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0 Download: 0

비어있음이 매개하는 존재에 관한 탐구와 조형 표현

Title
비어있음이 매개하는 존재에 관한 탐구와 조형 표현
Other Titles
Emptiness Mediating Exploration of Being in Fiber Art
Authors
전효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순란
Abstract
본 연구의 핵심은 비어있음이 매개하는 존재에 관한 탐구를 위해 조형 표현의 효과적인 방식을 찾는 것이다. 조형예술 작업을 필터로 삼아 자신의 내면을 새롭게 바라보며 지금까지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자아의 감춰진 부분을 되찾으려 한다. 연구 작품은 무형의 존재로서 시간성과 공간성이 개입하는 비어있음을 탐색 대상으로 취해 유형의 존재인 나 자신을 인지하는 과정의 산물이다. 비어있음을 나타내는 표피의 반복적인 연결행위를 통해 그 상대 항인 채워짐으로 환원하는 조형 형식을 중심으로 표현한다. 연구 작품에서 비어있는 공간은 부재하여 보이지 않는 존재와 공허조차도 포용하는 가상의 보호막을 은유한다. 비어있음은 물리적인 측면에서 시각적으로 아무것도 없는 빈자리를 뜻하며 더불어서 나타남과 사라짐이라는 현상학적 의미를 함의한다. 본 연구는 비어있음의 조형적 표현을 통해 삶의 전반적인 과정으로서 존재의 성장과 소멸에 관한 탐구뿐 아니라 비움과 채움의 내적 의식에서 깊이를 더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서 비어있음이 매개하는 존재에 관한 사유를 고찰하고 비어있음과 존재의 상호 관계성을 바탕으로 선행연구 작품을 분석하여 논제와 상관된 현대 섬유예술의 흐름을 조망하는 것이다. 둘째, 비가시적 현상인 비어있음을 표현할 수 있는 조형 형식으로서 유연한 재료의 물성 변이 방법과 외피만으로 형태를 구축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관련 선행 작품의 분석을 통해 다양한 표현 방식을 모색하는 것이다. 셋째, 연구 작품에서는 비어있는 개체에 관한 인식과 의미작용, 비어있는 공간을 산출하는 경계, 외피의 외부와 내부, 비어있는 공간의 소멸이 발화하는 의미 등을 추적하고 그것을 시각화하기 위한 조형 표현 방식을 탐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비어있는 공간을 화두로 삼아 자신의 내면을 좀 더 깊이 있게 들여다보면서 구체적으로 자아 성찰과 조형예술 행위 간의 긴밀한 관계성을 알아가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연구 내용은 표현 내용, 표현 형식과 상관된 이론적 배경과 작품제작 및 분석으로 크게 둘로 나뉜다. 표현 내용에서 비어있음의 개념, 종류와 특성 및 그것이 매개하는 존재에 관한 철학적 사유를 고찰하고 조형 표현의 사례로서 선행 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한다. 비어있음이 매개하는 존재에 관한 사유는 메를로-퐁티와 하이데거의 주요 저작과 이차 문헌 및 논문을 참조한다. 표현 형식에서는 재료의 물성 변이와 외피로만 형태를 구축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유연한 재료의 물성 변이를 위해 하드너의 종류와 특성을 천연수지와 합성수지로 나눠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실험 내용을 수록한다. 연구 작품에서 내부가 비어있는 외피를 표현하기 위해 뼈대의 사용, 몰딩, 조각, 소조의 기법을 탐구하고 정리한 후 표현 형식에 관련된 작가들의 선행 작품을 추출하여 분석한다. 본 논문의 핵심인 후반부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구상한 표현 내용을 7점의 작품으로 제작하여 분석한다. 작품1에서 7의 비어있는 개체는 비어있음과 채워짐의 순환으로 시간성과 공간성을 보여주는 작품을 소개한다. 연구 작품은 하드너, 뼈대, 몰딩 기법을 사용하여 비어있는 외피를 만드는 작업을 진행한다. 연구 작품에서의 개체는 가상의 존재에게서 나온 일부이고 껍데기, 외피 등을 표상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는 물리적인 변화와 유기체의 성장을 은유하는 것이다. 작품1은 비어있는 공간의 출현, 작품2는 존재가 떠나간 직후에 표피에 남아있는 온기, 작품3은 익명의 다른 존재를 포용할 가능성, 작품4는 개별성을 상징하는 상상 껍데기, 작품5는 개체의 성장에서 발생하는 분할에 의한 증식, 작품6과 7은 소멸의 점진적인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연구 작품과 상관된 이론적 고찰과 작품제작 및 분석을 병행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비어있음의 이론적 배경을 통해 고찰한 비어있는 공간의 특성은 가시적 존재와 비가시적 존재가 함께 공존하는 곳이며 아무것도 없지만 새로운 무언가가 채워지길 기다리는 희망과 가능성의 에너지가 충만한 장소이다. 그곳에서는 비움과 채움이 순환한다. 이와 같은 특성은 존재가 있다가 없어짐을 반복하는 것과 연동된 삶의 조건이자 현상임을 인지하게 되었다. 둘째, 비가시적 현상인 비어있음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구축했다. 비어있음의 가시화에서 필수 요소는 그 구획을 상정하는 경계, 즉 외피이다. 외피 일부가 열려있는 반구를 선택함으로써 비어있음이 가시적 형태가 되었다. 몰딩 기법을 사용해 반구 외피를 제작하고 물성 변이를 통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CMC와 바니시를 선택했다. 또한 철사 뼈대를 이용한 연구 작품은 개체를 나선형의 독립 개체로 만들 수 있게 했다. 셋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연구 작품의 개체를 제작하면서 내적 관찰을 통해 본인의 자아를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나 자신의 불완전함을 결핍으로 받아들여 불안감에 휩쓸리기보다는 오히려 그와 같은 불완전함을 앞으로의 채움을 위한 예비 공간으로 인식하는 긍정적인 태도와 지혜를 배웠다.;The cor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ive way of formative expressions to explore beings mediated by an emptiness. By using the work of formative art as a filter, we could look anew at our inner sides and try to retrieve the hidden part of the self we hitherto has not properly recognized. The research works are the products of the process of recognizing myself as a tangible being by which taking the intangible space where the emptiness intervened by temporality and spatiality as an object to explore. The emptiness is expressed by revert to the counterpart, being filled, through repeated actions of connecting epidermis. In this respect, the continuity of the epidermis indicates the emptiness. In the research work, the empty space which embraces not only absent beings but also vacuousness is liken to protective layers. The emptiness means a vacancy with visual absence in an physical aspect. Moreover, it implies a phenomenological meaning of appearing and disappearing. This study, via formative expressions of the emptiness, is meaningful in terms of an exploration of an overall process of growth (or development) and extinction in life as well as an in-depth inner awareness by means of emptying and filling. One of the three purposes of the study is to contemplate the thinking of existence mediated by the emptines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take a view of the flow of modern textile art related to the thesis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works which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emptiness and the existence. Second, the formats that change properties of flexible materials and construct forms solely with the epidermis are examined. These formats, as a formative form, can express the emptiness as an non-visible phenomenon. Third, in the research work, it explores the formative expressional methods to track and visualize the perception and meaning of empty objects, boundaries that produce empty space, outside and inside of the epidermis, and meanings of disappearance of an empty space. Therefore, this paper c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cretely understand a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formative art behavior while looking deeper into one's inner self with a topic of an empty space. The study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s about theoretical backgrounds related to the contents and the forms of expression. The second part is about the art-making process and analysis of the artworks. In the content of expressions, concepts, types, characteristics, and philosophical speculations that mediates the existence of the emptiness are reviewed. Also, previous art works are selected and analyzed as examples of formative expressions. Philosophical thinkings of the existence which mediated by the emptiness are referred to main works of Merlo-Fonty and Heitegger, as well as secondary literatures and papers of the same authors. In the form of expressions, the study focuses on the methods of constructing the forms soley with the epidermis and modifications in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Types and properties of hardners for property modifications are organized by natural resins and synthetic resins, and the experiment results based on them are included. In order to express the epidermis that empty inside, techniques of frame usage, molding, sculpture, and modeling are explored, and the preceding art works of artists related to the expression forms are selected and analyzed. In the second half, which is the core of this paper, the expressions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are produced and analyzed by 7 art works. Consequently, the empty entities in Art Work 1 to 7 are introduced, in that, showing temporality and spatiality in a cycle of the emptiness and being filled. Hardeners, frames, and molding techniques were used in the research works to create the empty epidermis. The entities in the research works are part of a virtual being and represents a shell, outer skin, etc. It is a metaphor for physical changes and the growth of organisms as time passes. Work 1 expresses the emergence of the empty spaces, Work 2 expresses the warmth remaining on the epidermis immediately after the existence has left. Work 3 is about the possibility of embracing other anonymous beings, Work 4 represents the imaginary shells symbolizing individuality, Work 5 is about the proliferation by division arising from the growth of an individual, and Work 6 and 7 manifest the gradual processes of extinction. The following three results are derived by combining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oduction and analysis of art work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s. Firstly,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e empty space, it is recognizable that visible and invisible beings co-exist together, the emptiness means, since there is nothing inside, a space full of energy of hope and possibility that waiting for something new to be filled, and a circulation of emptying and filling means a condition and a aspect of our lives repeated by existence and extinction as time goes on. Secondly, a method of visually expressing the emptiness, which is an invisible phenomenon, was established. By selecting the hemispherical epidermis that openly shows the empty state, it was possible to express the visual forms where the emptiness surrounded by the outer shells was located. The outer shells were produced with molding techniques and the sculptures were finished with CMC or synthetic resin so that the shape could be maintained through the physical property modification. In addition, in a research work using wire frames, a method of visualizing the emptiness without property modification was explored, by making a helical form independent entity. Thirdly, it provided me an opportunity to introspect via internal observations while producing a series of research works that express the stage of extinction over time. Rather than accepting own imperfections as deficiencies and being swept away by anxiety, we could learn positive attitudes and wisdom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such imperfections as a reserve space for filling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