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1 Download: 0

瀋陽館 世子侍講院의 構成과 活動

Title
瀋陽館 世子侍講院의 構成과 活動
Other Titles
The Organization and the Activities Of Sejasigangwon(世子侍講院) in Shenyang-Guan(瀋陽館)
Authors
이현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옥경
Abstract
Shenyang-Guan(瀋陽館) is the official residence of the Crown Prince and his attendants who were taken hostage in Qing after the outbreak of the Byeongja Horan(丙子胡亂). Since it played a certain role between Qing and Jose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Ming to Qing Dynasty, Shenyang-Guan has received attention as a research topic showing one aspect of the early Joseon-Qing relationship. In particular, Shenyang-Guan was operated by Sejasigangwon(世子侍講院, Crown Prince educational institutions) officials, who were originally dispatched for the purpose of the Crown Prince's education. Therefore, roles, activities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members of Sejasigangwon are important factors to understand the role or status of Shenyang-Guan. Moreover, the role and composition of Sejasigangwon of Shenyang-Guan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omplexion of the Joseon-Qing relationship. Qing's demand for hostage was a means to force Joseon to sever ties with Ming and support Qing in the upcoming Ming-Qing confrontation. Joseon considered Sejasigangwon which did not have political authority from the outset as an institution to take care of the Crown Prince in Shenyang. This was contrary to the fact that Bunjo(分朝) was constituted with the chief minister and Leejo(吏曹) and Byeongjo(兵曹)'s offices and given some degree of authority during the Jeongmyo Horan(丁卯胡亂). This was interpreted to imply that the when the Crown Prince and his party went to Shenyang, the negotiation activities with the Qing government, which Sejasigangwon should cover, were more active than expected. From the 15th year (1637) to the 17th year (1639) of King Injo, the officials of Sejasigangwon, centered around Jae-shin(宰臣), attended various ceremonies with the Crown Prince, represented the Joseon Dynasty and appropriately responded to the demands of the Qing government. In addition, it repatriated those held in Shenyang as prisoners of war after the Byeongja Horan, and used their close relationship with several Qing dynasty officials to collect and deliver information needed by the Joseon government. These negotiation affairs were mainly carried out by Jae-shin among the Sigangwon officials. Later when the replacement took place, Jae-shin who had had an affinity with Qing was dispatched. The number of Ganggwan(講官) decreased along with Seoyeon(書筵)'s downsizing. Sejasigangwon, experienced a change in role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Qing’s foreign policy toward Ming in the 18th year of King Injo (1640). This is because the Qing government's strong control to cut off the link between Joseon and Ming had an impact on Shenyang-Guan's operation. The Qing controlled Joseon's manpower and information going into and out of Shenyang, forced the Crown Prince to participate in the war against Ming, and demanded more supplies, military goods, and troops from Joseon through Shenyang-Guan.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was difficult for the Sejasigangwon officials to be effective in the foreign negotiation as before. Despite this stronger control and demand from the Qing government, interest in issues that Joseon used to actively pursue, such as repatriation of prisoners of war, diminished. Furthermore, Qing commenced to intervene in the appointment of Shenyang-Guan officials, and King Injo perceived appointment of Shenyang-Guan Chasong officials as punishment temporarily. the Sejasigangwon official positions were increasingly avoided. The change in the Joseon government's perception of Sejasigangwon also led to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Jae-shin and Ganggwan officials, and the period of assignment considerably decreased compared to before the 18th year of King Injo (1640). Sejasigangwon in Shenyang-Guan before the 18th year of King Injo (1640) could be considered as an institution that represented the interest of Joseon to Qing. After the 18th year of King Injo (1640), as Qing’s control on Joseon became intensified and the perception within the Joseon government changed, the size and status of Sejasigangwon inevitably withered.;심양관은 병자호란 이후 청에 볼모로 가게 된 소현세자 일행이 지냈던 관소로서, 명·청교체기 청과 조선 사이에서 다양한 교섭활동을 담당하였다. 이러한 심양관은 초기 조·청관계의 일면을 볼 수 있는 연구 주제로 주목되어, 소현세자의 역할, 심양관의 구조 등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런데 본래 세자의 교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파송되었던 세자시강원은 인조 15년(1637)부터 인조 22년(1644)까지 심양관 운영의 주체가 되었고, 조·청관계의 변동에 따라 그 역할과 인원구성이 변화하였다. 이 때문에 심양관의 역할과 위상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세자시강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丁丑和約 이후 청의 요구에 따라 심양관으로 들어가는 세자를 陪行하는 기구는 처음부터 세자시강원으로 지목되었다. 이때 세자시강원은 별다른 정치적 권한이나 대외교섭에서의 결정권을 갖고 있지 않았다. 이것은 정묘호란시 分朝가 대신과 이조·병조의 낭청을 포함하여 구성되면서 관원의 임명이나 처벌을 권한을 부여받았던 것과는 상반된다. 인조 15년(1637)~인조 17년(1639)년간 조·청 양국 간의 현안이 증가하면서 심양에서 세자시강원이 담당한 對淸교섭활동은 다방면에서 역동적으로 진행되었다. 세자시강원 관원들은 세자를 모시고 각종 의례에 참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선과 청 사이에서 조선의 입장을 대변하면서, 청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고 조정하였다. 또, 병자호란 이후 被擄人으로 심양에 잡혀있는 사람들을 贖還하였고, 청측 인사와의 친분 관계를 활용하여 조선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탐지하여 전달하였다. 이러한 대청교섭 사무는 주로 시강원 관원 중에서도 宰臣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이후 교체되어 심양에 들어가는 재신은 청과의 관계에서 친연성이 있는 인물로 발탁되었다. 그리고 이들은 장기간 심양관에 배속되어 교섭 업무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대청교섭업무가 증가함에 따라 세자시강원 본연의 업무인 書筵의 시행은 축소되었고, 서연을 담당했던 강관의 경우 심양관 배속 인원이 감축되었다. 그런데 인조 18년(1640), 청의 對明전략 변화는 세자시강원 역할에 변화를 초래하였다. 조선과 명의 연계를 차단하기 위한 청의 강력한 통제정책이 심양관 운영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청은 심양에 왕래하는 조선의 인력과 정보를 통제하였고, 세자에게 명을 정벌하는 전쟁에 참여할 것을 강제했으며, 심양관을 통해 조선으로부터 더 많은 물자와 군량, 병력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자시강원 관원들의 대외교섭 활동은 이전만큼의 실효를 거두기 어려웠다. 이처럼 청의 통제와 요구가 강화되어 가는 반면 조선에서는 피로인 속환과 같이 적극적으로 나설만한 문제들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다. 이에 더해 조선 관료들은, 심양관 관원의 임용 혹은 처벌에 청이 개입하거나, 인조의 심양 배종관 임명이 처벌성을 띠고 있는 상황을 경험하였다. 이는 조선에서 세자시강원 관직 기피하는 현상이 심화되는 결과를 낳았다. 세자시강원에 대한 조선 정부의 인식 변화는 그 규모에도 영향을 미쳐, 재신과 강관 모두 인원이 감축되었으며 배속 기간도 인조 18년(1640) 이전과 비교하여 단축되었다. 이와 같이 심양관은 인조 18년(1640)을 기점으로 조·청 양국 사이의 중재 및 조정 업무를 활발하게 전개하던 초기적 활동 양상이 크게 약화되었으며, 청의 對조선 정책 변화에 따라 그 규모도 축소되었다. 세자시강원은 양국의 상호인식과 대외정책에 따라 그 기능과 구성이 가변적이었다. 세자시강원을 주축으로 운영되었던 심양관은 양국 관계의 변화에 따라 유동적인 성격을 가졌던 기구로 이해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