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9 Download: 0

조선미술전람회 조각·조소부 연구

Title
조선미술전람회 조각·조소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ction of Sculpture/Plastic Art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Authors
정유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미술전람회 조각·조소부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주요 작품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 과정에서 일본의 교육기관과 관설전람회, 조선미전의 연관 관계를 살펴보았다. 국내에는 관설교육기관이 부재하여 조소를 연구하고자 했던 예비 작가들은 일본에 유학하여 조소를 학습하거나, 국내에서 개인이 운영하는 군소 교습소에서 조소를 접했다. 따라서 국내조각의 유입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일본 미술학교와 국내 교습소의 교육 현황을 검토하고, 조선미전 주요작가의 교육배경을 추적했다. 그리고 일본과 조선의 관설전람회의 조각·조소부 경향을 분석하고 그 특성과 의미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았다. 먼저, 근대 조각개념의 수용과정 및 전개양상에 대해 주목했다. 일본에서는 관립미술학교를 창설하고, 관설전람회에 조각·조소부를 개설하여 서구 아카데미즘의 수용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서구 아카데미즘의 대표적인 양식은 ‘나체상(裸體像)’으로, 고대 그리스·로마 양식을 기반으로 17세기 이래 20세기 프랑스 아카데미의 미술이론과 교육에 바탕을 둔 것이다. 국내에서는 1922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조선미전이 개설되었고, 1922년부터 1931년까지 ‘조각부’가 개설되었으나 1932년 제 11회전에 폐지된다. 3년의 휴지기간 후 1935년 제 14회에 이르러 조각부는 다시 공모분야에 편입되는데, 조소·공예로 개편되었다. 조소부는 다른 동양화부나 서양화부보다 전체 출품자 수가 적고, 단독 심사위원도 부재했으며, 평론가의 평론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1935년 이후, 일본 유학을 마치고 온 유학생 조각가의 등장으로 출품수와 작품의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1940년부터 비로소 동경미술학교 출신 조각가나 교수들이 조선미전의 심사위원으로 임명되기 시작하면서 조소부의 심사기준이 명확해지기 시작했다. 다음으로는 조선미술전람회 주요작가의 작품 경향을 검토했다. 더불어 조각·조소부에서 동일한 심사기준으로 심사되었던 재조선 일본인의 작품을 살펴보아 일제강점기 국내 조각계를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하고자 시도했다. 그리고 국내·외 교육기관의 교육 현황을 파악해 한국 근대 조각의 전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조선미술전람회를 조각·조소부의 개설시기로 각각 구별하고, 입상 작품을 중심으로 그 경향과 특징을 분석했다. 심사위원제도의 변화와 함께 ‘조각부’가 ‘조소부’로 개편되었던 상황은 일본에서 제 6회 제국미술원전람회의 상황과 유사하다. 조선미전 ‘조각부’의 입상 작품을 흉상, 전신상, 부조 및 동물상으로 유형을 분류하여 비교했다. 흉상작품의 경우 한국인과 일본인 모두 습작의 형식으로 주변 인물의 흉상을 제작하거나 특정 인물을 동상의 형식을 적용하여 묘사했다. 전신상의 경우 여성이나 남성의 나체 혹은 반라의 인체를 표현하는 작례가 많았으며, 전통적인 주제에 해당하는 전통복식을 입은 여성이나 불상과 같은 종교적 소재가 채택되기도 했다. 한국인 조각가의 경우, 여성나체상을 많이 제작한 반면에, 일본인 조각가는 남성의 반라상 및 나체상 작례가 많다. 이와 달리 일본인 조각가의 전통 주제 전신상은 다양한 형식과 주제를 활용하고 있으며, 동물상도 확인되는데, 동물상은 전통공예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한국인의 작품으로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편, 일본관전에서는 전신상의 출품 및 수상비율이 높은 반면에 조선미전에서는 흉상작품의 비율이 높고, 수상된 흉상작품은 사실주의적인 조각보다는 질감의 표현이 강조된 경향성을 지니고 있었음을 지적할 수 있겠다. 조선미전 조소부의 출품 작품 역시 동일한 기준으로 분석했다. 먼저, 흉상의 경우 주변인물을 묘사한 습작이 대부분이었으며, 특정인물을 동상형식으로 표현한 작품도 존재한다. 수상작품들을 위주로 분석하면, 전신상의 비율이 높아 전신상이 독려되었다 판단할 수 있는데, 전신상의 경우 나체상이거나, 혹은 제작시기에 따라 지방색이나 시국색을 드러낸 작품들로 특정할 수 있다. 서구 아카데미즘을 반영하는 나체상을 포함해, 한·일 조각가 모두‘지방색’을 띠는 조선여인상을 다수 제작했다. 1930년대 후반 전쟁시기에 들어서면서 전의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목적의 작품들이 확인되기도 하는데, 주로 군인과 근로보국대, 정신대원, 광부를 묘사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조각이라는 근대적 개념이 일본의 교육기관과 전람회라는 제도를 통해 국내에 유입, 전개된 과정 및 의미를 다층적으로 규명해보자 노력해보았다. 이에 조선미전 주요작가의 교육배경 및 출품작품을 검토하고, 입상 경향 및 주제 분석을 통해 일본관전과의 영향관계를 면밀히 분석했다. 현대 구상조각의 바탕이 되는 근대 조각, 특히 조선미전 조각·조소부를 심층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를 찾아보고자 한다. ;This study perceived the correlations of Japanese government-established educational institutions, Japanese government-established exhibitions, and Joseon Art Exhibition, and then considered the overall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works in the section of sculpture/plastic art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through the analysis on works. The Joseon Art Exhibition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visual propaganda for cultural politics of the Japanese Empire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stead of being established for the civilization of Joseon art. Moreover, there were no government-establishe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so Korean sculptors learnt plastic art in Japan or learnt it in a privately-owned school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background for examining the introduction process of domestic sculpture, to analyze the trend shown in the section of sculpture/plastic art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and then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it. In Korea, the Joseon Art Exhibition was esta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22. However,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Korean prize-winners started appearing from the 4th exhibition in 1925. From 1922 to 1931, the ‘sculpture section’ was established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In this period, there were not many entries while there were no judges either. After 1935, however, the number of entries and the level of works were improved by the appearance of Japa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the forms of prize-winners were mostly head, bust, and full-length sculptures. Next, after examining the background of plastic art education focusing on Japanese art schools and privately-owned schools in Korea, this study reviewed the trend of works by main artists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according to each background. Most of the artists from Japanese government-established/private art schools and domestic schools seemed to accept the trend of Japanese government-established exhibitions and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However, there were also some trends following the minority sculpture world of Japan. Lastly,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focusing on prize-winning works by dividing the Joseon Art Exhibition into sculpture section and plastic art section. Even though the sculpture section was established from the 1st to 20th Joseon Art Exhibition, it was abolished in 1932. However, when it was reorganized together with ‘craftworks’ in the part 3 from the 14th exhibition, the title was changed to ‘plastic art se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focusing on remaining works by dividing the period of sculpture section and plastic art section based on the blank period of sculpture section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In case of full-length sculptures among the prize-winning works in ‘sculpture section’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the naked or half-naked human body was expressed as the theme. It also had a traditional theme such as a woman in traditional costume, or a religious theme like statue of the Buddha. In case of Japanese sculptors, they produced traditional full-length sculptures in various forms and themes.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the percentage of bust works was high, and many bust works won the prize. The entries in plastic art section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bust, full-length, relievo, and animal figure. In case of full-length works, the theme is largely divided into ‘naked body’, ‘local color’, and ‘color of current state’. In case of naked body works, it is related to the academism. Also, many sculptures of Joseon woman showing the ‘local color’ were created. In case of relievos and animal figures, most of them were produced by Japanese sculptors. Through the interviews with a judge and sculptor who won the special selection, it was possible to guess that the works with ‘color of exhibition’ and ‘local color’ must be encouraged. So far, there have been no researches that multilaterally examined the process and meanings of developing the modern concept of sculpture in Korea through the system like Japanes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exhibition. The inflow of domestic modern sculpture and the trend of the section of sculpture/plastic art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became the foundation of contemporary figurative sculptur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analyzing the influence relations of Japanese government-established exhibitions, and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Joseon Art Exhibition by reviewing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entries of main artists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and also analyzing the trend and themes of entries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