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창작 피리 독주곡의 시대별 음악적 특징 및 변화양상

Title
창작 피리 독주곡의 시대별 음악적 특징 및 변화양상
Other Titl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creative Piri Solo songs by the period
Authors
권혜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본 논문은 창작 피리 독주곡의 시대별 음악적 특징과 변화양상을 통시적 관점에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창작 피리 독주곡의 전개양상을 검토한 후, 시대별로 작품의 대중성, 시대적 상징성, 음악적 다양성을 고려한 10곡을 선정하여 선율, 리듬, 연주법 표현으로 나누어 각 시대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고, 창작 피리 독주곡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시대별로 창작 피리 독주곡의 전개양상을 살펴보고, 10곡의 분석을 토대로 주요 작품의 음악적 특징을 함께 살펴본 결론은 다음과 같다. 1960년대는 최초의 창작 피리 독주곡인 이성천의 <독주곡 제4번>이 발표되며 대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첫 시작을 알렸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1970년대는 창작 피리 독주곡의 저변이 형성되는 시기로 표제음악의 전통음악어법을 활용한 작품들이 발표되었다. 이 시기의 <청산>과 <환>은 무박자의 곡으로 2박자와 3박자 계열의 전통음악 리듬이 중심이 되며 전통주법을 주로 사용하면서 전통적 색채의 작품을 면밀히 보여주고 있다. 1980년대의 창작 피리 독주곡은 총 5곡으로 낮은 발표율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 시기에 작곡가 이해식은 한 시대에 창작 피리 독주곡 3곡을 발표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호드기>와 <춤피리>는 특수주법을 활용하면서 전통음악에서 탈피한 새로운 시도를 하고자 하는 작곡가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1990년대의 창작 피리 독주곡은 전통음악적 어법과 서양음악적 어법이 혼용되는 시점으로 피리의 특색을 표현하고자 하는 공통적인 지향점을 통해 피리 음악의 정체성과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흙>은 전통주법을 중심으로 피리의 음향과 메나리토리 선법을 강조하였고, <피리를 위한 소리>는 서양음악적 어법을 사용하며 같은 음정을 각각 다른 지공에서 연주하고 비청음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등 다양한 음색을 나타내고 있다. 2000년대는 창작음악 수용에 있어서 연주자들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작곡에 참여하며 지속적으로 창작 피리 독주곡이 발표된 시기이다. 반주악기로 서양 악기가 도입되면서 대중성을 추구하는 음악이 다수 발표되었다. 대표적으로 <나무가 있는 언덕>과 는 멜로디 중심과 리듬중심의 작품으로 대중적인 요소를 충족시키면서도 농음과 꺾는음, 목튀김 등의 시김새를 통한 전통주법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2010년대는 창작 피리 독주곡의 양적·질적인 확대가 한 층 더 발전된 시기이다. 1999년, 신곡 향피리에서 파생되어 역취 연주가 용이하게 개량된 고음피리는 개량된 직후인 2000년대보다 한 세대가 지난 2010년대의 작품에 더 많이 사용되었다. 연주자에게는 고음의 연주가 자유로워지고, 작곡가들에게는 확장된 음역을 활용한 다양한 창작 발표로 이어질 수 있었다. <금강전도>와 <피리 독주를 위한 線>은 현대어법을 통해 연주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음색과 음향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 새로운 시대에 발맞추어 급격하게 변화하는 문화를 대변하며 연주자, 작곡가 모두 새로운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음으로 창작 피리 독주곡의 시대적 흐름에 따른 변화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론은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창작 피리 독주곡의 시대별 전개양상을 살펴보고 작품에 대한 연주현황을 조사한 결과 창작 피리 독주곡의 창작 발표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작품에 대한 많은 연주자의 활동이 확장됨에 따라 작품의 수는 양적으로 늘어나고 있었다. 연주자들의 관심과 지속적인 연주 활동으로 대중화가 공존하면서 작곡가들의 작품 창작은 늘어나고 연주자들에게는 연주 수요로 선순환 구조가 정착되고 있다. 둘째, 창작 피리 독주곡에서 사용되는 피리의 음역은 확장되었고, 그에 따라 고음피리의 수요층도 확대되었다. 피리 음역대는 기존 신곡 향피리의 음역으로 알려진 (A♭) B♭-f′(g♭′) 음에서 시간이 흐를수록 더 높은 음을 사용하여 (A♭) B♭-f′′음역까지도 출현하고 있다. 비청음이 출현하는 선율은 과거보다 현재에 이르러 뻗기만 하는 음이 아닌 리듬을 표현하는 선율 형태로 변화하고 있어서 신곡 향피리로만 연주하기엔 어려움이 따른다. 연주를 위한 편의상 피리의 음역 사용에 어려움 없이 고음피리를 사용함으로써 창작 피리 독주곡에 새로운 시도와 특색 있는 다양한 음악적 효과를 나타낸다. 셋째, 작품 분석에 따른 선율과 리듬의 변화는 5음음계, 반음 진행, 장·단조 조성, 꾸밈음, 2·3분박 리듬 등 기존의 국악 작곡 기법에 국한되지 않고 더 폭넓어진 창작 피리 독주곡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2010년대 이후로 서양음악 작곡 기법 중 가락·화성 단음계, 불협화 음정, 교회선법, 12음음악, 무조성, 옥타브 이상의 도약진행, 다양한 리듬 형태 등 화려한 음악적 특징을 살려서 창작 피리 독주곡이 창작되고 있다. 넷째, 연주법의 활용이 확장되고 있다. 시대가 변화하며 서양어법이 도입되고 현대음악적인 작품이 발표되면서 기존 주법을 토대로한 새로운 창작주법의 활용으로 피리를 표현하는 다양한 효과와 연주 영역이 나타나고 있다. 전추성, 불규칙 농음, 서주법, 비청음 등의 활용을 통해 피리만의 음색과 음향을 동반한 다채로운 연주법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앞으로 창작 피리 독주곡의 음악적 다양성을 기대할 수 있다.;This paper discuss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creative Piri solo songs by the period from diachronic perspectives. Through reviewing the development pattern of creative Piri solo songs and the popularity of the works, 10 songs considering the symbolism of the times and musical diversity were selected, expressed in melody, rhythm, and how to perform. Firs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era were analyzed, and the changes in creative Piri solo songs were examined.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iri solo songs is examined on the analysis of 10 songs. The conclusion that examin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 is as follows. In the 1960s, the first creative Piri solo song was "Solo Song No. 4" by Lee Seong-cheon, and its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at it announced the first start through the university curriculum. In 1970s, the base of creative Piri solo music was formed and the traditional musical language of title music was used. and of this period are non-beat songs with two beats and three beats. The rhythm of traditional music in the series is centered on traditional liquor techniques, and traditional colored works that are mainly used are showing closely. In the 1980s, the solo songs of the creative Piri were total of five songs, showing a low presentation rate. The composer, Lee Hae-sik stood out by releasing three creative Piri solo songs in an era. and are on new approches to break away from traditional music while using Piri techniques for effectively showing the composer intentions. In the 1990s, there were the use of traditional musical techniques and Western musical techniques mixed with the creative Piri solo songs. Although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techniques are different for creative Piri solo songs, The direction of the work to express Piri's characteristics is the same. emphasized dynamics and tone of the Piri, focusing on traditional techniques. plays the same pitch in each hole of the Piri and actively utilizes through stating various tones such as Bicheong, it was feasible to find the identity and direction of the music through the tone of the Piri. In the 2000s, the level of performer's interests in accepting creative music were increased and led participating in composing itself. The period of creative Piri solo songs were released along the introduction of Western instruments as the accompaniment instruments in the pursuit of popularity. Representative songs are as follows and which are focused on melody and rhythm conveying popular elements while Gyemyeonjo and traditional techniques that are actively using Chuseong, Nongeum, Seochim, Moktwigim(Ssangtwigim) through in Gyeonggi scale's rapid rhythm. In 1999, the high-pitched Piri derived from the new song Hyangpiri improved the high-pitched performance easily immediately after the 2000s, used in the works of the later generations in the works of 2010s than the generations of 2000s. It led composers to get through from the high notes and giving various creative performances in extended ranges to various creative presentations. For instance, and using the performance methods through modern languages. It shows various tones and sound effects as well. Also, it changes rapidly in line with the new generation. Through various attempts, it has been made representing cultures and giving new approaches by both performers and composers. Therefore, the 2010s can be said to be a period in whic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sion of creative Piri solo songs was further developed. As a result, examining the change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of creative Piri solo music could be found into four features below. Firstly, it is clear that creative presentations of Piri solo songs are being actively made at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iri solo songs on the status of the performances. As expanded, the number of works were increased in quantitative terms along with the attention and support of the performers. By co-existing popularization of performing activities, composer's creation of works and performers in the virtuous circle structure were established due to the demand of performances. Secondly, the sound range of the Piri used in the creative Piri solo song has been expanded along with the demand for high-pitched Piri and the range of high-pitched performance has also been expanded. In the flow of periods, new song Hyangpiri appeared using higher note (A♭) B♭-f′(g♭′) range extended from Piri's existing range (A♭) B♭-f′′to a higher rang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Bicheong have not only expanded the vocal range, but also maximized the dramatic effect of tension and the upward effect of peak in the appearance of high-pitched sound from the past. It symbolizes a variety of musical effects and approaches of creative Piri solo songs by using the high-pitched Piri for playing without difficulties. Thirdly, It is evident that there are wider range of creative Piri solo songs, not limited to exis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composition techniques in 2 and 3 rhythm in the melody and rhythm 5-tone scale, semi-tone progression, major and minor composition and decoration notes on the analysis of the works. In particular, since the 2010s, among Western music composition techniques, there are creative Piri solo songs, highlighting musical chracteristics in harmony monotone, discords, church melodies, 12-tone music, atonality, octave or above higher leap, and various rhythmic forms. Fourthly, the use of an growth of the use of performance methods are expanding. As the western language was introduced and contemporary musical works were announed, utilizing new creative ways based on existing musical methods and the areas of various effects and performances that express the Piri in the change of era.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scope of various performance methods are verified through Jeonchuseong, irregular Nongeum, Seochim and Bicheong methods and musical diversity of creative Piri solo songs are expected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