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7 Download: 0

위드 코로나 시대 새 목회상담 모델로서 ‘텃밭정원’ 생태요법 연구

Title
위드 코로나 시대 새 목회상담 모델로서 ‘텃밭정원’ 생태요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dible Garden(Teot-Bhat-Jeong-Won)' Ecotherapy as a New Pastoral Counseling Model in the Era of 'Living with COVID-19'
Authors
정다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희성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위드 코로나 시대의 새 목회상담 모델로서 ‘텃밭정원’ 생태요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코로나19는 갑작스러운 질병에의 위협과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방역 정책의 영향으로 일상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며 정신건강 문제(“팬데믹 블루(pandemic blue)”)를 야기했다. 이제 사회는 일상적 방역으로 코로나19와 공존하는 위드 코로나 시대로 진입하고 있으나, 기대와는 다른 불경기의 지속과 일상 회복의 격차로 오히려 사람들의 우울감이(“엔데믹 블루(endemic blue)”)증가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시대적 고통에 응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기존 목회상담 연구들의 의의와 한계를 바탕으로 위드 코로나 시대의 새 목회상담 모델을 위한 목회신학적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코로나 사태에 대한 신정론적 입장의 근간이 되는 초월적 유신론을 범재신론적 하나님 이해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코로나19의 원인을 인간중심주의로 인한 생태계 파괴에서 찾고 이에 영향을 준 기독교의 전통적 창조론을 버나드 앤더슨(Bernhard W. Anderson)의 생태적 창조론을 재구성하였다. 또한, 여전히 개인 돌봄에 중점을 둔 한국의 목회상담을 바니-밀러 맥르모어(Bonnie-Miller McLemore)의 ‘살아있는 인간관계망’과 공공신학적 관점에서 생태계와 대중 문화를 돌보는 공적 목회상담으로 재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 모델들이 주로 내담자의 지적•영적 자원을 개인 고통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비판하고, 역량강화를 위한 여성주의 상담이론을 활용하여 내담자의 자원을 개인 고통의 사회적 맥락을 분석하고 변화시키는데 사용하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지적•영적 자원에 한정되어 있던 치유 자원의 활용을, 대중 돌봄을 위한 보편적 자원과 비대면 문화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치유 자원들의 발굴과 활용으로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하워드 클라인벨(Howard Clinebell)의 생태요법이 이러한 목회신학적 방향성에 부합한다고 보았다. 생태요법은 1970년대부터 시작된 생태심리학의 물결 속에서, 클라인벨 개인의 성장 배경과 임상 경험을 통해 형성된 것이다. 생태요법은 자연과의 경험에서 치유되는 자기 돌봄이, 자연 속 생명 에너지의 근원되시는 하나님의 영과 접촉하는 영혼 돌봄으로 이어지며, 자연을 보호하고 회복시키고자 하는 동기가 생기며 지구 돌봄으로 나아간다는 순환적 원리에 기반하고 있다. 위드 코로나 시대의 생태요법은 코로나19 원인을 생태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생태신학적 하나님 이해에 기초하며, 생태계를 돌봄 대상으로 삼고, 인간의 보편적 생명애(biophilia)와 상상, 꿈, 실내 및 야외의 생태 경험, 그리고 생태 문화를 치유 자원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새로운 목회상담 모델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텃밭정원’ 생태요법을 위드 코로나 시대의 새 목회상담 모델로서 구성하고 제안하였다. 텃밭정원은 한국의 생태 친화적 농경문화와 풍류사상에 근거한 한국적 생태 영성을 내포하며, 다음과 같이 생태요법의 자기 돌봄, 영혼 돌봄, 지구 돌봄을 실현한다. 먼저, 텃밭 활동과 정원 치유를 통해 인간 내면을 치유하며, 농사와 관련된 성서의 은유적 언어와 작물을 키우는 ‘빛, 땅, 물’을 통해 생명을 키우고 창조하시는 하나님을 계시하며 영혼을 돌본다. 또한, 텃밭정원은 그 자체로 도시 생태계 회복에 기여하고 농업과 관련된 여러 환경 문제를 교육하는데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지구 돌봄도 실현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텃밭정원’ 생태요법의 구체적 실천을 위해,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한 ‘위드 코로나 시대의 생명 돌봄, 텃밭정원에서 치유하는 마음과 자연’이라는 집단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안하였고, 이에 대한 목회상담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Edible garden(Teot-Bhat-Jeong-Won)’ Ecotherapy as a new pastoral counseling model in the era of ‘Living with COVID-19’, in which social depression is said to be on the rise due to the unexpected continuation of the economic recession and the gap between people in recovery of their daily lives. Given this background, the study reorganizes the theological direction of a pastoral counseling model in the era of ‘Living with COVID-19’. Firstly, this study reconstructs the understanding of God from transcendent theism into pantheism and reorganizes the traditional creation theory into an ecological creation theory. While the current pastoral counseling model focuses on personal care, this study constructs a public pastoral counseling model with the concept of ‘the living human web’ by Bonnie-Miller McLemore and from a perspective of public theology. The study also criticizes the use of intellectual and spiritual resources for dealing with pain in existing pastoral counseling models in the times of COVID-19, and reconstructs the use of these resources for diagnosing and changing the social context of the pain.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and utilize various healing resources in a new pastoral counseling model to meet the needs of public care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culture. To this end, the researcher proposes Ecotherapy, which was first suggested by a prominent pastoral counselor Howard Clinebell in the 1990s. Ecotherapy leads to self-care, which is practiced from experience with nature, to the care of the soul in contact with the spirit of God that is the source of life energy in nature, and to the care of the earth. Ecotherapy understands the cause of COVID19 in the ecological context, and its understanding of God is based on an ecological theology. Also, it takes the ecosystem as an object of care, and uses universal human biophilia and diverse ecological experiences as healing resources not only for alleviating personal psychological pain but also for changing the context of the pain. Therefore, the researcher found Ecotherapy suitable for the pastoral counseling model in the era of ‘Living with COVID-19’. Lastly, this study tries to construct a theory and practice of ‘Edible garden(Teot-Bhat-Jeong-Won)’ Ecotherapy, which involves a Korean ecological spirituality based on Pungsu ideology and Korea's eco-friendly agriculture. The edible garden can help practice self-care through gardening activities, help recall the metaphorical language of the bible related to gardening and also help discover natural objects as a new metaphor for God who nurtures and creates every life. Also, ‘Edible garden(Teot-Bhat-Jeong-Won)’contributes to the recovery of the urban ecosystem and can be used as an eco-educational resource for various environmental and justice issues such as food carbon footprint, soil pollution, and conventional agriculture problems. As a specific example of ‘Edible garden’ Ecotherapy, the study proposed a group program called “Care for life in the era of ‘Living with COVID-19’, healing mind and nature in the edible garden” for Christia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