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전시공간 구축을 위한 미디어콘텐츠 설계·제작 프로세스 체계화 연구

Title
전시공간 구축을 위한 미디어콘텐츠 설계·제작 프로세스 체계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ystematization of Media-Contents Design and Production Process to Create Exhibition Space : Focus on Project Management
Authors
맹주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영일
Abstract
전시공간은 21세기를 맞이한 후 지난 20여 년간 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비약적으로 발전해 왔다. 이는‘전시(Exhibition)’의 개념이 성립된 이래 가장 급변한 시기로, 현재의 일상에는 공상 과학 영화에서 보던 미래의 모습과 전시관에서 체험했던 실시간 홀로그램, 자율주행 자동차, 증강현실 등의 기술이 자연스럽게 자리하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전시공간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색다른 경험에 대한 기대의 대상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기대를 배경으로 전시공간 구축 방향과 최신의 기술과 기법, 기기를 융합한 미디어콘텐츠를 전시공간에 적극적으로 도입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미디어콘텐츠가 부수적으로 활용되던 전시 개념 성립 초기의 관리 기준으로 진행되고 있다. 즉, 현재의 전시공간에서는 미디어콘텐츠가 연출의 주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관리적 측면에서 부수적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시공간은 국가 정책에 의해 발달한 역사적 배경과 함께 국가에서 정한 절차에 의해 수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왔다. 혹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대한 중요도를 인지하고 있는 경우에도, 전시공간 구축의 전체 절차 중 발주기관이 수행해야 할 주요 결정 내용과 그 결정 시점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콘텐츠 설계·제작 프로세스 체계화에 앞서 전시공간 구축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관련 현행법과 제도, 미디어콘텐츠의 설계·제작 특성을 고려하여 전시공간 관리에 반영할 수 있는 절차를 제안하였다. 전시공간 구축이라는 프로젝트는 편성된 한정적 예산 범위에서 일정 기간 수행해야 한다는 속성을 갖고 있다. 이에 공학적 관점의 방법론으로 정립되어있는 프로젝트 관리 이론을 연구하여 본 연구의 전체적 구조와 관리되어야 하는 상세항목에 대한 이론적 기준을 마련하였다. 국가 주도의 전시공간 구축 프로젝트는 절차의 공정함과 투명성을 위해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 프로젝트 공고 시 함께 제공되는 문서 중 과업지시서는 수행기관이 수행해야 할 지침과 계약 관련 세부문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8년 291건의 과업지시서의 전수 조사를 통해 발주기관의 전시 의도와 최종 목표 등 과업 방향성과 수행 일정, 최종산출물, 세부 지침 등 미디어콘텐츠 설계·제작과 관련된 지침 조사하여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최종산출물의 분석을 통해 미디어콘텐츠 관리에 적합한 공정형을 도출하였다. 앞선 조사에서는 미디어콘텐츠 관련 지침이 평균 10% 미만으로 조사되어, 미디어콘텐츠 관련 지침을 도출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하였다. 최신 현황자료 도출을 위해 2021년 상반기 기준 45건의 과업지시서에 대한 2차 전수 조사를 진행하였다. 미디어콘텐츠 설계·제작 관련 용어를 조사한 결과 하드웨어, 제작기술 및 영상기법, 개발방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분류를 기반하여 미디어콘텐츠 매트릭스 세부 항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시공간 구축의 배경과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절차, 프로젝트 관리 절차가 반영된 체계화 구조를 구성하였다. 이어 과업지시서의 분석을 통해 체계화 구성요소와 매트릭스를 도출하고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미디어콘텐츠 설계·제작 프로세스 체계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요한 부분인 프로세스 체계화의 구성과 매트릭스의 적합성 검증을 위해 총괄책임자 수행 자격 대상의 경력 10년 차 이상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프로세스의 객관화를 확보하였다. 최종적으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보강하여 프로세스 체계화를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전시공간 구축 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및 설계 진행에 있어 현행의 제도 안에서 발주기관과 수행기관 양측 모두 상대 기관의 절차를 이해하고 입장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최적의 미디어콘텐츠를 설계·제작할 수 있는 프로세스 체계화를 제안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프로세스 체계화는 현장에서 활용되는 실질적인 자료로서 유의미한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전시 관련 연구자들에게는 실제 사업 수행 단계에서의 전시공간 구축과 미디어콘텐츠 제작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제작 과정이 반영된 미디어콘텐츠의 분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공공 예산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그 혜택을 누려야 하는 우리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he 21st century, the exhibition space has developed rapidly with the media development over the past 20 years. This is the most dramatic time since the concept of the exhibition was established. The future seen in science fiction movies comes to reality, and technologies such as real-time holograms, self-driving cars, and augmented reality (AR) are naturally introduced in everyday life. Nevertheless, the exhibition space is still considered an object of expectation for a different experience from the past. Based on this expectation, media content combined with the latest technologies, techniques, and equipment has been actively introduced into the exhibition space. However, it is still being managed with a standard at an early stage of the exhibition concept when media content was used incidentally. In other words, although media content plays a major role in the present exhibition space, it is recognized as an incidental element in terms of management. The exhibition space in Korea has been made to carry out the work by the procedure set by the government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developed by the national policy. Even if the importance of media content production is recognized,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significant decisions and the timing of the decision-making that the ordering agency should make among the entire procedure of constructing an exhibition space. Therefore, prior to systematization of the media content design and production process, this study proposed a procedure to be applied to the exhibition space manag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aws, systems, and design and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media conten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The project of building an exhibition space has the attribute of being carried ou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in a limited budget. Accordingly, the project management theory established as a methodology from an engineering perspective has been studied to set up academic standards for the overall structure of this study and details to be managed. The state-led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project is being conducted through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s "Nara Marketplace" for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the procedure. Among the documents provided together with the project announcement, the task instruction serves as a guideline to be performed by the performing agency and a detailed document related to the contract. Accordingly, in this study, through a full investigation of 291 task instructions in 2018, the current state was investigated with the project direction such as the exhibition intention and final goal of the ordering agency and the guidelines related to the media content design and production such as the execution schedule, final output, and detailed guidelines. Finally, a process type suitable for the media content management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final output. In the previous survey, the guidelines related to the media content were found to be less than 10% on average, which was judged to be insufficient to draw guidelines related to the media content. In order to derive the latest state data, a second ful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45 task instructions as of the first half of 2021. As a result of examining terms related to media content design and production,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m into hardware, production technology and video technique, and development method.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he details of the media content matrix were organized. In this study, a systematic structure was constructed reflecting the background of the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the production procedure of the media content, and the project management procedure. Subsequently, systematization of the media content design and production process was proposed by deriving systematic components and the matrix through the analysis of task instructions and linking them comprehensively. In order to verify the construction of the process systematization and the suitability of the matrix which are the main parts of this study, the objectivity of the process was secur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ho are eligible for the general managers. Finally, the process systematization was proposed by collecting and supplementing the opinions of experts. As a resul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a process systematization to design and produce optimal media content by the ordering and performing agencies understanding the procedures of the other agency and minimizing differences. The process systematization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as empirical data used in the field. In addition, it is hoped to be usefully used as primary data for exhibition-related researchers by helping understand the construction of exhibition space and the process of producing media content in the actual project execution stage and by present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media content reflecting the production process. Ultimat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maximizing the utility of the public budget and providing the best service to us who need to enjoy its benefi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