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2 Download: 0

심미적 관심 기반의 현대시 비평교육 연구

Title
심미적 관심 기반의 현대시 비평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ritical Education of Modern Poetry based on Aesthetic Interest
Authors
문선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이 논문은 문학의 본질을 심미적 경험으로 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시교육이 설계되어야 한다는 목표 아래 현대시 비평교육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심미적 경험을 가능하게 만드는 관심의 개념과 함께 현대시 비평 활동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심미적 관심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해 고전 미학에서 논의되어 온 이해 관심과 심미적 경험과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고전 미학에서는 사심이 없는 무관심적 태도만을 심미적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으로 상정하였기 때문에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기에는 부적절한 측면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심미적 경험의 본질이 주체가 대상에 대해 자각하는 아름다움에 대한 느낌에 있다고 보고, 주체가 형성한 인식과 정서에 기반한 심미적 관심의 개념을 아름다움의 체험을 위한 전제로 상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문학을 통한 심미적 경험이 대상에 대한 가치 판단 활동인 현대시 비평 활동을 통해서 적절하게 추구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를 위해 비평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을 수행하고, 현대시교육에서 추구해야 하는 비평의 특징을 주관적 가치와 보편적 능력의 지향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문학교육 현장에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현대시 비평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 대상으로서의 현대시에 대한 경험과 비평 활동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경험의 의의를 도출하였다. 이렇듯 비평에 대한 관점 전환을 통해 심미적 관심 기반의 현대시 비평의 특성을 ‘감각적 체험을 통한 관심의 형성’, ‘심미적 관심 대상에 대한 관계 설정’, ‘심미적 관심의 표현을 통한 소통의 모색’으로 구체화하였다. 이후 현대시 비평의 특성을 바탕으로 전문가의 비평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이는 전문가가 수행하는 비평 활동의 구조를 학습자에게 그대로 적용하려는 것이 아니라 현대시 비평교육의 관점에서 유효한 현대시 비평 활동의 양상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이로써 심미적 관심 기반의 현대시 비평의 양상은 ‘감각의 인식을 통한 심미적 사유 주체의 형성’, ‘텍스트 관계 형성을 통한 심미적 경험의 구체화’, ‘자기표현적 언어를 통한 심미적 소통의 추구’로 구체화되었다. 이러한 이론적 전제와 양상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심미적 관심 기반의 현대시 비평교육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다만 아직까지 교육 현장에서 현대시 비평에 대한 개념과 그 실천 경험이 충분히 누적되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을 통해 현대시 비평의 교육 방안을 곧바로 도출하기보다는 가까운 미래에 실천될 교육을 위해 학습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심미적 관심 기반의 현대시 비평에 대한 학습자의 현재적인 실천 양상을 보여주는 지표일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실제 비평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규명함으로써 현대시 비평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에 최종적으로는 학습자가 현대시 비평의 수행 과정에서 경험할 수 있는 난관을 도출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현대시 비평교육의 지향을 도출하였다. 학습자 비평 활동의 결과는 현대시 비평교육의 설계를 위한 직접적인 근거로 작용하였다. 우선적으로는 심미적 관심을 조정하여 현대시에 대한 가치 판단을 수행하는 인간상이 지니는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심미적 관계 형성을 통해 성장을 추구하고, 주체적인 시 수용을 통해 문학 향유를 실천하는 인간상을 교육의 목표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심미적 관심 기반의 현대시 비평교육의 내용을 도출하였다. 이는 비평 활동이 가치 판단이라는 신념의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이념적 지향이 아닌 실제의 문학 활동으로 구성되었을 때 비로소 심미적 경험을 통한 학습자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현대시 비평교육의 내용은 ‘심미적 관계 형성을 위한 대화적 시 텍스트 수용’과 ‘심미적 언어 생성에 기반한 시 텍스트 가치의 표현’의 측면에서 구체화되었다. 이 연구는 중등학교에서 적용될 수 있는 현대시 비평 활동을 심미적 경험으로 구체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미학에서 논의된 내용들을 교육적인 목적으로 재구성하여 심미적 관심이라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학습자들은 자신의 심미적 관심에 주목하고, 그를 조정함으로써 현대시에 대한 가치 판단 활동을 구체화하게 된다. 이러한 논의는 주관적 인식에 기초한 비평의 교육적 가능성을 시사할 뿐만 아니라 현대시교육에서 비교적 원활하게 실천되지 못하고 있는 비평교육의 영역의 위상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considers the essence of literature as an aesthetic experience and attempted to draw out a plan for critical education about modern poetry under the goal that modern poetry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For this purpos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riticism activity on modern poetry is required as well as acknowledging the concept of interest that makes aesthetical experience possible. In order to present the concept of aesthetic interes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est in understanding and aesthetic experience, which has been discussed in classical aesthetics. A disinterested attitude is inappropriate to apply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even though classical aesthetics presupposes that the disinterested attitude is the only condition that enables aesthetic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thinks that the essence of aesthetic experience is in the feeling of beauty when the subject is aware of the object. Moreover, the concept of aesthetic interest formed by the subject’s perception and emotion is regarded as a premise for the experience of beauty. In addition, this study observed that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literature can be pursued through the criticism activities on modern poetry including valuation activities for objects. To this end, t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the concept of criticism and point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criticism that should be achieved in modern poetry education are the orientation of subjective value and universal ability. Furthermore, in order to establish the status of modern poetry criticism that has not been activ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literature education, this study derived the meaning of experience while regarding the experience on modern poetry as the object and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criticism activity. Henc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oetry criticism based on aesthetic interest were specified into three ways: ‘forming the interest through senses,’ ‘setting a relationship of aesthetic interesting objects’ and ‘find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expression of aesthetic interest’ through the conversion of viewpoint on the criticism. After that, the study analyzed some experts’ criticism texts follow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oetry based on aesthetic interest. It is not intended to apply the structure of criticism activity performed by experts to learners, however, it aimed to draw out an effective criticism activity on modern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ism education on modern poetry. By doing so, the aspects of criticism on modern poetry based on aesthetic interes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ormation of aesthetic thinking subject via the perceptions of senses,’ ‘the materialization of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e formation of text relationship’ and ‘the orientation of aesthetic communication through self-expressive language.’ Ultimately, this study tried to design an aesthetical-based criticism education on modern poetry through several theoretical premise and aspects analysis. Currently, the concept of criticism on modern poetry and its practical experience have not been sufficiently accumulated in the educational field. Thus, this study conducted a learner-target survey for the future education rather than focusing on an immediate educational plan for the criticism on modern poetry. It not only indicates a learner’s current practice pattern of the criticism on modern poetry based on aesthetic interest but also implicates the importance of the criticism education on modern poetry by revealing learners’ actual problems in their criticism activ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defined the expected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the criticism performance on modern poetry and suggested the goal of the criticism education on modern poetry to supplement learners’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of criticism education on modern poetry based on learners’ criticism activities, this study tended to clarify the meaning of human image in terms of performing the valuation on modern poetry by adjusting its aesthetic interest. The human image is the basis to achieve the goal of criticism education on modern poetry based on aesthetic interest. Moreover, in order to pursuit the goal, this study presented the contents of criticism education on modern poetry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of the educational field mostly the criticism on modern poetry based on aesthetic interest. This study aimed to specify the criticism activity on modern poetry as an aesthetic experience to be applied in middle school. Therefore,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contents that have been discussed in the past studies about aesthetics for educational purposes to draw out the factor of aesthetic interest. When learners pay attention to their own aesthetic interest, they are able to specify their valuation activities on modern poetry. This discussion is significant not only it implies the educational possibility of criticism based on subjective perception but also it can raise the status of criticism education that is not actively employed enough in modern poetry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