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문말 분포 연결어미에 나타난 핵억양 습득 연구

Title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문말 분포 연결어미에 나타난 핵억양 습득 연구
Other Titles
L2 Korean Acquisition of Nuclear Tones in Non-final Endings by L1 Chinese Learners
Authors
Yu, Yaqiong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는데’, ‘-거든’, ‘-고’, ‘-어서’, ‘-니까’, ‘-려고’가 가지는 문말 분포 연결어미의 핵억양에 대한 산출과 지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지금까지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연결어미나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의 핵억양을 고찰한 연구들은 있었지만 선행절이 후치되어 문말에 쓰인 연결어미와 의미 변화를 거쳐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를 포함하여 문말 분포 연결어미의 핵억양 습득을 밝힌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종결어미 분포 연결어미 ‘-는데1’, ‘-거든1’, ‘-고1’, ‘-어서1’, ‘-니까1’, ‘-려고1’와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는데2’, ‘-거든2’, ‘-고2’, ‘-어서2’, ‘-니까2’, ‘-려고2’를 구분하여 숙달도에 따라 핵억양의 실현 양상과 지각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문말 분포 연결어미의 핵억양 산출에 대한 세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문말 분포 연결어미의 핵억양 지각에 있어 세 집단 간의 차이에 대한 것이었다. 세 번째 연구 문제는 학습자의 핵억양 산출과 지각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 문제1과 연구 문제2를 통해 한국어 문말 분포 연결어미의 핵억양 산출과 지각에 중국인 학습자의 모국어 변인이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제2언어 발음 습득과 관련된 이론과 가설들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한국어와 중국어 억양의 개념, 체계와 기능을 대조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문말 분포 연결어미 의미와 핵억양을 고찰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말 분포 연결어미 핵억양 산출과 지각을 살펴보기 위하여 산출 과제와 지각 과제를 제작하여 실시하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60명과 한국어 모어 화자 30명을 표집하고 숙달도 검사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상위 집단 30명과 하위 집단 30명으로 구분하였다. 문말 분포 연결어미의 핵억양 산출과 지각에서 세 집단의 차이를 분석하고 학습자들의 핵억양 산출과 지각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결어미 분포 연결어미에서 학습자 상 집단은 하 집단보다 핵억양 산출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지각에서는 학습자 하 집단이 상 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체적으로 학습자 두 집단 모두 지각보다 핵억양 산출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의 경우 학습자 두 집단 모두 산출보다 핵억양 지각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산출 실험에서는 학습자 두 집단은 모두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보다 종결어미 분포 연결어미의 핵억양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지각 실험에서는 학습자 두 집단 모두 종결어미 분포 연결어미보다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의 핵억양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학습자 상 집단과 하 집단의 산출과 지각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산출 실험에서 학습자 두 집단 모두 L1 모국어의 영향을 받아 모든 어미의 의미에서 ‘L%’나 ‘H%’를 가장 많이 실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국어 핵억양에서는 실현되기 어려운 굴곡이 한 번 이상의 핵억양 패턴들도 다수 관찰되었다. 이는 학습자의 한국어 문말 분포 연결어미 핵억양 실현이 모국어 핵억양의 영향을 받음과 동시에 중간언어적 특징들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또한, 산출과 지각 실험에서 학습자 두 집단이 습득에 특히 많은 어려움을 보인 어미 항목은 ‘-는데’와 ‘-거든’이었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 및 교육적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가 교육적으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종결어미 분포 연결어미보다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습득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결어미가 문중이 아닌 문말에 쓰였을 때 ‘종결어미 분포 연결어미’와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로 나누어 각각의 의미와 핵억양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종결어미 분포 연결어미와 연결어미의 의미와 핵억양을 아울러 교수할 것을 제안한다. 현재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교재나 교육 항목 중 억양에 관하여 명시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은데, 학습자들에게 어미 항목과 핵억양 대표형을 시각화하여 제시하며 학습자가 지각하고 발화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종결어미 분포 연결어미와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의 핵억양을 아울러 논의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의 산출뿐만 아니라 지각을 통한 핵억양의 습득을 고찰하여 연구 도구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문말 위치에 놓인 연결어미의 유형과 기능에 따라 핵억양 습득에 있어서 모국어의 영향와 중간언어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더욱 다양한 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한국어 문말에 놓이는 두 유형의 연결어미의 핵억양 습득 가능성을 관찰하는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nuclear tones in Korean non-final endings ‘-neundae’, ‘-geodeun’, ‘-go’, ‘-useo’, ‘-nikka’, ‘-ryeogo’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Prior studies have considered Chinese Korean learners’ nuclear tones of Korean connective endings and their functioning as final endings, but few studies have revealed the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nuclear tones in non-final endings. Therefore, this study distinguished between connective endings acting as final endings (‘-neundae1’, ‘-geodeun1’, ‘-go1’, ‘-useo1’, ‘-niga1’, ‘-ryeogo1,’) and connective endings functioning as final endings (‘-neundae2’, ‘-geodeun2’, ‘-go2’, ‘-useo2’, ‘-niga2’, ‘-ryeogo2,’),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realization and perception of nuclear tones considering L2 Korean learners’ level of proficiency. Chapter I of this study stated the purpose and need for the study and set the research question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he production of nuclear tones in non-final ending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he perception of nuclear tones in non-final endings. The third research question covered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nuclear tone production and perception. Research questions 1 and 2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learners’ L1 acted as a variable in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nuclear tones in non-final endings. Chapter Ⅱ first looked into theories and hypothese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pronunciation. Furthermore, the concepts, systems, and functions of Korean and Chinese intonations were compared and summarized. In addi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prepared by examining the meaning and the nuclear tones of Korean non-final endings. Chapter III described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dialogue reading and listening tasks in order to examine the nuclear ton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non-final endings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60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30 native Korean speakers were sampled, and after a proficiency test, the Chinese learners were divided into an advanced group of 30 learners and a beginner group of 30 learners.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nuclear tones in non-final endings, and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clear ton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the learners. Chapter IV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s follows. First, in the usage of the connective endings acting as final endings, the advanced group of learners acquired the nuclear tones better than the beginner group. However, when it came to perception, the beginner group of learners acquired the nuclear tones better than the advanced group. Overall, for both groups of learners, the acquisition of nuclear tones through production was better than the acquisition through perception. Second, both groups of learners showed higher scores in the acquisition of nuclear tones through perception than through production. Third, in the production task, both learner groups showed higher scores in the nuclear tone’s acquisition of the connective endings acting as final endings than in the connective endings functioning as final endings. However, when it came to the perception task, both learner groups acquired the nuclear tones of the connective endings functioning as final endings better than the connective endings acting as final endings.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both learner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roduction task, both groups of learners were influenced by their L1 and used mainly ‘L%’ or ‘H%’ intonation to pronounce the connective ending regardless of their meaning. However, a number of nuclear tonal patterns with curves that were normally difficult to be realized in the native nuclear tones were also observed. This showed that the realization of learners’ Korean non-final endings nuclear tone was influenced by the nuclear tone of the Lq and at the same time had interlanguage characteristics. Also, in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tasks, the ending types that the two groups of learners felt a lot of difficulties in acquisition were ‘-neundae’ and ‘-geodeun’. Chapter V summarized the research results and described the significance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Chinese Korean learners had more difficulties in the acquisition of the connective endings functioning as final endings rather than the connective endings acting as final endings. Therefore, when the connective endings are used at the end of a sentence, not in the middle of a sentence, each case of the connective endings acting as final endings and the connective endings functioning as final endings and their respective meanings and nuclear tones should be presented. For this purpose, the meanings and nuclear tones of each case should be taught together. Currently, Korean textbooks and educational resources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do not explicitly deal with intonation, meaning that Korean ending types and nuclear intonation expressions should be visualized and presented in order to encourage learners to perceive and produce them.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e study discussed nuclear tones of the connective endings acting as final endings and the connective endings functioning as final endings. Second, the study expanded the scope of the research tool by considering not only the learners’ production but also the acquisition of nuclear tones through perception. Finally, the study identified the influences of the native language and the interlanguage characteristics in the learners’ acquisition of nuclear tones of non-final endings according to the types and functions of connective endings. It is hoped that future studies using more diverse learner samples and research methods will be conducted in order to continue to observe the possibility of acquiring nuclear tones of the two types of connective endings of Korean non-final end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