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1 Download: 0

1960년대 여대생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이중성 연구

Title
1960년대 여대생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이중성 연구
Authors
윤혜성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연구는 1960년대에 중점적으로 활동한 여대생 작가 박계형, 최희숙, 신희수의 작품이 그간의 평가와는 달리 전후 남성중심의 국가 재건과정에 길항하고 있음을 이들의 대중연애소설에서 나타나는 사랑의 이중성을 통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1960년대는 전쟁과 4·19 그리고 5·16을 거쳐 ‘한국적 민주주의’를 제창하며 강력한 아버지 질서의 재건을 호출했다. 이에 따라 1950년대 자유로웠던 여성성은 부정되고 선택적으로 전통을 재호명한 1960년대는 ‘여성은 가정으로!’와 같은 슬로건에서 알 수 있듯 여성을 사적 영역에 제한시키고자 하는 보수화의 움직임이 대두된 시기로 이해된다.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에서 새로운 출판 경향과 더불어 등장한 여대생 작가의 소설은 명백히 보수화의 목소리와는 다른 결을 지녔음에도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으나, 문단과 평단에서는 철저히 외면받았다. 그러나 여대생 또한 1960년대 세대적 주체로 부상한 문학청년으로서 이들의 작품 역시 재평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고는 여대생 작가가 여대생을 등장인물로 앞세운 대중연애소설을 ‘여대생 소설’이라는 하나의 장르로 설정함으로써, 당대를 살아가는 여성 청년의 욕망과 내면을 살펴보는 동시에 어떻게 이들의 문학이 제도권의 문학과 변별점을 지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때 대중연애소설은 사랑이라는 사회적 구성물을 통해 당대에 공유하는 헤게모니의 다양한 양태와 의미망을 살펴볼 근거를 마련하기에, 1960년대 여대생 소설에 나타난 사랑을 분석하는 일은 당대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이에 대응하는 작가의 사적 담론을 확인하는 계기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대생 소설에서 나타나는 사랑이 감성으로의 도피가 아니라, 이들을 억압하고 배제하려는 가부장적 사회와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으로서 하나의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소설 속 사랑의 이중성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박계형의 소설에서 핵심적으로 나타나는 ‘낭만적 사랑’은 근대 사회를 성립시킬 수 있도록 만드는 정서적 동원 장치로 활용됨으로써 1960년대 여성문학의 한 축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성문단과는 달리 박계형의 소설이 지닌 변별점은 낭만적 사랑의 완벽한 성취에 있다. 이 때문에 박계형의 소설은 성(性)역할의 분담과 이중 규범이라는 전통의 재현과 선택적 재호명이 드러남으로써 여성을 사적 영역에 제한하고자 했던 국가 재건 논리에 동조하는 것으로 곡해되었다. 그러나 박계형은 본래 낭만적 사랑이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개인의 감정을 따름으로써 전복적 의미를 지녔다는 것, 즉 낭만적 사랑의 모순적 속성 중 친밀한 결속에 주목함으로써 국가가 주도적으로 유포한 이데올로기로 작용한 낭만적 사랑을 (재)발명한다. 이에 따라 성적·감정적으로 평등성을 전제하는 ‘순수한 관계’를 추구하는 박계형의 낭만적 사랑은 공적/사적 영역의 젠더화와 위계화를 소거하며, 여성에게만 강력히 적용되는 순결 이데올로기를 파괴한다. 나아가 이처럼 (재)발명된 낭만적 사랑은 국가 이데올로기를 전략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그 논리를 거부하는 유토피아적 저항을 보여준다. 최희숙의 소설에서 두드러지는 ‘열정적 사랑’은 사랑과 섹슈얼리티를 분리하지 않을뿐더러 오히려 그에 방점을 찍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에, 보수화의 움직임이 대두된 1960년대에 여성의 성욕을 보다 담대히 서사화했다는 점에서 기성문단과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최희숙 소설에서 중심이 되는 여대생의 섹슈얼리티는 여대생의 성(性)에 관련한 대중의 편견에 의해 도착되고, 남성 욕망을 재현하는 것으로 포착되어 작품 속 여대생들은 아프레걸의 전형으로 오인되었다. 하지만 최희숙은 ‘아프레’를 부정하지 않는 여대생을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기존의 연애소설 속‘아프레’를 적대시하는 지고지순한 여대생 인물과 대별되는 지점을 만든다. 또한 성적으로 문란한 여성이라는 의미로 한국에서 전유된‘아프레걸’을 남성의 문법을 파괴하는 여성으로 재전유한다. 그렇기에 최희숙이 그려내는 여대생은 성적 자기 결정권을 주장하고, 그럼으로써 재생산 장소로서의 육체를 거부하며 나아가 욕망의 자기 통제를 통해 여성 자신의 욕망을 체화한다. 신희수의 소설에서 두드러지는 ‘냉소적 사랑’에서 ‘냉소’란 주체 내부의 거리두기를 통해 발생하며, 근대의 계몽적 믿음이 현실 세계에 아무것도 바꿀 수 없다는 외부세계에 대한 환멸과 자기 부정의 감정에서 비롯하는 웃음이다. 신희수의 작품 속 여대생은 여성-청년으로서 젠더적·신세대적 입장에서 기성의 문법을 통렬히 비판하지만, 이미 기성세대가 구축한 사회에서 살아가는 한 개인으로서 자신을 발견함으로써 냉소를 자아낸다. 때문에 표면적으로 신희수 소설 속 ‘냉소적 사랑’은 아버지 세계의 바깥은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 자신이 비판하던 기성세대의 문법에 타협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냉소’는 모멸하는 대상과 그 주체의 역전 가능성을 통해 역설적으로 냉소를 통한 대항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미 목격된 아버지 세계의 추락과 벌어진 기성세대와의 간극은 그 자체로 기성의 문법에 균열을 가한다. 또한 신희수 소설 속 여대생은 상징적으로 아버지를 살해함으로써 아버지의 질서를 해체하고, 새로운 가족 질서의 수립에 대한 의지를 보여준다. 세 작가 모두 사랑의 이중성을 통해 지배 이데올로기의 재생산 혹은 저항이라는 단일한 차원이 아닌 기존 규범에 영합하는 듯하면서도 전위를 가리키는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차원을 그리고 있으며, 작품 내외적으로 여성들 간의 연대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또한 이들의 소설에 대한 젊은 여성 독자들의 관심과 인기가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보기엔 어려울 정도로 1960년대 내내 지속되었다는 것은 여대생 소설에서 나타난 사랑의 이중성을 통해 여성 독자들은 안전하게 자신의 저항적 욕구를 충족할 수 있었으며, 여대생 작가들이 사랑을 통해 정초한 새로운 세대의 윤리 감각에 동조했다는 것을 입증한다. 따라서 하나의 장르로서 ‘여대생 소설’을 설정하고 이들의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이중성을 고찰한 본고의 작업은 그동안 여대생이라는 표지 때문에 혹은 대중연애소설이라는 표지로 인해 한국문학사에서 조명받지 못한 여대생 소설을 재사유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1960년대 문학의 저변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orks of female college student writers Park Gye-hyung, Choi Hee-sook and Shin Hi-soo, who were active in the 1960s were antagonizing the postwar male-centered national reconstruction process, through the Duality of Love in their novels. As you know, the 1960s advocated 'Korean democracy' and called for the reconstruction of a strong patriarchal order through the Korean War, April Revolution, and 5·16. Accordingly, the 1960s, when the femininity that was relatively free in the 1950s was denied and selectively recalled the tradition, it is understood as a period when conservative movements to restrict women to private areas emerged, as can be seen in slogans such as 'Women to Home!'. In this background, the novel of a female college student who appeared with a new publishing tendency was explosively popular even though it was different from the voice of conservatism, but it was completely ignored in literary and criticism. However, since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lso generational subjects of literary youth in the 1960s, their works should also be reevaluated. Therefore, by postulating a novel written by a female college student who has a female college student as the main character as 'the female college student novel' genre, this study examines the desire and inner side of young women living in the 1960s and how their novel has a distinction from the institutional literature. The popular love novel provides a basis to examine various aspects and meaning networks of hegemony shared in the contemporary era through love which is a social composition. Thus, by analyzing the love depicted in the novel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1960s is an opportunity to find out the ideology of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writer's private discourse corresponding to i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rough the duality of love in novels that love in female college students' novels is not an escape to emotion but is used as a strategy as an active response to patriarchal society and reality to suppress and exclude them. The 'Romantic Love', which appears at the center of Park Gye-hyung's novels, was an axis of women's literature in the 1960s by being used as an emotional mobilization device to establish modern society. Nevertheless, unlike the established literary circles, the distinction of Park Gye-hyung's novel lies in the perfect achievement of romantic love. For this reason, Park Gye-hyung's novels were interpreted as conforming to the logic of national reconstruction, which tried to limit women to private areas by revealing the distribution of gender roles and the reproduction of traditions of double norms and selective re-calling. However, Park Gye-hyung (re)invents romantic love which worked as a leading ideology of the state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ntradictory attributes of romantic love, that romantic love originally had subversive meaning by following individual emotions away from interests. Accordingly, Park Gye-hyung's romantic love, which pursues a 'pure relationship' that presupposes sexual and emotional equality, eliminates genderization and hierarchy of public/private areas and destroys the virginity ideology that is strongly applied only to women. Furthermore, this (re)invented romantic love shows a utopian resistance that rejects the logic by strategically accepting the national ideology. The 'Passionate Love(Amour Passion)', which is prominent in Choi Hee-sook's novels, is not only separate from love and sexuality, but rather focuses on it, so it differs from the established literature in that it has narrated women's sexual desire more boldly in the 1960s when the movement of conservatism emerged. However, the sexua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which is the center of Choi Hee-sook's novels, was perverted by public prejudice regarding female college students' sex and was interpreted reproducing male desires, so the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novel were mistaken for the typical 'aprés-girl'. Nevertheless, Choi Hee-sook puts forward a female college student character who does not deny 'aprés', and creates a point that is different from the female college student character who is hostile to 'aprés' in previous love novel stream. In addition, 'aprés-girl', which is appropriated as a sexually promiscuous woman in Korea, is re-appropriated as a woman who destroys men's grammar in novel. Therefore, the female college student depicted by Choi Hee-sook argues for the right for sexual self-determination, thereby rejecting the body as a place for reproduction, and further embodying women's desires through self-control. The 'Cynic Love' in Shin Hi-soo's novel is caused by distance within the subject, and this sarcastic smile comes from disillusionment with the outside world and feelings of self-denial that modern enlightenment beliefs cannot change anything in the real world. The female college student in Shin Hi-soo's novel harshly criticizes the grammar of older generation, but raises cynicism by finding herself as an individual living in a society already built by the older generation. Therefore, on the surface, 'Cynical love' in Shin Hi-soo's novel seems to confirm that there is no outside of the father's world and compromise on the grammar of the older generation that she criticized. However, 'cynical' paradoxically creates a confrontation through cynicism through the possibility of reversal of the object and its subject. Consequently, the fall of the father's world already witnessed and the gap between the older generation itself crack the grammar of the older generation. In addition, Shin Hi-soo's female college student symbolically murder her fathers to dismantle their father's order and show her will to establish a new family order. All three writers are not single dimensions of reproduction or resistance of dominant ideology through the duality of love, but they are multi-layered and complex dimensions which seem to be in line with existing norms but point to avant-garde, and have common points in that they emphasize solidarity among wome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novel. Also, the fact that the interest and popularity of young female readers about their novels lasted throughout the 1960s, which is difficult to see as a temporary phenomenon, proves that female readers were able to safely meet their resistance desires and followed to the new generation of ethical senses that were justified through the duality of love in female college students' novels. Therefore, this study, which set up 'women's college students novel' as a genre and examined the duality of love in their novels, is expected to allow the re-examin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novels that have not been illuminated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due to the cover of female college students or the cover of popular love novels and it is expected to expand the base of literature in the 1960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