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6 Download: 0

부모와 대화, 교사와 소통이 초등학생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와 대화, 교사와 소통이 초등학생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an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on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한승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gree of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based on conversation and the communication perception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s. It also intended to develop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tud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by understanding whether the conversation with father, conversations with mother, and communication perception with teachers have an impact on reducing stud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the ‘11th Korean Children-Adolescent Happiness Index (2019)’ conducted with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nationwide (excluding Jeju Island) by the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Studies at Yonsei University and hosted by the Korea Bhang Jeong Hwan Foundation. The effect of the conversation with parents and the communication perception with teachers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investigated using SPSS Statistics 22.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ther-child conversation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d the decrease in smartphone overdependence. Second, mother-child conversation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father-child conversation and mother-child conversation showed, while conversation is important, that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types in father-child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should be considered. It requires some support to identify conversations,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type of communication, in which parents may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hildren. Instead of restricting children's smartphone use uncon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help guiding children to control their smartphone use autonomously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that gives children the feeling that they are supported by their parents. Third, the communication perception with teachers had positive influence on reduc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As students may perceive that they can talk to their teachers about their concerns anytime when they communicate with teachers smoothly in ordinary times, it was possible to presume that the perception that they can talk to their teachers while being supported has a psychologically good influence on students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educ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the conversation with parents and the communication perception with teachers influence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displaying increasing rat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hat the family and the school shall work together to prevent smartphone overdependence. Parents, who have the most direct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development, need to relieve children’s stress related to study through healthy, positive, and open conversations with their children, and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empathize with their children and show to their children that they are being heard and understood. Schools also need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openly talk to teachers. In that environment, the increase in parent-child conversation and students' communication perception with teacher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in reducing smartphone overdependence.;정보통신 기술발달로 인터넷 및 스마트폰 이용이 급증하면서 우리나라 10대 아동・청소년의 인터넷 이용률은 99.9%에 달했다(한국지능정보화진흥원, 2020). 아동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보유율도 매우 증가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81.2%가, 중・고등학생의 경우 95%가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정보통신정책연구원,2020). 스마트폰으로 인해 인터넷의 사용이 더욱 자유로워지면서 아동과 청소년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과의존 또한 증가하고 있다. 2020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현황이 청소년의 경우 2018년 29.3%, 2019년 30.2%, 2020년 35.8%로 다른 연령군에 비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청소년(10~19세) 5,03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이다. 학생들이 항상 손에 들고 다니는 스마트폰은 이미 아동·청소년들에게 몸의 일부처럼 되었다. 학생들에게 스마트폰 과의존 사용 시간 절제를 조언해도 스스로 조절의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맞벌이 가정과 한부모 가정의 경우, 환경적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조절해가야 하는 상황이다. 그리고 코로나19로 언택트, 온택트 시대가 되면서 온라인을 통해 소통하고 각종 활동을 하는 시대에 스마트폰 사용은 더더욱 많아지는 상황이다. 부정적인 결과를 예방하기 위한 환경적인 예방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대화와 소통인식에 따라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부와 대화, 모와 대화, 교사와 소통인식에 따라 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책을 강구하고자 한다. 이를 실천 현장에서 적용·반영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한국방정환재단에서 조사를 주관하고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에서 연구한 전국(제주도 제외)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에게 실시한‘2019년 제11차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Statistics 22를 활용하여 부모와 대화, 교사와 소통인식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부-자녀간 대화는 스마트폰 과의존 감소에 영향을 주었고, 둘째, 모-자녀간 대화는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부-자녀 대화, 모-자녀 대화의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통해서 대화도 중요하지만 부-자녀, 모-자녀간 관계의 만족도와 의사소통 유형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대화, 관계만족도, 의사소통유형에 대해 알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을 무조건 제한하기보다 자녀가 부모로부터 지지받는다는 느낌을 받는 소통방식으로 자녀 스스로 스마트폰 사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도를 돕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와 소통인식에 따른 스마트폰 과의존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로부터 지지받는 대화가 학생들에게 심리적으로 좋은 영향을 끼쳐 스마트폰 과의존을 감소시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부모와 대화와 교사와 소통인식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을 위해서 가족과 학교에서 함께 노력해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발달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모는 자녀와 건강하고 긍정적이며 개방적인 대화를 통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녀 입장을 공감하고 자녀가 이해받고 있음이 전달되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학교에서도 교사와 개방적인 대화가 이루어지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그 환경속에서 부모-자녀 대화와 학생의 교사와 소통인식의 증가는 스마트폰 과의존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