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1 Download: 0

15世紀 後半 阿彌陀如來三尊像 硏究

Title
15世紀 後半 阿彌陀如來三尊像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mitabha Buddha Triad in the Late 15th Century
Authors
이서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조선전기, 불상, 아미타여래삼존, 아미타삼존, 수륙재, 무위사, 복천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연미
Abstract
본 논문은 15세기 후반에 제작된 阿彌陀如來三尊像의 사례를 파악하고 제작배경 및 존상 구성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그동안 15세기 아미타여래삼존상은 고려후기 불상 전통을 계승한 조선전기 불상의 개별적 사례 중 하나로 인식되어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아미타여래삼존상은 15세기 후반 불교 의례 설행의 중심 존격으로 자리잡음으로서 중심 전각의 핵심 불상으로 봉안되었다. 15세기 아미타여래삼존상 연구는 고려후기를 기반으로 ‘고려적인 것’과 ‘고려적이지 않은 것’을 규명하는 이분법적인 연구 경향으로 인해 그 차이가 한눈에 나타나는 양식적 특징에 집중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즉, 현전하는 조선전기 불상 자체가 적다는 한계로 인해 양식사적 범주에서만 해석된 것이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15세기 후반 아미타여래삼존상의 조성과 현상 변화에 집중하여 佛殿에서 행해지는 불교의례와 불상이 상관관계를 지니며 조성되었음을 지적하고 이를 다각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먼저 아미타여래삼존상의 제작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紀年銘 불상 및 무기년명 불상을 종합하여 15세기 아미타여래삼존상 제작현황을 파악했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아미타여래삼존상은 14세기와 16세기를 통틀어 15세기에 가장 많은 제작사례를 보이고 있다. 또한 15세기 후반부터 아미타여래삼존상이 전각에 봉안되는 크기로 제작되기 시작하며 존상 구성 역시 아미타여래, 관음보살, 지장보살의 삼존상이 주로 제작되는 것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水陸齋의 설행과 아미타여래삼존상 조성의 상관관계를 고찰했다. 조선 초기에는 고려로부터 이어지던 대다수의 불교의례들이 금지되지만, 태조에 의해 최초로 설행된 수륙재는 1397년 진관사에 수륙사가 설치되며 국가적인 상례로 자리잡혔다. 그리고 1464년에는 세조에 의해 수륙재 의식 절차를 집약한 최초의 수륙재 의식집인『天地冥陽水陸雜文』이 간행된다. 이를 통해 15세기 후반에 이르러 보다 수륙재 의식 절차의 완성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의례문과 의식문을 통해 수륙재의 핵심 존격이 아미타여래삼존임을 알 수 있다. 먼저 의례문인 『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와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의 召請下位 절차에는 아미타여래, 관음보살, 대세지보살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으며, 『천지명양수륙잡문』에는 기존 수륙재 의례집에는 실려있지 않은 ‘阿彌陀淨土上生之圖’와 ‘淨土三聖往生圜壇’의 變相圖가 주목된다. 이 중 ‘정토삼성왕생환단’에는 구체적으로 아미타여래, 관음보살, 대세지보살의 명칭이 등장하며 수륙재와의 연관성이 확인된다. 수륙재를 올리며 아미타여래삼존을 조성한 사례로 강진 무위사와 보은 복천사가 주목된다. 강진 무위사는 1430년 극락보전이 중창된 이래로 1476년 후불벽이 세워지며 <아미타삼존벽화>를 조성하고 2년 뒤인 1478년 <아미타여래삼존좌상>을 조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이고 있어 이들이 수륙재를 지내기 위해 순차적으로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같은 시기 다른 水陸寺 중창기록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기존에 논의되지 않은 15세기 사찰들의 중창과정을 살펴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이 1478년에 조성되었음을 제시했다. 복천사는 아쉽게도 1733년 화재를 통해 전각과 사찰이 모두 전소되었지만, 「복천사중수보권문」과 「복천사어제」, 「복천사어제후기」를 바탕으로 수륙재를 지내기 위해 아미타여래삼존상을 조성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아직 학계에서 주목받지 못한 기록자료로, 무위사보다 27년이나 앞서 왕실에서 수륙재를 지내며 아미타여래삼존상을 조성한 사례로 주목된다. 마지막으로 고려후기부터 아미타여래삼존의 제작전통을 불화와 불상을 종합하여 확인하고 15세기 후반에 아미타·관음·지장 삼존상이 중대형으로 제작되는 의미를 알아보았다. 지장보살을 협시로 한 아미타여래삼존은 이미 고려후기부터 불화와 불상에서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러나 고려후기까지는 아미타·관음·대세지 삼존이 우세한 반면, 15세기는 아미타·관음·지장 삼존상이 우세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상에서 아미타여래, 관음보살, 지장보살의 결합은 주로 고려후기 소금동불에서부터 나타나는 것이 확인된다. 이들은 주로 금강산에서 출토되고 있어 아미타·관음·지장 삼존상의 등장은 금강산이 지닌 내세관과 부합하여 등장하였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금강산에 소형의 <금동아미타여래삼존상>을 안치하는 경향은 15세기까지 이어져 1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아미타여래, 관음보살, 지장보살로 구성된 삼존의 인식이 점차 내세와 관련한 존상 구성으로 자리잡았음을 알 수 있다. 15세기 후반은 본격적으로 아미타·관음·지장 삼존상이 주요 전각의 불상으로 봉안되며, 이는 아미타·관음·지장 삼존상이 예배의 대상으로 그 역할이 확대되었음을 의미한다. 무엇보다 이들은 ‘삼악도’를 벗어나게끔 도와주는 특별한 존상으로 수륙재와 연결됨이 주목된다. 특히 무엇보다 수륙재가 삼악도에 빠진 영혼을 구제하는 의식을 중요하게 인식했다는 점에서 지장보살이 협시로 들어올 수 있던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 이에 지장보살과 관련한 경전과 실제 수륙재를 지내며 지장보살 1구만을 조성한 영감암의 사례를 통해 제시했다. 또한 무엇보다 수륙재 의식집 󰡔천지명양수륙잡문󰡕의 소첩에는 지장보살상을 조성해야 한다는 직접적인 언급이 있어 지장보살상의 조성은 수륙재에서 필수로 이루어졌음을 밝혀냈다. 이상으로 15세기 후반 아미타여래삼존상의 제작은 수륙재를 통해 극대화되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15세기 후반 수륙재 의식집 간행 및 중창불사의 성행은 사찰의 중심전각에 안치될 만큼 아미타여래삼존상의 유행을 불러 일으켰다. 또한 아미타·관음·지장 삼존상은 15세기 후반에 그 역할이 확장되며 이 역시 수륙재와 관련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se of Amitabha Buddha Triad 阿彌陀如來三尊像 created in the late 15th century and comprehensively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creation background and composition of the statue. The Amitabha Buddha Triad of the 15th century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individual examples of Buddha statu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at inherited the tradition of Buddhist statues in the late Goryeo period, so it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However, since the Amitabha Buddha Triad was established as an important deity for Buddhist rites in the late 15th century, it was enshrined as the core Buddha statue in Buddhist sanctums. The studies on the Amitabha Buddha Triad of the 15th century mainly focused on stylistic characteristics that show the difference at a glance because most of the studies tend to distinguish between 'Goryeo-style' and 'not Goryeo-style' at the point of the late Goryeo period. In other words, it has been interpreted only within the category of stylistic history due to the limitation that only a few Buddhist statu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re in existence. However, this study tried to point out that the Buddhist rites performed in Buddhist temples and the Buddha statues were correlated and created, and to consider it from various angles, with a focus on the composition and change of the Amitabha Buddha Triad in the late 15th century.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creation trends of Amitabha Buddha Triad, this study identified the creation background of Amitabha Buddha Triad in the 15th century by comprehensively looking into Buddha statues with and without inscribed dates. From the 14th to the 16th centuries, the 15th century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Amitabha Buddha Triad handed down to this day. In addition, the Amitabha Buddha Triad was found to be created in the size of the enshrined in Buddhist sanctums from the late 15th century, and accordingly the statue was mainly made of triad; Amitabha, Avalokitesvara, and Ksitigarbha. Nex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ryukjae and the creation of the Amitabha Buddha Triad was examined. Most buddhist rites continued from Goryeo were bann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first Suryukjae performed by King Taejo 太祖 was established as national funeral rites since Suryukjae was built at Jingwansa 津寬寺 in 1397. Besides, the first Suryukjae Buddhist rites collection 『Cheonjimyeongyangsuryukjammun 天地冥陽水陸雜文』, which was compiled by King Sejo 世祖, was published in 1464. This suggests that Suryukjae rites became more perfect by the late 15th century. In particular, through the Texts of ceremony 儀禮文 and Manuals for the Rites 儀式文, it can be seen that the core statue of honor 尊像 of Suryukjae is Amitabha Buddha Triad. First of all, the procedures of 『Cheonjimyongyangsuryukjaeuichano 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and 『Beopgyeseongbeomsuryukseunghoesujaeuigwe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 specifically refer to Amitabha, Avalokitesvara, and Mahasibamaprata, and in 󰡔Cheonjimyeongyangsuryukjammun󰡕, there is much attention towards Byeonsangdo 變相圖 of 'Amitajeongtosangsaengjido 阿彌陀淨土上生之圖' and ‘Jeongtosamseongwangsaenghwandan 淨土三聖往生圜壇',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Suryukjae Buddhist rites collection. The names of Amitabha, Mahasibamaprata, and Avalokitesvara appear specifically in 'Jeongtosamseongwangsaenghwandan', and their connection with Suryukjae is identified. Muwisa in Gangjin and Bokcheonsa in Boeun are receiving attention as a case of the creation of Amitabha Buddha Triad for having Suryukjae. Muwisa in Gangjin is showing a series of processes: the erection of Buddhist mural paintings in 1476 since the reconstruction of Geuknakjeon in 1430, followed by the creation of , and two years later in 1478, the construction of . They were built sequentially for having Suryukjae. This can be identified specifically through other reconstruction records of Suryuksa at the same period of time, and this study suggested that at Muwisa was made in 1478 by examining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temples in the 15th century, which had not been discussed before. Unfortunately, Buddhist sanctums and temples at Bokcheonsa were completely destroyed by fire in 1733, but Amitabha Triad was found to be created for having Suryukjae based on 「Bokcheonsajungsubogwonmun 福泉寺重修普勸文」, 「Bokcheonsaeoje 福泉寺御製」, and 「Bokcheonsaeojehugi 福泉寺御製後記」. These are examples of Amitabha Buddha Triad created while having Suryukjae in the royal family 27 years earlier than Muwisa, as the documented records that haven't yet received attention from academia. Lastly, this study identified the creation tradition of Amitabha Buddha Triad from the late Goryeo period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Buddhist paintings and statues, as well as the meaning of Amitabha·Avalokitesvara·Ksitigarbha Triad created in medium and large sizes in the late 15th century. Amitabha Buddha Triad which regards Ksitigarbha as the attendant Buddha statue has already begun to appear in Buddhist paintings and statues since the late Goryeo period. However, Amitabha·Avalokitesvara·Mahasibamaprata Triad prevailed until the late Goryeo period, whereas Amitabha·Avalokitesvara·Ksitigarbha Triad prevailed in the 15th century. The combination of Amitabha, Avalokitesvara, and Ksitigarbha in terms of Buddhist statues started to appear in earnest from Small Gilt Bronze Buddha statues in the late Goryeo period. As these are mainly excavated from Mt. Geumgang, it suggests the Amitabha·Avalokitesvara·Ksitigarbha Triad might appear in accord with the afterlife view of Mt. Geumgang. The trend of enshrining small in Mt. Geumgang continued until the 15th century so that an awareness of the triad consisting of Amitabha, Avalokitesvara, and Ksitigarbha has been gradually established as the composition of statues related to the afterlife over a period of more than a century. In the late 15th century, Amitabha·Avalokitesvara·Ksitigarbha Triad was enshrined as Buddha statues in Buddhist sanctums, which means their role expanded as objects of worship. bove all, it is noteworthy that they are related to Suryukjae as a special statue that helps them escape from ‘Samakdo 三惡道’. In particular, this study could discuss in detail the possibility that Ksitigarbha was the attendant Buddha statue in that Suryukjae considered the rites of saving souls from Samakdo important with regard to Ksitigarbha. Accordingly, this was suggested through not only the scriptures related to Ksitigarbha but also the case of Yeonggamam 靈鑑菴 where only one Ksitigarbha was created while having the actual Suryukjae. But most of all, it revealed that the creation of Ksitigarbha was essential in Suryukjae, as there was a direct reference that Ksitigarbha should be constructed in Socheop 所牒 of the Suryukjae Buddhist rites collection 『Cheonjimyeongyangsuryukjammu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at the creation of Amitabha Buddha Triad in the late 15th century was maximized through Suryukjae rites. In the late 15th century, the publication of the Suryukjae Buddhist rites collection and the prevalence of Buddhist ceremony for rebuilding the temple set the trends of Amitabha Budhha Triad to the extent that they were enshrined in the main Buddhist sanctums of temples. Furthermore, the role of Amitabha·Avalokitesvara·Ksitigarbha Triad expanded in the late 15th century, and this study tried to reveal that this is also related to Suryukja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