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3 Download: 0

Non-native Phonetic Convergence in Korean L2 Learners of English

Title
Non-native Phonetic Convergence in Korean L2 Learners of English
Other Titles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음성 수렴 패턴
Authors
ANDRIANAKI, EVANTHIA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은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가 모국어인 영어 학습자들이 영어 모국어 화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내는 음성 수렴 패턴을 고찰하는 것이다. 대인관계 시너지 이론(interpersonal synergy approach; Fusaroli, Rączaszek-Leonardi, & Tylèn, 2014; Fusaroli & Tylèn, 2016)에 따라 음성 수렴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요소들에 대해 두 상반되는 연구 결과(Hwang, Brennan, & Bradlow, 2015; Kim, Horton, & Bradlow, 2011)을 비교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국어가 모국어인 영어 학습자 5명이 영어 모국어 화자와의 협업 과제를 수행하기 전, 수행하는 중, 수행한 후에 각각 실험 자료들을 조음하였다. 모음 지속시간과 포먼트(formant) 값을 각 참가자별로 측정해 통계 분석하였다. 협업 과제를 수행하기 전과 비교하여 과제를 완료한 후 모음 /i/-/ɪ/의 지속시간에 대해 학습자와 모국어 화자 값 간 차이가 작아졌으며, /t/-/d/의 음절 말 유무성에 따른 선행 모음 길이의 차이는 커졌다. 포먼트 값에 대해서는 F1과 F2 값이 모두 유의미한 수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협업 과제 후 학습자들의 모음 지속시간이 모국어 화자의 패턴과 더 유사하게 되었다. 학습자들이 조음한 긴장 모음 /i/는 영어 모국어 화자가 조음한 모음 값에 가까웠다. 이완 모음의 경우, 협업 과제 완료 후 F1 값에 대해 모국어 값으로의 수렴 패턴을 나타냈다. 학습자들은 포먼트 값에 비해 모음 지속시간에 대해 더 수렴하는 현상을 나타냈는데, 이는 지속시간이 무표적(unmarked), 포먼트 값이 유표적(marked) 자질이라는 주장과 일치한다(Choi, Kim, & Cho, 2016).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나타낸 이러한 영어 음성 수렴 현상들을 대인관계 시너지 이론이 맥락별로 모델링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objective of the present thesis was to investigate phonetic convergence in learner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with Korean native background. Contextual factors that affect phonetic convergence were examined individually and in relation to one another, in accordance with the interpersonal synergy approach (Fusaroli, Rączaszek-Leonardi, & Tylèn, 2014; Fusaroli & Tylèn, 2016), in an effort to reconcile the contrasting findings of Hwang, Brennan, & Bradlow (2015), and Kim, Horton, & Bradlow (2011). A total of 5 Korean learners of English completed a three-part experiment, during which they produced target monosyllabic words prior, during, and post a collaborative task with an English native speaker. Within-subject analysis of vowel duration and formants revealed that the subjects converged in the temporal aspect, producing a smaller durational difference for the /i/-/ɪ/ vowel contrast, and a greater difference for the /t/-/d/ coda voicing contrast post-interaction. However, they were less successful in manipulating spectral values, and did not elicit significant effects in neither the first (F1) nor the second formant (F2). Subsequently, comparison of native and learner data indicated that the subjects’ production of vowel duration was more similar to native speaker’s in the post-test task. Furthermore, tense vowels mirrored the native pattern throughout the experiment. Lax vow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ut showed slight convergence for the F1 post-interaction. The subjects manipulated vowel duration more effectively than spectral value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observation that the latter is marked (Choi, Kim, & Cho, 2016). In addition, the contextual goal during the collaborative task was its successful completion, rather than alignment, as noted in the delay in convergence until the post-test task. The interpersonal synergy framework accounts for these contextually specific components and permits an explanation that considers the distinct qualities of phonetic convergence of Korean EFL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