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8 Download: 0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미국 선전 포스터에 함축된 전략에 관한 연구

Title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미국 선전 포스터에 함축된 전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rategy Implied in American Propaganda Poster during World War II
Authors
윤지수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This thesis analyzes the political and social strategies implied in the US propaganda posters produced during World War II. World War II was a time when the use of propaganda dramatically increased compared to World War I. Among them,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United States, which had not been directly involved in World War I, emerged as a major warring power during World War II, and implemented an all-round propaganda policy through posters. Because World War II was a long-term conflict that required continued commitment of the entire nation, poster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element of American propaganda policy to address public opinion. The propaganda policy gradually expanded with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government institutions. Therefore, the US government was able to produce diverse poste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itution and the tendencies of assigned artists. While previous researches only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Office of War Information and recognized propaganda posters as political products, this thesis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ages used in propaganda posters by classifying the institutions that produced them by its purpose. The government institution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paganda policy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major groups: Office of War Information, War Department, Department of Treasury, War Manpower Commission, and War Production Board. The Office of War Information produced propaganda posters that secure legitimacy for the United State’s participation in the war and lay foundation for emotional unity among people. As a strategy to maximize the figurative effect of the poster, the Office of War Information commissioned posters to artists from various backgrounds and art fields. The War Department recruited combat artists to create propaganda posters based on their experiences on the battlefield. Posters of the War Department revealed a strategy to encourage voluntary enlistment and strengthen national security by appealing to people's patriotism and spirit of sacrifice. The Department of Treasury used propaganda posters to promote war bonds that were issued to finance military spending. Their posters intended to motivate bond purchase by appealing to people’s emotion and were aimed at all people including men, women, and even students. The War Manpower Commission produced propaganda posters that induced cooperation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and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to strengthen military industry, which was a decisive factor in winning the World War II. While posters reminded workers about the purpose of War Manpower Commission, at the same time it contributed to the practical achievement of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military supplies. The War Production Board produced posters that emphasized resource conservation to recover raw materials for military supplies, and posters were used to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by enhancing responsibility of the workers who were producing war supplies.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strategies of various US government institutions were implied in the propaganda posters produced during World War II. Propaganda posters, produced according to the unique identity and independent composition of each government institution, were strategically used as a mechanism to overcome national crisis. The value of this thesis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has re-examined the position of US propaganda posters in art history by not only interpreting the images used in the posters, but also revealing the political and social strategies of the government institutions within.;본 논문은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미국의 선전 포스터에 함축된 정치, 사회적 전략을 규명한 연구이다. 제2차 세계대전 시기는 제1차 세계대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선전의 활용이 증가한 때였다. 그 중에서도 본고는 제1차 세계대전에 직접적으로 가담하지 않았던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 시기에 이르러 전쟁을 수행하는 주요국으로 부상하면서 포스터를 통한 전방위적 선전 정책을 펼친 것에 주목했다. 제2차 세계대전은 전 국민의 지속적인 헌신을 필요로 하는 장기적인 분쟁이었기 때문에 포스터는 여론을 다루기 위한 미국의 선전 정책의 중요한 요소였다. 미국 정부의 선전 정책은 다양한 정부 기관들이 참여하면서 점차 확대되었고 이는 기관별 성격과 소속 예술가들의 성향에 따라 다채로운 포스터가 제작되는 배경으로 작용했다. 그간의 연구가 미국의 공식 선전 기관이었던 전쟁 정보국(Office of War Information)의 활동에만 주목해 선전 포스터를 정치적 산물로 인식하는데 그쳤다면 본고는 선전 포스터를 제작한 미국의 정부 기관들을 성격 및 목적별로 분류하여 포스터에 사용된 이미지를 비교, 분석해 이에 담긴 함축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타 연구와 차별을 두고자 했다. 미국의 선전 정책에 동참한 정부 기관들은 크게 다섯 곳으로 구분되었다. 전쟁 정보국은 미국의 참전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고 국민의 정서적 통합의 기반을 다지는 선전 포스터를 제작했다. 전쟁 정보국은 포스터의 조형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다양한 출신 배경과 예술 분야의 작가들에게 포스터를 의뢰했다. 다음으로 전쟁부(War Department)는 전쟁 예술가를 선발해 전쟁터에서 경험한 것을 토대로 선전 포스터를 제작하게 했다. 전쟁부의 포스터에는 국민의 애국심과 희생정신에 호소해 자원입대를 독려하고 국가의 안보를 강화하고자 한 전략이 드러났다. 재무부(Department of the Treasury)는 군비로 편향된 연방정부의 예산을 충당하기 위해 전쟁 채권을 발행하였고 이를 홍보하는 것이 선전 포스터 제작의 주된 목적이었다. 재무부의 포스터는 성인 여성과 남성 그리고 학생들을 포함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했으며 특히 국민들의 감정에 호소하는 전략을 통해 채권 구매의 동기를 부여하고자 했다. 전시 인적자원 위원회(War Manpower Commission)는 세계대전의 승패를 가르는 결정적인 요소였던 군수산업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노사 간의 협력과 여성의 노동 참여를 유도하는 선전 포스터를 제작했다. 포스터는 노동자들에게 전시 인적자원 위원회의 목적을 상기시키면서도 군수품 생산량의 증대라는 실질적 성과를 얻는데 기여했다. 전시 생산국(War Production Board)에서는 군수품의 원재료를 회수하기 위해 자원 절약을 강조하는 포스터가 제작되었으며 전쟁 물자를 생산하던 노동자들의 책임감을 고양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포스터가 사용되기도 했다. 본 연구는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미국의 선전 포스터에 다양한 정부 기관들의 전략이 함축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선전 포스터는 각 정부 기관의 고유한 정체성과 독립적인 구성 방식에 따라 제작되어 국가 존속의 위기를 극복하는 대응책으로 활용되었다. 본 논문의 의의는 단순히 선전 포스터에 사용된 이미지의 해석에 그치지 않고 이에 내포된 미국 정부 기관들의 정치, 사회적 전략을 밝힘으로써 미술사적 의미를 재고했다는 것에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