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상호문화도시 지역사회 교육 사례 연구

Title
상호문화도시 지역사회 교육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Community Education in the Intercultural City : Focusing on Yeongdeungpo-gu, Seoul
Authors
김희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태현
Abstract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상호문화도시의 지역사회 교육 사례 연구를 통해 상호문화도시에서 진행하는 지역사회 교육의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에 가입한 서울시 영등포구가 상호문화도시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지역사회의 교육을 활성화함으로써 영등포구의 로컬리티를 반영한 상호문화도시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세부적인 논점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별과 혐오를 극복하는 공간으로서의 로컬이자 다양한 지역민이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하는 상호문화도시에서 이루어지는 지역사회 교육 선행 사례를 분석하여 서울시 영등포구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과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둘째, 상호문화도시로서 서울시 영등포구는 어떤 로컬리티를 지니고 있으며 지역민에게 어떤 주체성을 부여하고 있는가? 국가적 정체성에 의해 구분하던 정주민-이주민의 관계가 아닌 새로운 상생의 관계를 모색할 때 영등포구의 로컬리티가 어떤 가치로 작용할지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상호문화도시에서 지역사회 교육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영등포구에서 이루어지는 지역사회 교육 사례를 분석해보고 상호문화적 가치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기존 교육의 보완점을 제안하고 상호문화도시 영등포구에서 지역사회 교육이 지니는 가치와 역할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구 방법으로 학술 논문, 연구 보고서, 정책 자료, 서적 등의 기존 문헌과 통계자료를 활용한 양적 연구방법과 구체적 현장 사례를 살펴볼 수 있는 지역 및 기관 답사, 교육 프로그램 참여 관찰, 심층 인터뷰를 활용한 질적 연구 방법을 함께 활용했다. 선행사례로는 영국 브래드포드와 서울시 구로구의 지역사회 교육 사례를 활용했다. 영국 브래드포드에서는 상호문화도시의 지역사회 상호문화교육에서 모범 사례 중 하나인 모두를 위한 브래드포드 프로젝트 내의 학교 연계 네트워크(School Linking Network, SLN)와 브래드포드 리드(Bradford Lead)라는 청년리더 양성 교육을 조사했으며, 서울시 구로구에서는 상호문화 리더 양성과정과 상호문화이해 교육에 교육 참가자로 참여관찰한 사례를 분석했다. 영국 브래드포드는 급격한 이주민의 유입으로 주류 문화와 갈등을 빚으면서 인종 간 소요사태를 촉발했고 지역사회 결속력을 강화하는 방식을 통해 지역사회의 통합을 구축했다. 단일문화 사회에서 단기간의 이주민 유입과정을 거쳐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브래드포드는 이러한 점에서 한국 사회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서울시 구로구의 경우 영등포구와 인접한 지역이면서 서울시 지역자치구라는 특성을 공유하고 최근 다문화정책에서 상호문화정책으로 전환한 후 다양한 시도를 하는 지역이기에 두 지역의 사례를 통해 서울시 영등포구에서 참고할만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연구 지역인 영등포구의 대림동은 국가적 정체성에 의한 정주민-이주민의 고정관념을 유지하는 로컬이다. 또 다른 연구 지역인 문래동에는 사회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철공 종사자라는 정주민과 문화예술인이라는 이주민이 등장하고 문화예술인이 정착한 이후 이들이 정주민이 되고, 또한 거기에는 요식업자라는 새로운 이주민이 등장한다. 이를 통해 영등포구가 국가적 정체성으로 정주민-이주민을 구분하는 이분법적 고정관념이 유지되면서도 이를 타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로컬리티로 파악하였다. 위의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한 상호문화도시 영등포구의 지역사회 교육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등포구 지역사회 교육은 다양한 배경을 지닌 지역민이 상호작용하며 교류하는 ‘상호문화의 장(場, Field)’이다. 교육 현장은 도시 단위보다 더 작은 단위의 로컬로서 교육 현장과 교육에 참여하는 참가자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공간이므로 지역사회에 ‘영등포구 상호문화교육 네트워크(가칭)’를 구축하여 학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학교 내 다양성 문제를 학교 밖의 지역사회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역사회 교육을 기획할 때 강사로부터 교육참가자로 도달하는 일방향적 전달로 끝나는 것이 아닌 교육 참가자간의 상호교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체계적인 교류와 접촉이 가능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 기획하는 기획자와 학생과 직접 만나는 강사도 상호문화적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강사 교육도 필요하다. 둘째, 영등포구 지역사회 교육은 ‘지역사회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장(場, Field)’이 된다. 지역사회의 교육은 직접적인 교육 참가자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회 교육은 결국 가정에서의 비공식 교육에도 영향을 끼치고,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회 교육은 학교라는 공식 교육에도 영향을 미친다. 영등포구 주민들의 인식을 개선하는 발전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가장 중요한 지역사회 교육이 상호문화역량을 목표로 실시되려면 지금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확대해야 한다. 셋째, 영등포구 지역사회 교육은 ‘영등포구 로컬리티 실천의 장(場, Field)’이다. 대림동은 국가적 정체성을 통해 정주민 이주민 구분의 고정관념이 유지되는 로컬이고 문래동은 사회 경제라는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정주민-이주민이 구분되고 이러한 위치성도 계속 변화하는 로컬이다. 영등포구의 로컬리티는 기존에 존재하던 이분법적 고정관념을 타파할 수 있는 현장으로서의 가능성이라고도 할 수 있으므로 포용성과 다양성을 통해 상생하며 사회 통합에 이를 수 있도록 개방적 태도를 통해 나와 동일한 공간에 존재하는 지역민을 ‘환대’ 하며 함께 살아가야 한다. 서울시 영등포구는 상호문화도시로서 비판적 성찰의 과정을 통해 혁신과 실험을 지속하고 타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 가입 도시와 교류하며 적용하는 과정 자체가 서울시 영등포구의 사회와 문화 전반을 변화시키는 역동적이고 개방적인 과정이자 진정한 상호문화주의의 관점을 실천하는 일이 된다. 한국에서 상호문화도시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시작단계이기에 정책 소개,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 소개, 최근 지정된 안산시와 서울시 구로구와 관련된 내용에 그치고 있고 상호문화정책의 실천적 사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상호문화정책과 지역사회 교육의 중요성이 주로 공교육에서의 공식 교육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기에 영등포구의 로컬리티와 지역사회 교육을 중심으로 연구를 실시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meaning of community education conducted in the Intercultural city through a case study of community education in the Intercultural city. Yeongdeungpo-gu, Seoul, which recently joined the Intercultural city program in Korea, aims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Intercultural city policy reflecting the locality of Yeongdeungpo-gu by exploring the direction of the intercultural city and activating community education. The detailed points and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t aims to derive implications and improv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Yeongdeungpo-gu, Seoul, by analyzing the precedents of community education in intercultural cities that want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various locals in the local area have relationships and interact. Second, as the Intercultural city, what locality does Yeongdeungpo-gu, Seoul, have and what subjectivity does it give to local residents? I would like to examine what value Yeongdeungpo-gu's locality will act when seeking a new live together relationship, not a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and migrants, which was distinguished by national identity. Third, what does community education mean in the Intercultural city?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community education cases in Yeongdeungpo-gu and exploring intercultural values, we propose complementary points of existing education and explore the role that community education in Yeongdeungpo-gu plays in the Intercultural city. This study utiliz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using existing literature and statistical data such as academic papers, research reports, policy data, book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using regional and institutional exploration, observation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ograms, and in-depth interviews. As a precedent, cases of community education in Bradford, UK and Guro-gu, Seoul were used. Bradford, UK,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through in the Bradford for Everyone Project (School Link Network, SLN) and training youth leaders (Bradford Lead), one of the best practices in community education in intercultural cities. And Guro-gu, Seoul,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through Intercultural Leadership program and Inter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as well. Bradford, UK, sparked racial disturbances as the rapid influx of migrants caused conflicts with mainstream culture and established community integration by strengthening community solidarity. There is a similar aspect to Korean society in that it has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a short-term influx of migrants from a monocultural society. In the case of Guro-gu, Seoul, it is an area adjacent to Yeongdeungpo-gu and shares the characteristics of Seoul's regional autonomous district, and recently makes various attempts after switching from multicultural policy to intercultural policy, so it was intended to draw implications for Yeongdeungpo-gu, Seoul. Daelim-dong, Yeongdeungpo-gu, the research area of this study, is a local area that maintains the stereotypes of settlers and migrants based on national identity. In Munrae-dong, another research area, due to socioeconomic factors, residents of ironworks and immigrants of cultural artists appear, and after cultural artists settled, they become residents, and new immigrants of restaurants appear. Through this, Yeongdeungpo-gu was identified as a locality that has the potential to break down the dichotomous stereotype of distinguishing residents from migrants as a national identity while maintaining it. The meaning of community education in Yeongdeungpo-gu, a mutual cultural city deriv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community education in Yeongdeungpo-gu is a ‘field of interculture’ where locals from various backgrounds interact and exchange. The educational field is a smaller unit than the urban level, and is a space wher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education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constantly change, so the Yeongdeungpo-gu intercultural education network (tentative name) can be established in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when planning community education, instructor training is needed to enable intercultural exchange between educational participants, not to end with one-way delivery from instructors to educational participants, and instructors who meet students in person. Second, Yeongdeungpo-gu community education becomes a fiel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the community. Education in the community does not only affect direct educational participants. Community education for adults eventually affects informal education at home, and community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lso affects formal education called school. In order for community educa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 a developmental and systematic wa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residents of Yeongdeungpo-gu, to be implemented with the goal of intercultural competency, it is necessary to expand more actively to various classes than now. Third, community education in Yeongdeungpo-gu is also a field for locality practice in Yeongdeungpo-gu. Daelim-dong is a local area where the stereotype between residents and migrants is maintained through national identity, and Mullae-dong is a local area where residents and migrants are divid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cial economy, and this location continues to change. Yeongdeungpo-gu's locality can also be said to be a possibility to break down existing dichotomous stereotypes, so we have to "hospitalize" the locals in the same space through an open attitude to coexist through inclusion and diversity and reach social integration. As the Intercultural city, Yeongdeungpo-gu, Seoul, continues innovation and experiments through the process of critical reflection and interacts with and applies other Intercultural city programs itself is a dynamic and open process that changes society and culture in Yeongdeungpo-gu, Seoul.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the Intercultural cities in Korea is only related to policy introduction, Intercultural city program introduction, and recently designated Ansan-si and Guro-gu, Seoul, and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ractical cases of intercultural policies. Since intercultural policy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education are mainly discussed around formal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research focusing on locality and community education in Yeongdeungpo-gu.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