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1 Download: 0

다윗의 사울 애도에 나타난 신명기 사가의 신학

Title
다윗의 사울 애도에 나타난 신명기 사가의 신학
Other Titles
Deuteronomistic Theology in David’s Mourning of Saul: 2 Samuel 1:1-16 and 21:1-14
Authors
김승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윤경
Abstract
본 연구는 다윗의 애도가 사무엘하의 왕권 전환 서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사무엘서의 편집자인 신명기 사가는 다윗의 애도 장면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신학적 의도를 드러내며, 사울에게서 다윗에게로의 권력 교체 과정을 묘사할 때 이 애도를 결정적인 계기로 활용한다. 본 연구는 다윗이 사울의 전사(戰死) 소식을 듣고 슬퍼하는 사무엘하 1:1-16과 다윗이 사울을 고향 땅에 묻어주는 사무엘하 21:1-14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본 연구는 성서 본문의 편집자와 편집 의도를 분석하는 편집비평을 활용하여 각 본문에서 요시야 시대와 포로기의 신명기 사가의 편집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문의 문학적 구조, 어휘, 상징 등을 분석하는 수사비평을 활용하여 각 시대의 신명기 사가가 다윗의 애도를 통해 자신의 신학을 드러냈음을 확인했다. 사무엘하 1:1-16 본문은 다윗이 사울의 죽음에 연루되지 않았다는 것을 주장하기 위해 다윗의 애도를 강조한다. 또한 이 본문은 ‘야웨의 기름부음 받은 자’인 사울의 죽음을 이방 민족인 아말렉 사람의 탓으로 돌린다. 여기서 유다의 민족적·종교적 정체성을 강화하고자 했던 요시야 시대 신명기 사가의 신학을 확인할 수 있다. 사무엘하 21:1-14 본문은 사울을 고향 땅에 묻어줌으로써 나라의 기근 문제를 해결하는 다윗의 모습을 그려낸다. 이 본문은 사울의 죄와 다윗의 신실함을 대조하며, 야웨에게 순종하는 왕인 다윗을 통해 나라가 회복되었음을 강조한다. 여기서 유다 왕조를 통한 이스라엘의 회복에 대한 기대를 유지하고 있었던 포로기 신명기 사가의 신학을 읽어낼 수 있다. 본 연구는 두 본문이 맺고 있는 관계에 주목하였다. 사무엘하의 도입부인 사무엘하 1:1-16에서 죽은 사울에 대한 다윗의 애도가 이미 이루어졌는데, 사무엘하의 결론부인 사무엘하 21:1-14에서 사울의 죽음이 다시 언급되고 다윗이 사울을 매장하는 이야기가 등장하는 이유를 밝히고자 함이었다. 본 연구는 적절한 매장을 누락하였던 사무엘하 1:1-16의 애도를 미완의 애도로 규정하고, 사무엘하 21:1-14의 매장과 장례 의식을 통해 다윗의 애도가 완성되었다고 보았다. 또한 이 애도의 완성과 함께 다윗과 사울 왕조 사이의 정치적 긴장이 해소되었음을 주장하였다. 이는 사무엘하의 서사 전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결론이었다. 사무엘하 1:1-16에서 행해졌던 애도 이후에도 다윗과 사울 왕조 사이의 긴장은 계속되었다. 사무엘하 2-20장에 등장하는 유다와 이스라엘의 전쟁, 사울의 딸 미갈의 다윗 비판, 베냐민 사람 세바의 반란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사무엘하 21:1-14에서 이루어진 사울의 매장은 비로소 두 왕조 사이의 갈등을 완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사무엘하에 등장하는 사울에 대한 다윗의 애도를 분석함으로써, 사무엘서의 편집자인 신명기 사가가 사울에게서 다윗에게로의 전환 과정을 묘사할 때 다윗의 애도를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였음을 밝혀냈다.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at David’s mourning plays a key role in the narrative of the transition of kingship in 2 Samuel. The editors of the book of Samuel (the Deuteronomists) reveal their political and theological intentions through David’s mourning scene, which they use as a determining moment in describing the process of power transition from Saul to David. This study focuses on 2 Samuel 1:1–16, in which David grieves after receiving the news of Saul’s death in battle, and 2 Samuel 21:1–14, in which David buries Saul in his hometown. By using redaction criticism to analyze the editor and editorial intentions of each text,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Deuteronomistic redactions from Josiah’s time(Dtr¹) and Exilic period(Dtr²) were found in each text. In addition, using rhetorical criticism that analyzes the literary structure, vocabulary, and symbols of the text, this study found that the Deuteronomists of each era revealed their theology through how they described David’s mourning. 2 Samuel 1:1–16 emphasizes David's mourning to assert that David was not involved in Saul's death. The text also attributes the death of Saul, the “Lord’s anointed,” to an Amalekite, a foreigner. From this, we can see the Deuteronomistic theology of the author in Josiah’s time who tried to strengthen the national and religious identity of Judah. 2 Samuel 21:1–14 depicts David solving the country’s famine by burying Saul in his native land. This text contrasts Saul's sin with David's faithfulness and underscores the restoration of the nation through David, an obedient king to YHWH. Through this, we can find the Deuteronomistic theology of the Exilic editor who tried to insist on Israel's recovery through the Judean dynasty. This study focu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two tex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David’s mourning for Saul has already been depicted at the beginning of 2 Samuel, but the conclusion of 2 Samuel mentions Saul’s death again and details the story of David burying Saul. This study defines David’s mourning in 2 Samuel 1:1–16, which had omitted the proper burial rituals, as incomplete. David’s mourning is completed through the burial and funeral rites described in 2 Samuel 21:1–14. This study also claims that political tension between the Davidic and Saulide dynasties is resolved upon the completion of the mourning. This conclusion resulted from the narrative development of 2 Samuel. The tension between Davidic and Saulide dynasties continued after the mourning described in 2 Samuel 1:1–16. This was confirmed through the events of 2 Samuel 2–20: war between Judah and Israel, the criticism of David by Saul’s daughter Michal, and the rebellion of Sheba the Benjaminite. Saul's burial in 2 Samuel 21:1–14 finally alleviates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dynasties. By analyzing David’s mourning for Saul in 2 Samuel,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Deuteronomists—the editors of the book of Samuel—used David's mourning as an important factor when describing the transition from Saul to Davi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