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0 Download: 0

음악에서의 감정적 카타르시스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Title
음악에서의 감정적 카타르시스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Other Titles
An exploratory study of the process of emotional catharsis in music
Authors
최진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음악을 통해 경험되는 감정적 카타르시스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 수정근거이론(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M-GTA)을 통해 음악 내 카타르시스 경험 과정을 모형으로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음악을 통해 감정을 완화하거나 분출한 경험이 있는 일반 성인 1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했으며, 개념 및 범주화한 뒤 이론적 통합과정을 거쳐 음악 내 카타르시스 과정을 모형으로 도출하였다. 구성된 모형은 총 5개의 범주로 이루어졌으며, 각 범주명은 ‘준비도’, ‘음악과의 만남’, ‘몰입감과 연결감’, ‘확장된 자기’, ‘거듭나기’이다. ‘준비도’의 하위 범주로는 ‘미인식된 준비도’, ‘단순한 호기심’, ‘ 인식된 준비도’세 가지가 도출되었으며, ‘음악과의 만남’의 하위 범주로는 ‘접촉’, ‘소리자극에 온전히 집중하기’, ‘자극으로 인한 내적 반응에 온전히 집중하기’가 도출되었다. 음악 내 카타르시스 경험의 중심현상인 ‘몰입감과 연결감’에서는 ‘절정’,‘분출’,‘심화/확장’, ‘감정의 역동’ 네 가지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다음 단계인 ‘확장된 자기’에서는 ‘인식의 확장’,‘각성된 에너지’,‘고양된 가치감’이라는 세 가지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 단계인 ‘거듭나기’의 하위 범주로는 ‘여운’과 ‘의미부여’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음악 내 카타르시스 경험에 영향을 끼친 음악요소는 단계별로 달랐는데, 먼저‘음악과의 만남’에 관여한 음악요소는 ‘심리음향적 특성’과 ‘참신함’으로 나타났고, ‘몰입감과 연결감’에 관여한 음악요소는 ‘심리음향적 특성’, ‘조합적 특성’, ‘음악 외적 특성’ 및 ‘심미성’으로 나타났다. 이상 도출된 모형의 의미를 논의를 통해 통찰적으로 살펴본 결과, 첫쨰, 음악의 심리음향적 특성 및 참신함으로 인해 접촉(Contact) 현상이 발생했으며, 이는 음악에서의 카타르시스 경험의 관문으로 작용했다는 점을 확인했다. 둘째, 음악에서의 카타르시스는 정신분석적으로 일차 과정(primary process)과 이차 과정(seceondary process)이 동시에 지속적으로 경험되는 체화된 현상임을 확인했다. 셋째, 음악에서의 카타르시스는 안전한 심리적 공간에서 내재된 자신의 감정을 만난 뒤, 존재적 변화로 이어지는 치유적 과정임을 확인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경험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내적 준비도가 미흡하더라도 음악의 '심리음향적 특성'과 '참신함'을 통해 음악 내 카타르시스 경험을 유도할 수 있다. 둘째, 음악에서의 감정적 카타르시스의 중심 현상은 음악에 대한 몰입감과 연결감(Immersion & Engagement))이며, 이러한 역동적 경험이 가능한 이유는 음악에서의 카타르시스가 정신분석적으로 일차 과정(primary process)과 이차 과정(seceondary process)이 동시에 지속적으로 경험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셋째, 음악에서의 감정적 카타르시스는 체화된 형태로 나타나며, 경험의 종류에는 감각적(Somatic), 운동적(Kinetic), 내장적(Visceral) 세 가지가 있다. 넷째, 음악에서의 감정적 카타르시스는 심리치유적이며, 개인 내면의 긍정적 변화를 유도한다는 음악치료적 함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음악에서의 카타르시스 경험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구한 첫 번째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모형은, 감정 정화 전후 과정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음악에서의 카타르시스 경험을 치유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반적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더 큰 표본을 바탕으로 하는 정량적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참여자들의 음악 내 경험을 수용적 음악 경험(receptive music experience)과 표현적 음악 경험(expressive music experience)으로 분리하여 보다 세밀하게 접근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This qualitative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emotional catharsis in music. Due to the study’s exploratory nature, 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M-GTA) was used to develop the theoretical model of the process of emotional catharsis in music.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used to collect data with a total of 12 adults who had the experiences in purifying or releasing emotions through music. After conceptualizing, categorizing, mapping and storylining, this study ultimately arrived at a theoretical model about the process of emotional catharsis in music with five core attributions: readiness, music encounter, immersion & engagement, expanded self, transformation. Subcategories included the followings: ‘unexpected/unintended’, ‘curious’, and ‘expected/intended’ under the category of ‘Readiness’, ‘contact’, ‘external listening’, and ‘internal listening’ under the category of ‘music encounter’. The category ‘immersion & engagement’, which is the core phenomenon, consisted of the three subcategories: ventilation, deepening, and internal dynamics. In the next stage, 'expanded self', three subcategories 'expanded awareness', 'heightened energy', and 'expanded virtue' were derived. In the final stage, ‘transformation’, two subcategories 'lingering' and 'reflection' were derived. The music elements/components which influenced the cathartic experience were different in stages. The music elements/components involved in ‘music encounter’ were ‘psychophysical properties’ and ‘novelty’, while the music elements/components involved in ‘immersion & engagement’ were ‘psychophysical properties’, ‘collative properties’, ‘ecological propeties’ and ‘aesthetics’. After insightfully examining the meaning of the derived model through discussion, first, this study found that 'contact' occurred due to the 'psychophysical properties' and 'novelty' of music, and which served as a gateway to the emotional catharsis in music. Second,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emotional catharsis in music is an embodied phenomenon in which psychoanalytically primary and secondary processes are continuously experienced at the same time. Third, this study found that the catharsis in music is a therapeutic process that leads to existential changes through encountering one's own emotions in a safe psychological spac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even if the internal preparation of those participating in the music experience is insufficient, the emotional catharsis in music can be induced without any significant hindrance by ‘psychophysical properties’ and ‘novelty’ of music. Second, the core phenomenon of the emotional catharsis in music is 'immersion & engagement', and this dynamic experience is possible because it is a phenomenon that psychoanalytically experiences primary and secondary processes at the same time. Third, emotional catharsis in music appears in three types of embodied experiences: somatic, kinetic, and visceral. Fourth, the emotional catharsis in music is psychological therapeutic process and has a music therapy implication that induces positive changes in the individual's inner self.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to in-depth explore the process of emotional catharsis in music. In addition, the model derived through this study can present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process before and after emotional purification, and it is thought that it can provide an overall understanding to use the cathartic experience in music therap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 quantitative studies in large samples, and also propose to explore the process of emotional catharsis in music in more detail by separating the experiences in music into receptive and expressive music experience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