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3 Download: 0

1963년 군사정부의 민정이양과 미국의 개입

Title
1963년 군사정부의 민정이양과 미국의 개입
Other Titles
Interpretations of the U.S. Intervention in Korea, 1963: The Transition from Military Government to Civilian Rule
Authors
조한빛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병준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U.S. intervention in the transition to civilian rule from General Park Chung-Hee’s military government, and its aim is to determine the dynamics of the Korean political scene at the time, thereby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the 1963 restoration of civilian control. Park’s military group seized control through a military coup d’état on May 16, 1961.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SCNR) was established as a paramount governing body, of which Park became chair. In response, the Kennedy Administration promised to endorse the military regime and offer all possible economic aid if the coup group conducted a smooth transition from the military government to civilian rule. Thus, on August 12, Park promulgated a pledge to transition to civilian rule during the election in summer 1963. Park’s nephew-in-law, Lieutenant Colonel Kim Jong-Pil, the ROK CIA director, and his faction, including young colonels largely drawn from the Eighth Class of the Korea Military Academy, organized the new Democratic-Republican Party (DRP) to assist Park’s participation in the civilian government. The structure of the party was unilaterally unveiled to the other revolutionaries at the end of 1962. The SCNR had been split, as the factional dispute between the Kim faction and the anti-Kim faction imploded, caused by strife for control over hegemony, as well as “four financial scandals” in which Kim had allegedly committed to financing the party. In January 1963, the transition to civil rule was initiated, and the domestic political crisis brought the country to the brink of a civil war. The anti-Kim faction contacted the U.S. embassy in Seoul and urged the U.S. government to intervene in the removal of Kim. To do so, the U.S. government withheld $25 million dollars as additional aid, using it as leverage to purge Kim and his faction. As Korea's economy was on the verge of collapse due to the U.S. aid cut-off, military leaders pressured and threatened to isolate Park unless he eliminated Kim, followed by demands for Park's resignation. Park, dejected and unable to resist pressure, announced that he would not run for the presidency on February 18. Following this, Kim also resigned from politics and was virtually expelled from the country. The most staunch of the Kim faction pressured for a reversal of Park’s decision. At last, he announced that military rule would be prolonged for an additional four years if the people advocated for an extension in a national referendum. The U.S. and opposition were startled. Furthermore, Ambassador to Korea Berger and Secretary of State Rusk were at odds over how the U.S. responded to Park's March 16 statement. The U.S. government accepted both views and, issued a moderate public statement, suspending economic assistance and attempting military reduction as a hardliner. The military government, driven to the defensive, pondered how to withdraw the statement without jeopardizing the citizen’s trust in the government, and it devised five options, to discuss with Berger. Among them, the proposal to suspend the referendum was soon announced as Park's April 8 Statement, and the U.S. government, which was aware in advance, remained silent from the moment of the announcement. Meanwhile, Kim attempted to return to Korea around August, while Park and the DRP began preparing for the election. On August 8, however, General Song Yo-chan, the former prime minister of the military government, published an “Open Letter to Chairman Park” in Dong-A Ilbo, criticizing the incompetence of the Park regime and, creating a great stir in Korea. Three days later, Song was arrested and imprisoned by the CIA. The U.S. government demanded Song’s release, and the military government tried to compromise with the U.S. government, not by releasing Song but by delaying Kim’s return. As a result, Kim’s early August return failed. Thereafter, Kim planned to visit the U.S. and Japan one after the other in September to hold high-level talks to gain support from both countries and to return as a representative of domestic politics prior to the presidential election. However, Kim was unable to meet high-ranking officers in the U.S., as the Department of State and Korean Ambassador to the U.S., Kim Jeong-ryeol, sabotaged his plan, as Kim could only return home after the presidential election, without any success in Japan because of Berger’s intervention. In December 1963, as the 5th presidential inauguration was held and the 6th National Assembly was opened, the transition from military government to civilian rule, which spanned over a year, was completed.;이 연구는 1963년 군사정부가 민정이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미국의 개입을 살펴보고 이를 중심으로 민정이양의 역사를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61년 5·16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는 통치기구로 국가재건최고회의를 설치한 뒤, 혁명 과업이 완수되면 정권을 민간 정부에 이양하고 군으로 복귀하겠다는 혁명 공약을 발표했다. 미국은 군사정부를 지원하는 조건으로 공정한 선거를 통한 민정이양을 요구했다. 이에 1961년 8월 박정희는 1963년이 되면 선거를 치르고 그해 여름까지 완전히 민정을 복구할 것을 공언했다. 따라서 쿠데타 이래 민정이양의 시기와 방법은 가장 중요한 정치적 사안이 되었다. 민정이양 발표 직후 중앙정보부장 김종필은 군정이 민정으로 이양되어도 계속 집권할 방법을 궁리했다. 이에 김종필과 육사 8기 출신 중심의 김종필계는 비밀리에 재건동지회를 결성하여 박정희와 군부의 선거 승리를 뒷받침할 신당을 창당할 계획을 세웠다. 더불어 신당에 필요한 자금을 대기 위해 김종필계는 4대 의혹 사건을 일으켜 막대한 돈을 착복했다. 그리고 1962년 12월 국가재건최고회의의 다른 최고위원들에게 일방적으로 창당 계획을 발표했다. 혁명 공약대로 원대복귀를 주장해 온 육사 5기 출신 중심의 장성급은 민정에 참여하기 위한 비밀 사전 창당에 크게 반발하였고, 군정 내에서는 반김종필계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1963년 1월 약속된 민정이양의 해가 되자 김종필계의 신당인 민주공화당의 창당이 본격화되었다. 반김종필계의 불만은 최고조에 이르렀고, 상황은 곧 내전 직전까지 악화되었다. 반김종필계 인사들은 이를 계기로 오랫동안 독주해온 김종필을 없애기 위해 서울 주한미국대사관과 접촉하여 미국 정부가 사태에 개입하여 김종필 제거를 도울 것을 촉구했다. 야당 세력도 뜻이 같았다. 이에 미국 정부는 군정이 요청했던 추가 원조금 2,500만 달러와 추가 곡물의 지급을 보류하는 막후 경제 제재를 가했다. 미국의 원조 중단으로 경제 위기가 심각해지자 군 지도자들은 박정희에게 김종필의 숙청과 박정희의 민정 불참을 요구했다. 결국 2월 18일 박정희는 민정 불참을 선언했고, 김종필은 무기한 외유(外遊)를 떠났다. 강성한 김종필계는 박정희가 결정을 번복하도록 압력을 넣었다. 내부 진영에서 거센 압력에 놓인 박정희는 결국 4년의 군정 연장안을 제시하고 이 가부를 국민투표에 부쳐 정할 것을 골자로 한 3·16 성명을 발표하며 지난 발표를 뒤집었다. 이때 주한미국대사 버거와 국무장관 러스크는 미국의 대응 강도를 두고 갈등했다. 미국 정부는 두 의견을 모두 수용하여 온건책으로써 공식 반대 성명을 발표했고, 강경책으로써 추가 원조의 지급 보류 및 군사 지원 감축을 시행했다. 미국의 반대로 수세에 몰리자 군정은 위신에 타격을 입지 않고 전략적으로 3·16 성명을 철회할 방법을 고심했다. 그리고 다섯 가지 선택지를 고안하여 버거와 논의했다. 이 과정에서 최종 선택된 국민투표의 보류안이 곧 박정희의 4·8 성명으로 발표되었다. 발표 내용을 사전에 알고 있었던 미국 정부는 사후 침묵으로 일관했다. 한편 박정희와 민주공화당의 선거 준비가 본격화되자 해외에 있던 김종필은 국내로 복귀하여 대선 캠프에 합류하려 했다. 그러나 8월 8일 전 내각 수반 송요찬이 박정희 정권을 비판하는 「박 의장에게 보내는 공개장」을 『동아일보』에 게재하여 정계에 큰 파문이 일었다. 사흘 뒤 송요찬은 중앙정보부에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미국 정부는 군정에 송요찬의 석방을 요구했다. 이 과정에서 군정은 대권을 위협하는 송요찬을 석방하지 않는 대신, 김종필의 복귀를 늦추는 방식으로 미국 정부와 타협하려 했다. 따라서 송요찬 체포 사건의 간접적인 영향으로 김종필은 8월 정계 복귀에 실패했다. 9월이 되자 김종필은 다시 한번 대선 전에 복귀할 계획을 세웠다. 미국과 일본을 차례로 방문해서 고위급 회담을 열고 양국의 지지를 얻은 상태로 귀국하여 국내 입지를 높이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미 국무부와 주미한국대사 김정렬의 저지로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 미국에 이어 일본에서도 버거의 개입으로 성과를 이루지 못한 김종필은 박정희의 대통령 당선 이후 귀국할 수 있었다. 1963년 1년에 걸쳐 진행된 군정의 민정이양 과업은 12월 박정희의 제5대 대통령 취임과 제6대 국회 개원으로 완수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