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비한자권 한국어 학습자 대상 한자어 교육 실행 연구

Title
비한자권 한국어 학습자 대상 한자어 교육 실행 연구
Other Titles
A action research study on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for learners with non-Sino based L1s : Using semantic association of Chinese character
Authors
이승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비한자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을 위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한자어 교육 방법을 개발해서 적용해 보고 그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기 위한 것이다. 한자의 의미 연상을 활용한 한자어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실행한 후 실행 과정에서 관찰한 문제점들을 성찰하여 계획을 수정하여 다시 실행하는 과정을 거쳐 비한자권 학습자들에게 맞는 한자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고 그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들의 어휘력이 어떻게 발달해 나가는지 알아보았다. 한자의 의미 연상을 활용하는 한자어 교육 방법은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의미를 중심으로 한자의 의미를 제시하고 그 한자의 의미가 비교적 투명하게 사용된 한자어들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이 한자의 의미를 연상하며 한자어의 의미를 더 쉽게 이해하고 더 오래 기억하게 하여 한자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따라 한자어 수업을 설계하고 연구자가 직접 이를 해외 대학의 한국어 전공 수업 상황에서 적용해 보는 실행 연구로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비한자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자의 의미 연상을 활용한 한자어 수업 모형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가? 둘째, 한자의 의미 연상을 활용한 한자어 수업이 실시되는 동안 비한자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력은 어떠한 양상으로 발달하는가? 이 두 가지 문제에 관한 답을 찾기 위해 연구도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한자어 수업 모형을 설계하기 위하여 한자의 의미 연상을 활용한 한자어 수업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제 수업 현장에서 한 학기에 걸쳐 실행해 보고 실행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 평가한 후 수정해야 할 부분들을 성찰한 후 다시 계획을 수정하는 반복 연구를 세 학기 동안 3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이렇게 실행 연구를 진행하면서 이 기간에 학습자들의 어휘력이 실제로 어떻게 발달해 나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자들이 생산한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 복잡성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어휘 복잡성의 3가지 요인, 어휘 다양도, 어휘 밀도, 어휘 세련도를 분석하였다. 1차 실행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한자어 수업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한자어 수업을 통해 본인들의 어휘력이 향상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도 평가 결과를 통해 한국어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들까지도 한자어의 의미와 형태를 연결하는 정도의 어휘 지식은 상당 부분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가지 중요한 문제가 나타났다.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으로 인해 교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 부족하다는 문제와 학습 동기나 한국어 숙달도가 떨어지는 학습자들을 위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문제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학습 관리 시스템으로 구글 클래스룸, 모바일 기반 언어 학습 방법으로 퀴즐렛을, 학습자 반응 시스템으로 소크라티브를 도입하여 2차 실행 연구를 위한 한자어 수업을 다시 설계하였다. 2차 실행 연구에서 수정된 한자어 수업을 학습자들에게 실행해 본 결과, 1차 실행에서 막연히 한자어 수업이 자신들의 어휘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반응한 것에 비해, 2차 실행에서는 한자를 분명히 형태소로 인식하고 형태소 인식을 통해 한자어를 학습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방식의 학습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어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들이 한자어 수업에 대하여 더 적극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구글 클래스룸, 퀴즐렛, 소크라티브에 관한 학습자들의 반응도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장기간의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으로 인해 학습자들의 학업 전반에 학습 의욕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3차 실행 연구에서는 1차와 2차 실행 연구 결과를 통해 알게 된 점을 바탕으로 한자어 수업 최종 모형을 세우고, 이 모형에 기초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한자어 수업 최종 모형은 교사가 주도하는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 중심이 아니라 학습자 중심의 과제 수행 중심 수업으로 방향을 전환하였다. 1차와 2차 실행 연구 결과를 성찰해보니, 과제 수행 중심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어휘를 학습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학습 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고 효율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3차 실행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과제의 양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과제 수행 중심 수업이 어휘 학습에 더 효과적이라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퀴즐렛, 소크라티브, 어휘 일지라는 세 가지 과제가 각각 자신들의 어휘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고 과제를 수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자신들의 어휘력이 향상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과제에 관한 참여율도 높게 나타났다. 한자어에 관한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도 1차, 2차 실행에 비하여 어휘 크기 시험과 어휘 깊이 시험 모두 평균 점수도 높게 나타났고 학습자들 간의 점수 편차가 크게 줄어들었다. 이는 한국어 학습에 소극적이거나 한국어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들까지도 한자어 수업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자어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학습자들의 어휘력 발달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학습자들이 생산한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 다양도, 어휘 밀도 및 어휘 세련도를 분석하였다. 어휘 다양도는 전체 어휘에 관한 어휘 다양도와 내용어에 관한 어휘 다양도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학습자 전체적으로 학기별로 평균을 내어서 분석해 본 결과 두 가지 어휘 다양도가 비슷한 발달 양상을 보여주었다. 학기가 진행될수록 학습자들의 어휘 다양도는 두 가지 모두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별로 분석하였을 경우 내용어만을 분석한 어휘 다양도가 더 분명한 발달 양상을 보여주었다. 학습자들이 생산해 낸 쓰기 텍스트들의 어휘 밀도는 낮아지는 경향은 있지만, 그 차이가 미미해서 거의 변화가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어휘 세련도는 세 가지 복잡성 요인 중 가장 분명한 변화 양상을 보여주었다. 학습자 전체 평균에서도 어휘 세련도는 꾸준히 증가하였고, 학습자별로 살펴보았을 때도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별로 어휘 복잡성 요인의 변화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대부분의 학습자들의 어휘력 발달 패턴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어휘 다양도는 높아졌고, 어휘 밀도는 약간 낮아지거나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어휘 세련도가 가장 분명한 변화 양상을 보여주며 학습자들의 어휘력 발달을 보여주는 지표로 나타났다. 학습자들 중 한국어에 관한 자신감이 낮고 한국어 숙달도도 낮은 편인 학습자 B의 어휘 다양도와 어휘 세련도가 학습자들 중 가장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정리해 보면 학습자들은 한자의 의미 연상을 활용한 한자어 교육이 실시되는 동안 대체로 더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면서 저빈도 내용어를 더 많이 사용하는 방향으로 꾸준히 발전하였고, 이러한 어휘 다양도와 어휘 세련도의 증가는 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두 가지 연구 문제를 통해 살펴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한자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력 부족이라는 해외 한국어 교육 현장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한자의 의미 연상을 활용한 한자어 교육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실행해 보며 학습자들에게 더 효과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모형을 설계할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어휘력은 더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면서도 저빈도 어휘를 더 많이 사용하는 방향으로 향상되었다. 한자의 의미 연상을 활용한 한자어 교육은 비한자권 학습자들의 어휘력 부족이라는 교육 현장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제 포스트 코로나 상황에서는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고민해봐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실행한 한자어 교육은 모두 원격 교육 방식으로 진행되었지만, 대면 수업 상황에서도 블렌디드 러닝 방식으로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Sino-Korean vocabulary teaching program using semantic asso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to improve their vocabular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the non-Sino based L1 in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nvironment. The Sino-Korean vocabulary teaching method is to teach Sino-Korean vocabulary associating Chinese character and make learners understand and remember better a group of Sino-Korean vocabulary that share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According to this method, Sino-Korean vocabulary learning program were designed, and the researcher directly applied them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classes at overseas universities in KFL. Accordingl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How should a Sino-Korean vocabulary learning program be designed using the semantic asso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non-Sino based L1s? How does the vocabulary of Korean learners with the non-Sino based L1s develop during the Sino-Korean vocabulary learning class using the semantic asso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To find answers to these two questions, research was largely conducted in two directions. In order to design a Sino-Korean vocabulary learning program, a Sino-Korean vocabulary class plan using the semantic asso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was established, executed over a semester in the actual classroom. The data collected in the process were analyzed and the problem to be fixed was determined. The second class plan was set that reflected on the parts to be revised. The classes were conducted by the new plan. The process was repeated to validate the Sino-Korean Vocabulary classes using semantic asso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for three semesters. In order to find out how learners' vocabulary actually develops during this period, the vocabulary complexity of text produced by learners was analyzed. Specifically, lexical complexity, lexical diversity, lexical density, and lexical sophistic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first action research, it was found that learners positively accept Sino-Korean vocabulary classes and think that it was easier to learn Sino-vocabulary through the Sino-vocabulary classes. As a result of the achievement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even learners with low Korean proficiency have acquired a large part of vocabulary knowledge that connects the meaning and form of Chinese characters. However, two important problems emerged. The problem was the lack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due to real-time remote video class using Zoom platform and the lack of consideration for learners with poor learning motivation or Korean proficiency. To improve this, Google Classroom as a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Quizlet as a Mobile Assisted Language Learing(MALL), and Socrative as a Learner Response System(LRS) were introduced for Sino-Korean vocabulary classes for secondary action research. As a result of executing revised Sino-Korean vocabulary classes to learners in the second action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clearly recognized Chinese characters as morpheme and thought their vocabulary is improving by the Sino-Korean vocabulary classes in the second semester while they felt like the classes are helpful to them in the first semester. In particular, learners with low Korean proficiency responded more actively to Sino-Korean vocabulary classes. Learners' responses to Google Classroom, Quizzlet, and Socrative were also positive. However, as the Zoom class went on too long, there was a problem that learners' motivation for learning was lowered throughout their studies. In the third action research, a final model of Sino-Korean vocabulary classes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1st and 2nd action research, and classes based on this model were conducted. The final model of Sino-Korean vocabulary classes shifted from real-time remote video education led by teachers to learner-centered task performance-oriented classes. Reflecting on the results of the first and second action research, it was thought that allowing learners to learn vocabulary self-directedly through task performance-oriented classes would improv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and help the teacher conduct classes more efficiently. As a result of the action research, it was found that learners felt that task performance-oriented classes were more effective in vocabulary learning despite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assignments. It was found that they recognized that each of the three tasks, Quizlet, Socrative, and vocabulary diary, was helpful in learning their vocabulary, and that they naturally felt that their vocabulary was improving while performing the task. The participation rate for each task was also high. In the evaluation of achievement test for Sino-Korean vocabulary, the average score of both the vocabulary size test and the vocabulary depth test was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first and second tests, and the score deviation among learners was greatly reduced. It is analyzed that even learners who are passive in learning Korean or have low Korean proficiency actively participated in Sino-Korean vocabulary classes. For learners in Georgia, a country in European culture, the Sino-vocabulary classes using semantic asso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were held at the university for two semesters, and a task-oriented Sino-Korean vocabulary class model was finally set to reflect the research results of the two semesters.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final model in the third study, it was found that it was possible to make learners participate more actively and study more proactively, and that it was helpful for learners to learn Sino-Korean vocabulary.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learners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lexical diversity, lexical density, and lexical sophistication in the writing produced by learners over the three semesters. The lexical diversity for the all vocabulary and the lexical diversity for the content word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zing learners as a whole showed similar developmental patterns in the two lexical diversity. The lexical diversity of learners steadily increased. When analyzed by each learner, the lexical diversity of the content words showed a clearer development pattern. The vocabulary density of the written texts produced by learners tended to decrease, but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other word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percentage of content words in the text. The lexical sophistication showed the most obvious pattern of change among the three factors. In the overall average of learners, lexical sophistication steadily increased for all learner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learners used low-frequency words more. Looking at the changes in vocabulary complexity factors for each learner in more detail, most learners' vocabulary development patterns were similar. Lexical diversity increased, and lexical density slightly decreased or almost similar. Lexical sophistication showed the most obvious pattern of change and was found to be an indicator of learners' vocabulary development. Among learners, learner B's lexical diversity and lexical sophistication, which have low confidence in Korean and low proficiency in Korean, have improved the most among learners. In summary, learners have steadily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using more low-frequency content words while using more diverse vocabulary words during the period of Sino-Korean vocabulary classes using semantic associations of Chinese characters, and this increase in lexical diversity and lexical sohpistication shows the improvement of learners' vocabulary.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lack of vocabulary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non-Sino based L1s,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using meaning associations could be designed to b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for learners, and low-frequency vocabulary was improved. It was found that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using the semantic asso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was a helpful way to improve the vocabulary skill.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it is time to think about how it can be applied in the post pandemic situation. The Sino-Korean vocabulary classes were conducted in a remote education method in the study but it can be applied in a blended learning approa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