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5 Download: 0

강원도교육청 다문화교육정책의 변화와 과제

Title
강원도교육청 다문화교육정책의 변화와 과제
Other Titles
Changes and Challeng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uthors
윤소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한업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promoted by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and analyze policies that reflect multicultural locality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regional policy promotion to find the direction of Gangwon-do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ince the state-le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was implemented in earnest in 2006,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However,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hich are in charge of practical implementation of policies directly related to the local community, is being conducted very passively.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hare the basic direction and core task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ut the role and function of policy implementation as a central and regional area must be different. Accordingly, the study of this paper was approached from two main directions. First, during the 15 year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f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the pattern and change of the policy of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and the chang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was considered in terms of the role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econd, it is an analysis of the project to reflect locality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f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which is to be dealt with as a major issue in this paper. This started from the perspective that it is justifiable and essential to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region in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policy implementation, as local community members are targeted against the background of local spatiality. Accordingly,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diagnosed projects reflecting regional factors and presented problems and alternativ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limited to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s basic pla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from 2007 to 2021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s basic pla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from 2006 to 2021. In addition, the policy change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f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policy targets and contents, which are the main areas of policy implementatio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ceptance and change of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maintained almost the same content and form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focusing on four key tasks: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improve and spread multicultural educa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for the implementation system in the early stages of the policy, these projects focused on 'improving the educational power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pporting adaptation to school life'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n the other hand, only a small number of projects under the theme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were operated to support non-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were actually separated according to the cultural background between residents and migrant background students. The detailed projects for each area of each task were carried out mainly on the basic projec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re was no policy differentiation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Gangwon-do model or the operation of regional special projects. In addition, the overall policy change showed a repetitive pattern of aligning the contents of the implementation with the change in the policy stanc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resentation of new projects. As a result, problems related to the policy implementation in the form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excessive bias in educational content for each project, arbitrary use of multicultural terms without clear concept definition, simplicity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non-multicultural students, and sticking t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o be focused on in this paper, it was difficult to find clear results in policies reflecting regional specificity factors in Gangwon-do from the period and experience of policy implementation. There were no projects that could be seen as distinctive, unique, sustainable, and educational effects represented by Gangwon-do's regional customized projects, and most of the policies considered for locality ended as short-term projects within three years, showing insufficient overall policy implemen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policy that contributes to the change of local multicultural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a policy approach necessary to create a foundation for a community that embraces cultural diversity. To this end, I would like to present the following measures.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according to mid- to long-term planning as a priority task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local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expanded to mutual cultural education to be treated as an educational principle based on the value necessary for active co-prosperity between members of society. Third, 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substantial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by enhancing teachers' multicultural capabil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enhance policy synerg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omplementary and cooperative system with the local community. Fifth, a regional customized basic plan that reflect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regional specificity should be established.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expect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ore advance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through consideration of these proposals in that it leads the independent role of responding to the reality of the local multicultural society and promoting educational policies for future changes.;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교육청이 추진한 다문화교육정책의 변화 과정을 고찰하고, 지역에 기반한 정책 추진의 중요성 차원에서 다문화 지역성 반영 정책을 분석하여 강원도 다문화교육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2006년 국가 주도의 다문화교육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이래 교육부 다문화교육정책에 대한 연구와 분석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지역사회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정책의 실질적 시행을 담당하는 시·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문화교육정책에서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다문화교육의 기본방향과 핵심 과제는 공통으로 추진하지만 중앙과 지역으로서의 정책 추진 역할과 기능은 다르게 이루어져야 하는 측면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의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강원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추진 15년 동안 교육부 정책 수용 양상과 변화를 통시적으로 분석하고, 시·도교육청의 역할 차원에서 강원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둘째, 본 논문에서 주요 논점으로 다루고자 한 강원도교육청 다문화교육정책에서의 지역성 반영 사업에 대한 분석이다. 이것은 정책의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가 일정한 지역 공간성을 배경으로 지역 공동체 구성원이 대상이 되므로 정책 추진의 방향과 내용에 지역이 가진 특수성을 반영하는 것은 당위적이고 필수적인 것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강원도교육청 다문화교육정책에서 지역성 요인들이 반영된 사업을 진단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분석 대상은 2007년부터 2021년까지의 강원도교육청 다문화교육정책 기본계획 문서와 2006년부터 2021년까지의 교육부 다문화교육정책 기본계획 문서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강원도교육청 다문화교육정책의 정책 변화는 정책 추진의 주요 영역인 정책 대상과 내용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강원도교육청 다문화교육정책의 수용 양상과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강원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은‘다문화학생 교육 지원’, ‘다문화 이해 제고 및 확산’, ‘교원의 교육전문성 제고’, ‘다문화교육 지원체계 강화’의 네 가지 핵심 과제들을 중심으로 추진되면서 전체적으로 교육부와 거의 동일한 내용과 형태를 유지하였다. 이 과제들은 정책 초기의 추진체제 기반 조성 이후,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력 제고와 학교생활 적응 지원’에 초점을 맞춘 사업내용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반면 비다문화학생을 지원하는 사업은 ‘다문화 이해 교육’을 주제로 하는 사업이 소수 운영되는 데 그쳐 실제적으로 정주민 학생과 이주배경학생 간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교육내용이 분리되었다. 각 과제의 영역별 세부사업은 전체적으로 교육부의 기본사업을 위주로 추진되어 강원도형 모델 구축이나 지역 특색사업 운영과 같은 정책 차별성은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전반적인 정책의 변화는 교육부의 정책 기조 변화와 새로운 사업의 제시에 따라 추진 내용을 함께 맞추어가는 패턴이 반복되는 형태를 보였다. 이에 따라 교육부의 정책과 유사한 형태로 추진된 정책 추진 내용상의 문제점으로는 사업 대상별 교육내용의 지나친 편중성, 분명한 개념 정의 없이 사용하는 다문화 용어의 자의적 사용, 비다문화학생에 대한 다문화 이해 교육 내용의 단순성, 그리고 문화다양성 교육 유형의 고착화와 같은 부분들이 나타났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 지역성 반영 다문화교육정책에 대한 분석 결과, 그간의 정책 추진 기간과 경험으로 볼 때 강원도의 지역 특수성 요인을 반영한 정책은 뚜렷한 실적을 찾기 어려웠다. 강원도의 지역맞춤형 사업으로 대표할 만한 차별성이나 독자성, 지속성, 교육효과성이 뚜렷하다고 볼 수 있는 사업은 없었고, 지역성이 고려된 정책도 대부분이 3년 이내의 단기사업으로 종료되어 전체적으로 정책 추진의 미진함이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성 반영 다문화교육정책 사업의 운영은 문화다양성을 수용하는 지역사회의 기반 조성을 위해 지역 교육청이 담당해야할 역할이자, 세계성과 지역성의 새로운 접합이 다문화시대에 걸맞는 지역정체성으로 거듭나도록 하는 데에 반드시 필요한 정책적 접근이라는 관점에서 지역 다문화사회 변화에 기여하는 정책적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다문화교육은 지역 다문화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중점과제로 중장기 계획 수립에 따라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교육은 사회구성원간의 적극적 상생에 필요한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원칙으로 다루어지도록 상호문화교육으로의 확장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 교사의 다문화역량 제고를 통한 내실 있는 교육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와의 상보적·협력적 시스템 구축을 통해 정책적 시너지 효과를 제고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 특수성의 강약점을 반영한 지역맞춤형 기본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강원도교육청은 지역 다문화사회의 현실 대응과 미래 변화를 위한 교육정책을 추진하는 주체적 역할을 주도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제안에 대한 고려를 통해 더 발전적인 다문화교육정책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