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1 Download: 0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공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공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Group Art Therapy Aimed at Empathy of Elementary School Seniors
Authors
오윤실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공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취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서울시에 위치한 A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5학년 아동 5명으로, 남자 아동 2명, 여자 아동 3명이다. 본 연구의 사례는 2022년 1월 3일부터 2022년 1월 14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주 5회 120분간 총 10회기의 단기 집중형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공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목표는 자기표현, 경청하기, 공감적 주의집중,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표현하는 과정을 통한 수용적 관계 경험, 공감적 의사소통에 기반한 공감적 상호작용하기이다. 연구의 자료수집은 담당 복지사와의 사전 면담, 연구 참여자의 사후 면담, 참여자의 미술작품 이미지, 집단미술치료 회기 일지와 녹음파일, 연구자가 집단미술치료 사례 후 고찰한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공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집단미술치료 회기 축어록과 관찰일지, 미술작품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살펴보며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확인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된 결과는 총 4개의 상위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로 분류되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공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경험의 상위 주제는 <미술로 알아가는 너와 나>, <친구의 마음을 경험하는 과정>, <나처럼 소중한 친구에게 반응하게 됨>, <우리를 경험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공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작업을 통해 자신의 감정 및 생각을 비언어적으로 표현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상호작용을 돕는 미술을 통해 서로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과정은 상대방의 감정이나 생각에 대한 공감적 이해를 바탕으로 서로에게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을 통한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상대방의 감정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며 이에 이입할 수 있었고 타인을 돕기 위한 도움 및 배려 행동 등 친사회적 태도를 가질 수 있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공감적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하여 긍정적 대인관계를 경험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개입된 미술치료 과정에서의 지지 및 수용 경험을 통해 긍정적 자아개념을 기반으로 한 정서적 안정감을 경험하였다. 이를 종합했을 때,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은 공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비언어적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나누는 경험을 가질 수 있었으며, 미술을 매개로 하여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경청하는 기회를 통해 공감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공감적 반응을 기반으로 한 협동활동을 통해 공감적 의사소통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집단미술치료 경험은 참여자들에게 지지 및 수용을 기반한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였다. 이로써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은 공감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긍정적 대인관계를 경험하였다. 이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회 정서적 측면에 공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가 효과적 개입이 될 수 있음과 동시에, 지속적인 집단미술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시사하는 바이다.;This study aims to ascertain how upper elementary students navigate empathy-focused group art therapy and what they learn from the experience.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employ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to identify the research subjects’ experiences and delve into what these experiences repres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ve fifth graders (of which three were female) who attend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3, 2022 to January 14, 2022 through an intensive group art therapy course spanning ten sessions (i.e., five 2-hour sessions per week). The objectives of empathy-focused group art therapy targeting upper elementary students were centered on self-expression, active listening, empathetic attention, exposure to receptive relationships by putting oneself in another’s shoes, and empathetic interactions based on empathetic communication. The research data was compiled through a wide array of channels, including preliminary interviews with the social worker in charge, follow-up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subjects, the subjects’ art images, the journals and recording files of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s, and the analytical findings of the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examined using iterative comparis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that the students gained from group art therapy. For this process, the researcher reviewed the verbatim records and observation logs of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s as well as the subjects’ art images in a thorough and repetitive manner and took full advantage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checks to perform a valid analysis. The analytical findings derived from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into four parent topics and twelve child topics. The parent topics on the experience of empathy-focused group art therapy encompass , , , and . This study presents keen insights into what the upper elementary students experienced in empathy-focused group art therapy and its related implications. First, the subjects were given a rare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emotions and experiences nonverbally through art. Second, the subjects were able to find common ground through art, which facilitated interactions. This in turn helped them pay more attention to each other based on their empathetic understanding of the emotions and thoughts of others. Third, the subjects utilized art-induced interactions to indirectly experience others’ feelings (i.e., empathy) and developed prosocial behaviors by becoming more considerate of others. Fourth, taking advantage of empathetic communication cultivated through group art therapy, the subjects not only exposed themselves to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also leveraged the continuous intervention of art therapy to learn the importance of support and acceptance, thus experiencing emotional stability based on a positive self-concept. In sum, empathy-focused group art therapy enabled the subjects to express themselves nonverbally and share their feelings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they made the most of perspective taking and active listening to experience empathy through art as a medium. Additionally, the subjects engaged in a series of empathetic response-based collaborations to experience empathetic communication, and the experience of continuous group art therapy provided them with emotional stability centered on support and acceptance. In this way, the upper elementary students used their empathetic interactions to become familiarized with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finding is significant in that empathy-focused group art therapy can be an effective tool to craft socio-emotional skills in upper elementary students, thus implying that group art therapy should be further promoted and encourag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