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0 Download: 0

한말숙 소설의 남성성 연구

Title
한말숙 소설의 남성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asculinity in Han Malsook’s Novels
Authors
김현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말숙 소설에서 나타나는 ‘남성성’의 복수적 형태를 규명하는 것에 있다. 지금까지 한말숙 소설에 대한 연구는 여성 인물만을 연구의 주요 대상으로 삼아 왔다. 이는 한말숙 소설의 ‘여성성’ 문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작가의 작품을 여성주의 문학으로서 정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는 한편, 작품에 등장하는 남성 인물들을 포괄하지 못하고 또 다른 젠더인 ‘남성성’의 문제를 간과했다는 한계를 갖는다. ‘여성성’의 구성에만 초점을 맞춘 젠더 연구는 ‘남성성’ 또한 ‘여성성’과 마찬가지로 젠더 정치의 구성물이라는 점을 누락하기에 남성을 보편적이고 본질적인 것으로 상정하는 기존의 남성 중심적 사고를 답습할 위험이 있다. 본 연구는 ‘남성성’을 수행을 통해 구성되는 문화적 산물로 보고, 한말숙 소설의 ‘남성성’ 내부에 존재하는 여러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기존 연구의 편중을 보완하고자 한다. 이때 코넬의 ‘헤게모니적 남성성’ 개념을 남성성 간 차이를 인식하기 위한 참조점으로 삼는다. 한말숙 소설의 주요 배경이 되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한국 사회에서는 친미 반공 군부독재 정권하 강력하고 호전적인 남성성이 모든 남성들이 마땅히 따라야 할 이상적인 남성성 즉, 헤게모니적 남성성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단일하고 불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시기와 상황의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처하며 그 내부에 반공 전사이자 군인으로서의 남성성, 산업 역군으로서의 남성성, 생계 부양자이자 가장으로서의 남성성 등 서로 상충하거나 겹쳐지는 여러 남성성들을 품고 있다. 상이한 남성성들이 정권의 필요에 의해 호전적이라는 특징으로 묶여 헤게모니적 남성성이라는 하나의 형상으로 수렴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한말숙 소설에 등장하는 남성 인물들은 권위를 잃어 아들로부터 무시당하는 아버지, 생계 부양자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남편 등 당대의 전형적인 남성상으로부터 벗어난 모습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순순히 부합하지 않고 그것에 대응하는 다양한 수행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즉, 한말숙 소설의 남성 인물들은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길항하거나 어쩔 수 없이 그에 종속되기도 하고, 그 내부의 모순을 응시하기도 하며 그로부터 일탈하여 다른 방향을 모색하고자 분투하기도 하는 등 복수의 ‘남성성들’을 형상화하고 있다. Ⅱ장에서는 미성년의 남성 인물들이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관계 맺는 양상을 살펴본다. 아직 성숙에 도달하지 못한 불완전한 존재라는 점에서 소년의 남성성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으로부터 종속된 위치에 자리한다. 한말숙 소설에 등장하는 소년들은 자신에게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이 있음을 통과의례를 통해 증명하고자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대개의 경우 실패로 끝나고 만다. 이에 소년들이 취하게 되는 행동은 크게 실패 자체를 부인함으로써 성장을 잠재적인 가능태로 남겨두는 것과 헤게모니적 남성성과의 관계 구도에서 이탈하는 것으로 나누어지는데, 양자 모두 남성성을 ‘과정 중’인 상태로 남겨둔다는 특징을 보인다. Ⅲ장은 한말숙 소설에 등장하는 미혼의 남성 인물들에 초점을 맞춘다. 상징계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지 못했다는 점에서 이 청년들은 모두 기본적으로 표류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비남성’ 범주에 안주하지 않고, 자신들이 놓인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해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길항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협상의 양상은 공모적 남성성을 수취하는 것 혹은 특정한 남성성을 수취해야 할 순간을 의도적으로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수행 불가능성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양자가 형상화하고 있는 남성성은 교란적이다. 한편, 한말숙의 소설에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인 동시에 저항의 가능성을 담지한 ‘구성적 외부’로서 ‘비남성’이 있음을 역담론화하는 청년들 또한 존재한다. 이들이 형상화하는 남성성은 비규범적 성적 실천을 통해 남성 ‘동성사회성’이 배제한 훼손된 몸과 여성성, ‘동성애적 욕망’을 가시화의 영역으로 부상시킴으로써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자기동일성을 교란한다. Ⅳ장에서는 가부장이 지닌 타자성에 주목한다. 근대화의 자장 아래 가부장은 국가와 가족을 먹여 살리는 신성한 존재로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표상 중 하나였다. 그러나 한말숙 소설에 등장하는 기혼의 남성 인물들은 가부장의 역할이 지극히 경제적인 영역에만 한정되어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가부장이 가정에 군림하지만 동시에 그곳에 부재한다는 점을 드러낸다. 즉,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수행하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가부장은 ‘비남성’ 범주의 가족 구성원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까지도 타자로 만들게 된다. 한말숙 소설의 가부장들은 이러한 스스로의 타자성을 전면화함으로써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허위와 모순을 온몸으로 보여준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대한 정권의 과도한 강조는 역설적으로 현실에서 그러한 남성성이 부재한다는 것을 반증한다. 그런 점에서 한말숙 소설에 나타나는 ‘남성성들’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불가능성을 보여주던 당대의 ‘남성성들’에 대한 ‘포착’과 ‘재현’인 동시에 작가가 제안하는 대안적 ‘남성성들’의 모습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를 규명함으로써 작가의 문제의식이 피해자 여성과 가해자 남성이라는 이분법적 구도에만 머무른 것이 아니라 일부 남성만을 규범적 인간으로 전제하기 위해 나머지를 모두 비남성 범주에 종속시켜버리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기만적인 동인을 포착하는 것으로 나아갔음을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t forms of “masculinity” in Han Malsook’s novels. Studies on Han’s novels had been focusing only on female characters until now. This tendency led to actively review the issue of “feminity” of Han’s novels and refine Han’s work as feminist literature, but it has a limitation because it fails to look at male characters and overlooks the issue of the other gender, which is “masculinity”. Gender study focusing only on “feminity” misses the fact that “masculinity” is also a constructed component like “feminity”, so there is a risk to follow the existing male-centered discourse which considers men as universality and essence. This study aims to supplement existing studies by examining various differences inside “masculinity” of Han’s novels. Raewyn Connell’s concept of “hegemonic masculinity” is used as a reference point to recognize differences. From 1950s to 1970s in Korea, which is the main background of Han’s work, under the military dictatorship regime that claimed pro-America and anti-communism, an ideal masculinity that all men should follow was presented as powerful and aggressive men─that is hegemonic masculinity. This seems to be sole and immutable concept, but it is a flexible concept which differs depending on era and situation, such as anti-communist soldier, industrial worker or breadwinner. These kind of masculinities can conflict or overlap to each other. Thus, different masculinities are converged as a hegemonic masculinity, combined by the characteristic of being hostile.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male characters in Han’s novels such as fathers who lost their authority and ignored by their son, husbands who cannot act as breadwinners are different from typical males of the time. They don’t simply conform to hegemonic masculinity and show various performativities which respond to it. In other words, male characters of Han’s novels embody several “masculinities”, that sometimes conform to hegemonic masculinity, sometimes subordinate to it, sometimes look at inner contradiction, sometimes get out of it and struggle to find other directions. Chapter Ⅱ analyzes how under age male characters construct relationship with hegemonic masculinity. The masculinity of boy is located at subordinated posi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since they are imperfect being who did not reach maturity yet. Boys who appear in Han’s novels try to prove that they can perform hegemonic masculinity by going through the rite of passage, but these attempts usually end in failure. After the failure, the actions that boys take are divided to denying the failure itself, leaving growth as a possible dynamis, and escape from the relationship with hegemonic masculinity. Either actions are characterized by leaving masculinity “in the process”. Chapter Ⅲ focuses on unmarried male characters in Han’s novels. These young men appears as a drifting figure in the sense that they haven’t settled stable in the symbolic world. However, they don’t settle in the “non-male” category and tries to go along with hegemonic masculinity to change their position. Aspects of negotiation appears as receiving conspiracy masculinity or intentionally delaying the moment to receive particular masculinity. These type of masculinities are causing confusion since it shows the impossibility of performing hegemonic masculinity. Also, in Han’s novels, there are young men who reversely insist that there is “non-male” as a “constitutive outside” who enables hegemonic masculinity and also has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The masculinity they embody disturbs the self-identity of hegemonic masculinity by non-normative sexual practice which brings the damaged body, feminity, and homosexual desire that are excluded by homosociality to the visible area. Chapter Ⅳ focuses on the otherness of patriarch. Under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patriarch was a representative symbol of hegemonic masculinity as a sacred being who feeds the family. However, married men appearing in Han’s novels show that the role of patriarch is only limited to economic area. This reveals that even though patriarch rules the family, he is actually absent from the family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when patriarch tries to perform hegemonic masculinity, he makes not only the family member of ‘non-male’ category, but also himself as the other. Therefore, patriarches in Han’s novels show the falsehood and contradic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by revealing their own otherness at the frontline. The regime’s excessive emphasis on hegemonic masculinity paradoxically proves that this kind of masculinity actually doesn’t exist in the reality. At this point, various “masculinities” appearing in Han’s novels are “capture” and “express” of “masculinities” of the era which show the impossibility of hegemonic masculinity, and also are alternative “masculinities” suggested by the author. In all, by revealing this,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author’s critical mind is not only remained in dichotomous structure of victim women and perpetrator men, but also moved forward to capture the deceptive factor of hegemonic masculinity which subordinates all of the rest to non-male category in order to suppose only few men as a norm of human be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