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밀레니얼 세대의 위험수용성향, 금융지식 및 금융자산투자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밀레니얼 세대의 위험수용성향, 금융지식 및 금융자산투자행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Risk Tolerance, Financial Knowledge and Investment Behavior of Millennials.
Authors
남슬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동사회경제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소현
Abstract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의 금융자산투자행동을 이해하고 투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금융시장에서 투자의사결정행동을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위험수용성향과 금융지식이 알려져 있다. 밀레니얼 세대의 금융자산투자행동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금융지식, 위험수용성향을 파악하고 금융자산투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자료는 전국에 거주하는 21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독립성검증교차분석,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밀레니얼 세대의 금융지식과 위험수용성향 수준은 ‘중’으로 나타났다. 일부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금융지식과 위험수용성향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소득이 높을수록 금융지식과 위험수용성향도 높았으며 기혼에 비해 미혼의 위험수용성향이 높았다. 또한 전체 8개 금융자산투자행동 중 상품평균보유기간을 제외한 모든 금융자산투자행동에 유의한 영향 요인이 존재하였다. 특히 위험수용성향의 경우 8개 행동 중 6개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금융지식 또한 4개 행동에 유의한 영향이 있어 위험수용성향과 금융지식이 금융의사결정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결과와 일치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일부 또한 금융자산투자행동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밀레니얼 세대들은 전문가를 통해 투자 정보를 획득하기보다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직접 탐색하여 얻는 경향이 있으며 고위험이상의 상품을 1개 이상 보유한 비율이 80%로 높았다. 그러나 투자포트폴리오 유형 결과 실제 투자 규모는 중위험자산 이하에 집중되어 있었다. 성별과 위험수용성향은 투자포트폴리오 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남성이고 위험수용성향이 높을수록 고위험이상 포트폴리오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융지식이 낮을수록 중위험이하 상품만 보유하였다. 즉 밀레니얼 세대는 모바일 기술 토대의 새로운 금융 환경을 중심으로 위험자산투자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위험금융자산의 규모도 크다고 일반화할 수는 없으며 성별과 위험수용성향에 따라 규모에는 차이가 있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 중 금융지식이 낮은 집단은 중위험이하 자산만 보유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상품을 판매할 때는 기존의 전통적인 홍보 방법보다는 모바일 환경을 기본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가 직접 탐색하여 결정할 수 있는 환경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성별과 위험수용성향, 금융지식에 따라 차별화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소득 활동 유형에 따른 금융자산투자행동 차이를 살펴보면, 고정된 소득 활동이 없는 집단(무직, 학생, 주부)이 고정된 소득 활동이 있는 집단(자영업, 급여 근로자)에 비해 소극적인 투자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금융상품거래 경험이 없을 가능성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다. 또한 상품을 탐색할 때도 안전성 위주로 선택하였으며 분산투자보다 집중투자를 하였다. 저금리 상황이 장기화된 상황에서 소극적인 투자는 장기적으로 개인의 복지를 저해할 위험이 있다. 청년고용률이 떨어지고 신입사원의 평균 입사 연령도 높아진 상황에서 밀레니얼 세대 중 고정된 소득 활동이 없는 집단의 비중도 증가하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들의 복지를 위한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 내에서도 나이에 따라 일부 금융자산투자행동에 차이가 확인되었다. 나이가 많을수록 상품을 탐색할 때 수익성보다 안전성을 고려하였으며 금융상품투자를 위한 대출 경험이 많았다. 그러나 나이 이외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존재하여 해당 변수들을 통제하여도 나이의 영향력이 유의한지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의 금융자산투자행동 경향과 영향 요인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정책 및 금융서비스 수립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영향 요인들의 상호작용효과를 고려하지 못하였으며 연구 표본이 제한적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vestment behavior of Millennial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investment behavior. Risk tolerance and financial knowledge are known as major factors that explain investment decision-making behavior in the financial market. To understand the investment behavior of Millennial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inancial knowledge, and risk tolerance were identified, and the effect on investment behavior was investigated.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210 adults residing across the country. As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and risk tolerance of Millennials was found to be medium. Som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knowledge and risk tolerance. The higher the income, the higher the financial knowledge and risk tolerance. In addition, among all 8 financial asset investment behaviors,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7 investment behaviors, except for the average holding perio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isk tolerance, 6 out of 8 behaviors were significant. Financial knowledg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4 behaviors. Some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vestment behavior of Millennials. Millennials tend to obtain investment information by directly using websites or applications rather than acquiring investment information through experts, and the ratio of possessing one or more high-risk financial assets is as high as 80%. However, as a result of the investment portfolio type, the actual investment scale was concentrated in low-to-moderate-risk assets. Gender and risk tolerance were significant in investment portfolio type. The higher the risk tolerance, males, the higher the risk-taking portfolio. In addition, the lower the financial knowledge, the higher only having low-to-moderate-risk financial assets. In other words, it can be expected that Millennials will actively participate in risky asset investment, centering on the new financial environment based on mobile technology. However, the size of risk financial assets cannot be generalized to be large,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vestment size depending on gender and risk tolerance. Also, among Millennials, the group with low financial knowledge is more likely to have only low-to-moderate-risk assets.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investment behavior by job status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group without fixed income (unemployed, students, housewives) was more passive than the group with fixed income (self-employed, salaried worker). Also, lower income group has lower financial knowledge which can lead them to passive investment behavior. In addition, even within the Millennial generation,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investment behavior according to age. The older they were, the more they considered safety rather than profitability when searching for financial assets, and they had more experience in lending for investment. However, there are variable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ther than age, so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 of age is significant even if other effective variables are controll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policies and financial services for Millennial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investment behavior of Millennials from various view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because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influencing factors was not considered and the study sample was limi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동사회경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