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3 Download: 0

코로나19 시대의 공연 영상화 사업 연구

Title
코로나19 시대의 공연 영상화 사업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nline-Based Performance Project in Covid-19 :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Authors
김은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공연예술경영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정소희
Abstract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공연예술계는 영상화 전환으로 위기에 대처하고 있다. 많은 공연예술단체는 극장의 운영이 어려워지자 온라인 기반의 공연 영상 콘텐츠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수익에 나섰다. 팬데믹으로 가속화된 공연의 영상화는 약 2년 만에 유료화 전환과 장르적 확장을 꾀하며 급성장하였다. 하지만 공연 영상은 여전히 무대 공연의 대체재 혹은 보완재 역할로 한정될 뿐 독립적인 장르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팬데믹으로 가속화된 공연 영상화의 미래 지속성을 가늠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연 영상 콘텐츠 시장이 일상 회복 후에도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을까?’라는 우려 섞인 질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여기에는 감염병 유행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급속도로 발전한 공연 영상화의 불안정함과 매체의 특성이 대척점에 있는 공연과 영상, 그리고 사업 진행 2년 만에 하향세를 보이는 관심도가 그 배경에 존재한다. 연구 범위는 공연예술 장르 중 공연 영상화가 가장 활발하게 나타난 뮤지컬 분야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사업을 진행한 서울예술단의 사례를 통하여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타당성 있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서울예술단의 공연 영상화는 강제적 비대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대체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공연예술의 고유성을 염두에 둔 공연 영상 제작과 스트리밍 송출 방식이 특징이다. 유료화 전환으로 시장을 형성하였고 웹뮤지컬과 같은 새로운 콘텐츠의 개발로 장르 확장을 시도하였다. 현재는 작품을 주제로 한 메타버스 구축을 진행하며 다음 단계의 영상화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성과적 측면에서 서울예술단의 공연 영상화 사업은 유의미한 업적을 남겼다. 수치적으로는 약 2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였다. 예술적으로는 이전 기록용 영상과 달라진 품질의 차이를 증명하였고 전달 방식의 변화로 인한 새로운 상호작용을 유발하였다. 정량적 평가가 불가능한 부분은 결과 분석으로 보완하였다. SWOT 분석으로 다각도에서 공연 영상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 연구자들이 제시한 문제점과 제언을 기반으로 질문을 선정하고 서울예술단의 사례를 기준으로 답변하여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공연 영상화 사업이 위기 대응책에 머문다면 대면 문화의 완전한 복귀와 동시에 경쟁력을 잃게 된다. 현재 공연예술계는 팬데믹 이전부터 진행해오던 예술과 기술의 융복합 콘텐츠로 시대에 적합한 변화를 계속해서 강구하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시도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공연예술 탄생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예술단이라는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공연 영상화의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고 미래 예측의 토대로 삼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자는 이 논문이 팬데믹 시대가 재촉한 공연 영상화의 초기 기록으로서 실질적 가치를 지니길 기대하며 나아가 공연예술 영상화 사업과 서울예술단 관련 연구에 유의미한 초석이 되길 바란다. ;The performing arts market, damaged by Covid-19, handle the crisis by switching to performance in online streaming. Since operating the concert halls have been hard,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pioneered a new market and created new profits with online-based performance content. The online-based performance due to Covid-19 has quickly grown in about 2 years, seeking to switch to paid contents and expand the genre. Nevertheless, the online-based performance is still limited to the role of a supplement for live stage performance, but it has not been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gen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future persistence of online-based performance. The beginning of the study is from the question with concerns that “Will the online-based performance content market continue to be maintained in the future?” Also, the background of the question is from the instability of online-based performance developed quickly in the unique situation of virus pandemic, the performance and video in the opposite point of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the interest in showing a downward trend in 2 years of business progress. The scope of the study focused on the musical genre that most actively has progressed the online-based performance. Among them, it concentrated on more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which actively carried out related projects, collected more specific information, and was drawn the conclusion by depth interviews. The online-based performance of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began as an alternative project to cope with forced non-face-to-face situation. Its features the methods of producing and streaming performance videos with the uniqueness of the performing arts. After that, it formed a market by establishing paid-contents and attempted expand its genre by developing new contents such as web musicals. Currently, it is building a metaverse with theme of the work and preparing for the next level of online-based performance. In terms of performance, the online-based performance project of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left very meaningful achievements. It recorded about 200 million KRW in sales numerically. Artistically, it proved the difference in differentiated quality from previous recording videos, and formed a new interaction because of changes in transmission methods. The parts that are not able to be evaluated quantitatively were supplemented by result analysis. Also, the potentials of the online-based performance were checked by SWOT analysis. The preceding research prepared evaluation standard by selecting questions based on problems and suggestions presented by researchers and answering based on the case of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If the situation of Covid-19 is better, the face-to-face culture may be revitalized, so the online-based performance recognized as alternative solution may lose its competitiveness. However,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has maintained a change suitable for the times with the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logy progressed even before Covid-19. This means it will be the future continuity and might be expected to create a new type of performing ar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explored the process of the online-based performance focusing on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analyzed the results, and then use them as the basis for future prospects. It would be expected to be precious as a history of the online-based performance promoted by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hope it will be meaningful basis for the online-based performing arts project and for research related to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공연예술경영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