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1 Download: 0

국내외 비대면 미술치료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Title
국내외 비대면 미술치료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Other Titles
Scoping Review of Korean and Overseas Non-face-to-face Art Therapy Research: Focusing after the Spread of COVID-19
Authors
황지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of non-face-to-face art therapy studies published in Korea and abroad from January 2020 to April 2022 during which COVID-19 began to spread rapidly. It conducts the scoping review to understand the non-face-to-face art therapy research during COVID-19 comprehensively.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the 55 finally-selected studies in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and the intervention methods of the non-face-to-face art therapy and identified the research trends. The general aspects of the literature were categorized by publication year, data type,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and the non-face-to-face art therapy intervention method was divided into target variables, intervention type, intervention period, type of art medium, and measurement tool. First, examining the year of publication, 2021 had the largest number of publications with a total of 30 studies (55%). As for the data types by year of publication, academic journals were higher than a thesis or dissertation, and a Master's thesis demonstrated a higher number than a Doctoral dissertation. Second, the intervention subject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ith 36 studies (65%) in the research subject category, and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between 5 and 10 was the most common with 18 studies (35%). When looking at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37 studies (73%) researched adults, and 48 studies (94%) researched general subjects. Third, for the research method, qualitative research was most frequent with 34 studies(62%), and among them, qualitative case studies had the most publications with 14 studies (25%). Fourth, psychology and emotion were the majority in target variables with 30 studies (79%). Fifth, individual treatment was the most common type of intervention with 19 studies (50%), and communication device without description was the most prevalent with 24 studies (63%). As for communication technology, video communication platform was the most frequent with 31 studies (82%). In the same context as communication technology, full-duplex communication was also the most frequent with 32 studies (84%). Sixth, looking at the intervention period, a total of between 5 and less than 10 sessions was the most common number of sessions with 18 studies (47%), and once a week was the most popular number of sessions per week with 14 studies (37%). For the length of each session, 60 minutes to less than 80 minutes and 80 minutes to less than 100 minutes were the most frequent with 9 studies (24%) each. Seventh, looking at the types of art media, general media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ith 29 studies (76%). Eighth, 17 studies (45%) didn't use any measurement tools, showing the highest rate in the measurement tool catego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trends of Korean and foreign non-face-to-face art therapy research through the scoping review method and provided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primary data for follow-up research on non-face-to-face art therapy research conducted during the COVID-19 period.;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시작한 2020년 1월 부터 2022년 4월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비대면 미술치료 연구들의 동향을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코로나-19 상황에 진행된 비대면 미술치료 연구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종 선정된 총 55편 의 연구를 문헌의 일반적 특성과 비대면 미술치료 중재방법으로 분류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문헌의 일반적 특성은 출판연도 및 자료유형, 연구대상, 연구 방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비대면 미술치료의 중재방법은 목표변인, 중재 형태, 중재 기간, 미술매체의 유형, 측정도구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출판연도를 살펴보면 2021년이 30편(55%)으로 가장 많은 편수가 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출판연도별 자료유형을 살펴보면 학술지가 학위논문에 비해 높은 편수를 보였으며, 학위논문에서는 박사학위논문에 비해 석사학위논문이 높은 편수를 보였다. 둘째, 연구대상을 살펴보면 연구대상의 유형은 중재대상자가 36편 (65%)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연구대상의 수는 5명에서 10명 사이가 18편 (35%)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연구대상의 연령을 살펴보면 성인이 37편 (73%)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연구대상의 특성은 일반이 48편(94%)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방법을 살펴보면 질적연구가 34편(62%)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그 중에서도 질적 사례연구가 14편(25%)로 가장 높은 편수를 보였다. 넷째, 목표변인을 살펴보면 심리·정서가 30편(79%)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다섯째, 중재 형태를 살펴보면 치료형태는 개인치료가 19편 (50%)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소통 기기는 미기재가 24편(63%)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소통 기술은 화상 플랫폼이 31편(82%)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소통 방향 또한 전이중 통신이 32편(84%)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여섯째, 중재 기간을 살펴보면 총 회기 수는 5회기 이상 10회기 미만이 18편(47%) 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주당 회기 수를 살펴보면 주 1회가 14편(37%)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회기 당 시간은 60분이상 80분 미만과 80분 이상 100분 미만이 각각 9편(24%)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일곱째, 미술매체의 유형을 살펴보면 일반 매체가 29편(76%)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여덟 째, 측정도구의 유형을 살펴보면 미사용이 17편(4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 비대면 미술치료 연구들의 동향을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코로나-19 시기에 이루어진 비대면 미술치료 연구의 종합적인 시각과 후속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