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9 Download: 0

김정은의 전략적 언어 사용 연구

Title
김정은의 전략적 언어 사용 연구
Authors
권혜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향
Abstract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현재 북한의 지도자인 김정은의 집권 시기 동안 그의 이름으로 발표한 문헌을 통하여 권력의 정당화와 체제의 유지를 위한 김정은의 전략적 언어 사용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북한체제의 내구력에 대한 하나의 해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2021년 1월 조선노동당 8차 당대회가 열렸고 이 대회에서 김정은은 다시 조선노동당의 총비서가 되었다. 2012년 4월 당·정·군을 아울러 북한을 통치하는 최고의 위치에 올랐던 김정은은 그의 권력을 여전히 지키고 있다. 북한은 여타 사회주의 국가와는 다른 ‘수령 중심의 당국가체제’를 수립했는데 선대 수령에게 세습으로 권력을 이어받은 김정은은 ‘유일적 영도체계’의 권력을 어떻게 유지하고 지켜왔을까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본 논문은 시작한다. 권력을 유지하고 대중을 지배하는 데 있어서 강제로만 설명할 수 없다는 전제 아래 권력을 정당화하여 대중의 참여와 동원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전략적 언어를 김정은의 문헌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은 『조선중앙년감』에 실린 김정은의 문헌과 김정은의 이름으로 발표한 소책자 단행본으로 출판된 책에서 수집하였고 총 61건의 문헌이다. 연구 방법으로 내용분석을 선택하여, 이데올로기적 담화에서 언어의 기능을 사용하는 분석 질문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김정은이 발표한 문헌을 연도별로 자세히 알아본 후 핵심 어휘의 빈도수로 김정은 시대의 변화 양상을 서술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정은의 문헌에 적용한 언어의 기능은 선동적 기능과 지시적 기능이다. 북한의 언어정책이 대중에게 전달하는 선전선동을 중요한 목적으로 삼기 때문에 수신자는 선동의 목적지인 북한의 대중으로 한정하였다. 언어의 지시적 기능은 텍스트 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말하는 내용을 뜻한다. 이를 적용하여 살펴보니, 김정은의 문헌에 나타난 언어 기능적 특징을 3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선포하는 발화목적을 가진 문장으로 수신자에게 정체성과 해야만 하는 일의 당위성을 부여하여 대중을 자발적으로 동원하는 선동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둘째, 전투 용어의 사용으로 거의 모든 것을 투쟁이라고 표현하며 전쟁과 관련한 단어를 통하여 대중의 감정을 자극하고 긴장감을 조성한다. 셋째, 동일한 핵심 어휘의 반복과 같은 내용을 여러 문헌에서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김정은의 문헌을 통시적 관점에서 연도별로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고 핵심 어휘의 빈도수를 기준으로 김정은 시대의 변화 양상을 드러내고자 했다. 2012년, 김정은은 김일성민족과 김정일조선의 계승을 말하며 북한의 지도자로서 등장하여 그의 시대를 시작했다. 경제건설과 핵무력의 병진노선을 제시하고 사상교양사업을 강조하면서 선대 수령의 이름을 호출하며 물려받은 권력에 대한 동의를 구했다. 2017년과 2018년을 지나면서 김정은은 선대 수령의 이름을 지우고 사회주의 정상국가의 지도자로서 자신의 이름을 드러내며 김정은 통치의 단계로 발전하고자 했다. 하지만 풀리지 않은 대외관계와 연이어 닥친 자연재해 위기와 전세계 대유행 감염병사태로김정은의통치는혼란기를겪고있는것으로볼수있다. 김정은의 문헌을 언어의 기능적 측면과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를 통하여 전략적 언어를 도출할 수 있었다. ‘제일주의’와 ‘기념비적 건축물’, 그리고 ‘인민의 적’이라는 용어를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김정은은 선포와 반복, 전투적 용어의 사용으로 제일주의라는 이름을 붙인 통치 이념을 강조하고 기념비적 건축물로서 국가적 건설 사업을 일으켜 왔다. 또한 외부의 적과 내부의 적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언급하면서 인민과 자신을 우리로 묶으며 그들과 분리시켜 결속을 추진하는 전략적 언어를 사용해 온 것이다. 김정은은 자신의 언어로 적을 내보이며 전쟁의 형세로 공포심을 조장하고 높고 화려하게 들어서는 건축물을 통하여 발전을 말하면서 지도자에 대한 정당성을 획득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통치의 시각에서 권력의 언어를 분석하여 통치자 김정은의 권력 정당화와 체제 유지를 위한 전략적 언어 사용을 연구했다. 이를 통해 드러난 전략이 북한체제의 내구력에 대한 하나의 해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This study analyzes the strategical linguistic usage of Kim Jong-un, the Supreme Leader of North Korea to justify his political power and to maintain the system. I examined specific literature published in his name during his reign and tried to interpret how it is related to the durability of the North Korean regime. Kim was elected as the general secretary of the party again at the 8th Party Congress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WPK) in January, 2021. He has been already the supreme leader of the nation who rules the party, the government, and the military altogether since April, 2012. Unlike other socialist countries, North Korea has established a unique system called ‘Suryeong dominant party-state.’ This study started from questioning how Kim Jong-un has maintained and kept this unique ‘Monolithic Leading System’ which he inherited from his fathers. On the premise that it is not easy to forcibly maintain the power and rule the masses, I tried to find his strategic language to justify his regime and draw people’s participation and mobilization by studying his literature. In specific, I analyzed 61 documents including articles in “North Korean Central Yearbook” and some booklets, which were all published in his own name. I conducted content analysis research methodology and applied analytical questions using linguistic functions in ideological discourses. This study examined the literature in detail by year and described the changes in Kim Jong-un era based on the frequency of core vocabularies. The results is as follow: The functions of language that I applied to Kim Jong-un's literature in this study is inciting function and directive function(Olivier Reboul, 1980, “Langage et idéologie,” Paris : PUF). The recipients of the languages are limited to the North Korean people who are the main target of the incitement. Also, the reason I chose the directive function is that when focused on that function, we can examine more properly what Kim intends to deliver. In conclusion, the linguistic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Kim Jong-un's literatur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he uses sentences to proclaim something and remind the recipients of who they are and why they have to do what he commands so that they can be voluntarily mobilized. Second, he frequently uses army terms and expresses almost everything as a struggle to stimulate the emotions of the public and create tension. Third, he repeats the same core vocabularies in various literatures.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Kim Jong-un's literature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and tried to reveal the changes of his regime based on the frequency of core vocabularies. In 2012, Kim Jong-un started his regime as the leader of North Korea, citing the succession of the “Kim Il-sung People(Minjok)” and “Kim Jong- il Chosun”. Calling for these fathers’ name, he proposed the “Byungjin”(parallel development) policy which includes the economic construction and nuclear weapons programs and emphasized the ideological and cultural projects to get consent to the inherited power. After 2017 and 2018, however, Kim Jong-un tried to erase those fathers’ names and reveal his own name as the leader and develop into the stage of Kim Jong-un's era. But due to unresolved foreign relations, continuous natural disasters and the pandemic infectious disease worldwide, Kim Jong-un's rule can be seen as a confusion. This study derived Kim Jong-un’s strategic language by analyzing his literature from the functional and diachronic perspectives of language. He has been strategically used the term 'our state first(Jeiljuui),' 'monumental architecture', and 'enemy of the people.' He has emphasized the ruling ideology, ‘Jeiljuui’ by repeatedly using terms of army and proclamation, and has run 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making monumental buildings. In addition, he has repeatedly referred to the enemies of the outside and inside, leave them out and keeping the people and himself together. Kim Jong-un seems to have tried to acquire the legitimacy of his leadership by revealing enemies, encouraging fear of war, and showing tangible development through high colorful buildings. This study analyzed his strategic language usage to justify his regime and maintain of the system of the ruler Kim Jong-un, examining his language from the viewpoint of governance. I think that the strategy revealed through this study can be an interpretation of the durability of the North Korean system.;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현재 북한의 지도자인 김정은의 집권 시기 동안 그의 이름으로 발표한 문헌을 통하여 권력의 정당화와 체제의 유지를 위한 김정은의 전략적 언어 사용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김정은의 문헌을 언어의 기능적 측면과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를 통하여 전략적 언어를 도출할 수 있었다. ‘제일주의’와 ‘기념비적 건축물’, 그리고 ‘인민의 적’이라는 용어를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김정은은 선포와 반복, 전투적 용어의 사용으로 제일주의라는 이름을 붙인 통치 이념을 강조하고 기념비적 건축물로서 국가적 건설 사업을 일으켜 왔다. 또한 외부의 적과 내부의 적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언급하면서 인민과 자신을 우리로 묶으며 그들과 분리시켜 결속을 추진하는 전략적 언어를 사용해 온 것이다. 김정은은 자신의 언어로 적을 내보이며 전쟁의 형세로 공포심을 조장하고 높고 화려하게 들어서는 건축물을 통하여 발전을 말하면서 지도자에 대한 정당성을 획득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통치의 시각에서 권력의 언어를 분석하여 통치자 김정은의 권력 정당화와 체제 유지를 위한 전략적 언어 사용을 연구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