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기술 향상을 위한 사회적 상황 기반 음악극 적용 사례

Title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기술 향상을 위한 사회적 상황 기반 음악극 적용 사례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Social Context-Based Music Drama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uthors
모세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가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construct a social context-based music drama for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to examine its applicability to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nstructed the music drama to meet the unique communication needs of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SD. The primary features of the music drama include the choice of social situations where children with ASD commonly experience interaction with their peers at school (e.g., greeting, following class rules, and resolving conflicts with their classmate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entire structure of the music drama based on such situations. In addition, the target behavior or expression experienced as singing or jointly participating in music activities wer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rapeutic effects such as understanding social situations and strengthening positive emotions in social situations. The participants were a group of thre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SD with an average age of 9, and the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40 minutes, and 8 sessions total. For the measurement,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were observed and analyzed in terms of sharing and adjusting their opinions and voluntary interaction with peers and an adult (i.e., researcher) through videos filmed every session. And also, Social Skill Rating System (SSRS) was rated by their teacher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to find out the changes in daily life and compare them. As a result, as the music drama program progressed, the frequency of sharing opinions and adjusting them with peers and the voluntary interaction behavior toward an adult (i.e., researcher) increased in all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the participants in voluntary interaction behavior toward peers and sharing and adjusting opinions with an adult (i.e., researcher). Participants A and C showed an increase in sharing and adjusting their opinions with an adult, but for B,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voluntary interaction with peers, A and C showed fluid changes by sessions, but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B. As a result of the SSRS, the scores of all participants' self-assertion and cooperation areas increased sligh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context-Based music drama structure based on understanding the situation, inducing target behavior and expression through music activities, and generalization through role-playing, may draw the positive changes in voluntary communication with peers and appropriate expressions. Contrary to these positive possibilities, the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the participants observed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considering the level of social skills or language development of ASD children in applying music drama can be an important factor.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have significance as basic data in expanding the scope of intervention that can improve social communication of ASD children and presenting multilateral strategies.;본 연구는 고기능 ASD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황 기반 음악극을 적용하여 음악극에 참여한 아동이 의사소통기술에 있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의사소통기술을 적용하거나 응용해야 하는 고기능 ASD 아동의 고유한 필요에 부합한 중재로서 음악극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사회적 상황을 배경으로 활용한 점이 특징적인 본 연구의 음악극은 ASD 아동이 학교에서 보편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5개의 사회적 상황(인사하기, 학급의 규칙 지키기, 또래 간 적절한 상호작용, 실제적 놀이상황에서의 의견 공유 및 조율 행동, 갈등 해결하기)을 음악극의 배경으로 선정하여 해당 상황이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구조로 대사와 역할극, 음악 활동 등을 구성하였다. 또한 목표 표현이나 행동을 노래 부르기의 형태로 경험하게 하거나 음악극 중간 대상자 간 공동으로 참여하는 음악 활동 등을 포함함으로써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 사회적 상황에서의 긍정적 정서 강화 등의 치료적 효과를 고려하여 음악의 요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평균 연령 9세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3명으로 음악극 중재는 주 2회 40분씩 총 8회기 그룹 중재로 진행되었다. 음악극 참여 전후 대상자의 의사소통기술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음악극 프로그램 내에서 다른 참여 아동에게 의견을 개시하거나 의견을 조율하는 행동, 음악극에 함께 참여하고 있는 성인(연구자) 및 또래와의 자발적 상호작용 행동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음악극 내에서의 발생 빈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또한 음악극 참여 후 일상생활에서 나타난 사회적 의사소통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Social Skill Rating System)를 교사가 평정하도록 하여 그 전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극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는 음악극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다른 참여 대상자에게 의견을 개시하거나 조율하는 행동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인(즉, 연구자)를 향해 나타나는 자발적 상호작용 행동 또한 증가하였다. 그에 반해 다른 참여 대상자를 향해 나타나는 자발적 상호작용 행동과 성인(연구자) 대상 의견개시 및 조율 행동에 있어서는 대상자 간에 개별적인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 A와 C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의견 개시 및 조율 행동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상자 B에게서는 목표 행동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다른 참여자를 향한 자발적 상호행동에서는 대상자 A와 C는 회기별로 유동적인 변화를 보였으나 B는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SSRS 평정 결과, 모든 대상자의 자기주장 및 협동 영역의 점수가 소폭 상승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음악을 통한 목표행동 및 언어 습득을 유도하고, 역할극을 통하여 일반화를 유도하는 단계적 구조를 가진 사회적 상황 기반 음악극이 ASD 아동의 또래와의 자발적 의사소통, 사회적 맥락에 맞는 적절한 표현 구사 등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해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긍정적인 가능성에 반해 본 연구에서 관찰된 대상자 간 개별 차이는 음악극을 적용하는 데 있어 ASD 아동의 언어발달이나 사회기술발달 수준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ASD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의 범위를 확장하고, 다각적인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