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1 Download: 0

P-STAR 모형을 통한 선진국의 초과유동성이 한국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 분석

Title
P-STAR 모형을 통한 선진국의 초과유동성이 한국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 분석
Other Titles
The Effects of Global Excess Liquidity on Inflation of Korea from P-STAR Model.
Authors
김경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인배
Abstract
본 논문은 선진국의 초과유동성이 한국에 유입될 경우, 한국의 인플레이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가정하고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이때 선진국은 미국, 영국, 유로 지역, 일본으로 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한국의 초과유동성을 추정하여 자국의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초과유동성 추정 시 사용할 모형은 P-STAR(P^*)모형이다. 이는 화폐수량설을 기반으로 Hallman, Porter, and Small(1991)이 처음 내세운 모형으로, 해외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몇 년간 개발도상국에서도 이용되고 있다. 이에 한국에서 P-STAR모형 활용의 필요성을 느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 하기 위해 한국은행은 지난 2010년 7월 하향 조정한 기준금리를 연 0.25%p 인상하여 상향 조정하였다. 본고에서는 이 시점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로 나눠 분석을 진행하였고, 한국의 재정위기를 일으킨 한국의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반영하도록 하였다. 또, 기존의 모형과 달리 공급 측면을 고려하기 위해 국제 원유가격변수를 추가하여 보다 면밀히 분석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는 국제 원유가격의 가격변동이 한국의 인플레이션에 주는 영향력이 높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실증분석은 분기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기회귀모형(Auto Regressive, AR)으로 사용하였고, 분석 결과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인플레이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결과는 ‘전기’의 미국, 일본, ‘후기’의 영국, 유로 지역과 ‘전기’와 ‘후기’의 한국이다. 이는 본고의 가정을 뒷받침 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겠다. 둘째, 한국의 인플레이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후기’의 미국과 ‘후기’의 일본이다. 이는 본고의 가정을 입증하기 어려운 결과로 보여지는데, 이에 대해서는 환율의 요인이 인플레이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국의 초과유동성은 ‘전기’와 ‘후기’에서 유효한 결과가 나타났지만 두 시기 모두 다른 국가에 비해 관측된 결과가 충분하지 못해, 자국의 인플레이션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치기 어려운 것으로 보여졌다. 따라서 한국은 비교적 자국에 비해 타국의 초과유동성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해석해 볼 수 있겠다. 본 연구는 데이터 분석 시기를 한국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의 초과유동성이 유입된 시점을 바탕으로 조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모형보다 위기 이후의 한국의 경제상황을 보다 면밀히 분석 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설명변수로 초과유동성과 인플레이션만을 사용한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국제 원유가격변수를 추가하여 공급 측면을 고려한 점에서 차별화를 둘 수 있겠고, 해외 연구에서 주로 사용하던 P-STAR모형을 한국에 적용하여 선진국의 초과유동성을 추정하고 한국의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시도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겠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how effects on inflation of Korea when global excess liquidities flow into the Korea. In this case global liquidities are defined to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Euro Area and Japan. Additionally, considers excess liquidity of Korea for explaining effectiveness of inflation of home country. The way of estimation for excess liquidities is using P-STAR model based on Quantity theory of Money and first used by Hallman, Porter and Small (1991). P-STAR model usually has used in Euro Area for estimating and forecasting of inflation with excess liquidity. In recently, P-STAR model steadily has using in emerging countries for understanding and forecasting their inflations even in emerging nation of Asia, therefore this study adopts to P-STAR model in Korea. This study supposes to global excess liquidities which are focused on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Euro Area and Japan. Shows that each excess liquidities of countries are relevance to inflation of Korea and proves it. During the measure, separates the data period for more detail evaluation and following the time when interest rate of Korea went to upward in July of 2010 at the first time of after global crisis. Following that circumstance, define to ‘former period’ before 2nd quarter of 2010 and ‘latter period’ after 3rd quarter of 2010. And adds dummy variables for considering two kinds of crises which surged huge risk to Korea, financial crisis in Korea in 1997 and global crisis. This study deems to one of the demand factor that changed global oil price which is also effective in inflation of Korea, so adds it in empirical model. The analysis uses auto-regressive model to show effects on excess liquidities of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Euro Area, Japan, and Korea each relevant to inflation of Kore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cess liquidities of Korea, United States and Japan in former period and United Kingdom and Euro Area in latter period show positive in inflation of Korea. These results are supposed to be well with in assumption. Second, excess liquidities of United States and Japan in latter period show negative in inflation of Korea. These results are opposite to assumption and need to more supportable evidence to accept it. It could be helping to interpret using exchange rate with Korea won between U.S dollar and Japan yen. However, excess liquidity of Korea is relatively less affected in inflation of Korea. The results of estimation are shown less than other countries. Therefore, inflation of Korea is more effective to excess liquidities of foreign countries not excess liquidities of home country. This study distinguishes consider with validity that efforts of overcoming financial crisis by Korea and global excess liquidities flow into the Korea after global crisis. It could be more thoroughly study in empirical model to other prior literature. Furthermore, adds the oil price in explanatory variable for more sensitive reaction to globalization. And it is meaningful to adopt P-STAR model in Korea for measuring global excess liquidities which especially uses in Euro A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