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3 Download: 0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Qualitative Case Study on Collective Art Therapy to Improve Self-regulation Abilities of Middle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안선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iddle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s in collective art therapy to improve self-regulation abilities and what those experiences entail. To that aim, the researcher used a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six students (four female, two male) in third grade at the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From January 3, 2022 to January 14, 2022, collective art therapy was conducted over fiv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ten 120 minute-long sessions. Collective therapy was designed to improve self-regulation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grade students. The purpose was to enable students to set their own goals through diverse art activities; to regulate, monitor, and recognize their negative emotions and behaviors; and to provide an experience in which students were motivated to overcome difficulties through positive interaction among participants. The study material was collected through preliminary interviews with school representatives, an observation log prior to collective art therapy, photographs of the participants’ artwork, post-study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recorded files, and verbatim records. The study materials were analyzed through a repetitive comparison analys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collective art therapy for improving self-regulation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grade students. The researcher carefully and repeatedly read the collected materials and examined participants’ verbal responses and non-verbal expressions portrayed in their art. The researcher analyzed these by open coding, categorizing, and confirming the categorization. The data collected and analyzed were extracted into a total of five main categories and 14 sub-categories. The main categories for this study’s collective art therapy case are “difficulty explaining own drawings despite the anticipated art therapy,” “emergence of negative feelings when art activities do not turn out as intended as one wished,” “achievement of work without giving up,” “learning new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 art,” and “experiencing changes in the self and friends and feeling joy in school lif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re-participated in the school’s collective art therapy to escape the feeling of isolation among their peers due to COVID-19; they recognized their own emotions and adapted their emotions into positive ones. Second, participants nurtured the ability to transition into thinking positively in the face of sudden problematic situations and felt a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hen accomplishing goals they established for themselves in the art activities. Finally, participants developed improved self-regulation abilities through more natural interactions, which led them to discover positive changes among themselves and their peers. The participants supported and encouraged each other and were motivated to participate in collective art therapy. This, in turn, led to their experiencing a force of joy in their school life. In summary, the middle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came aware of their own thoughts and emotions. They portrayed these in a positive manner through collective art therapy to improve their self-regulation abilities. They were able to accomplish their own goals by discovering their own ways of transitioning into thinking positively, even in sudden, difficult situations during their art activities. By learning how to cope with these situations, the students achiev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art activities. Furthermore, collective art therapy the students re-participated to escape from the isolation from their peers led to positiv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school lives. This is because they were able to form better relationships by supporting and encouraging one another once more.;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이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 경험하는 것과,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질적 사례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 A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6명으로 여학생 4명, 남학생 2명이다. 사례는 2022년 1월 3일부터 1월 14일까지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으며, 주 5회, 회기 당 120분, 총 10회기로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목표는 다양한 미술활동에서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의 부정적인 정서, 행동, 인지를 조절 및 점검하며, 참여자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 학교생활적응 동기를 유발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회기를 구성하였다. 연구의 자료 수집은 학교 담당자와의 사전면담, 집단미술치료 전 회기 관찰일지, 참여자 미술 작품 사진, 참여자의 사후 심층 면담 및 전 회기 녹음 파일과 축어록 등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연구자는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정독하고, 연구 참여자 언어적 표현과 미술작업의 이미지에서 나타난 비언어적 표현을 자세히 살펴보고 이를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확인을 거쳐 정리 후 분석하는 진행과정을 거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집하여 분석된 자료는 총 5개의 상위 범주와 14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집단미술치료 사례 경험에서 상위 범주는 <기다리던 미술치료이지만, 내 그림을 설명하는 것이 어려움>, <미술활동을 하면서 내 마음처럼 되지 않을 때 부정적 기분이 올라옴>, <어떤 상황에도 포기하지 않고 이루어냄>, <미술을 통해 새로운 소통방법을 알아감>, <나와 친구의 변화를 경험하고 학교생활에 즐거움을 느낌>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하는 것과,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참여자는 COVID-19로 인해 또래 친구들과 단절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학교에서 진행되는 집단미술치료에 연속해서 참여하여, 자신의 정서 상태를 인식하고 긍정적 정서로 전환하여 표현하는 경험하였다. 두 번째, 연구 참여자는 갑작스러운 문제 상황에도 긍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사고의 힘을 기르고, 미술활동 과정에서 스스로 세운 목표를 이뤄 성취감과 만족감을 경험하였다. 세 번째, 연구 참여자는 보다 자연스러워진 상호작용으로 자기조절능력을 높여 참여자와의 관계 속에서 서로의 변화된 장점을 발견하여 지지와 격려를 주고받았으며 집단미술치료에 재참여하게 된 동기를 달성하고, 이후 학교생활에서 즐거움을 경험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들은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정서에 대해 인식하고 긍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미술활동 중 갑작스러운 불편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긍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 스스로 세운 목표를 이룰 수 있었다. 이로써,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들은 미술활동으로 자신에 대한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게 되었고, 또래 친구들과 단절된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재참여하게 된 집단미술치료 경험에서 지지와 격려의 관계를 한 번 더 맺음으로써 참여자의 학교생활에 있어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내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