ is based on ‘obscenity’. and the headline of Article 13 include ‘obscene’. In addition,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by posting personal information of victims and harming them, while do not deliver online sexual harassment to victims. Even though the damage caused by the exposure of the victim's personal information is serious, the elements of 'reaching the victim' is not met, so there is no punishment. Therefore, the headline of Article 13, 'Obscene of using communication media' should be amended to 'Sexual harassment of using communication media'. Also, the ‘Sexual shame’, which is a elements of Article13, should be replaced with ‘sexual discomfort’. Lastly, it should be considered to punish even if an expression that 'induces sexual discomfort or disgust' is not made to reach the victim through the communication media, but the victim's perso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expression. Third, the punishment laws and regulations revised as above should be applied to overseas ISP as well. In particular, overseas porn sites that distribute illegal filming and digital sex crimes occurring through overseas platforms are easy to avoid because police investigations are difficult. Therefore, it must accede to and ratify the Convention on Cybercrime and the Second Additional Protocal to improve Mutual Legal Assist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