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5 Download: 0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전자책 읽기 방식에 따른 이야기 이해 능력 비교

Title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전자책 읽기 방식에 따른 이야기 이해 능력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Story Comprehension Ability of Children with SLI in Preschool according to E-book Reading Methods
Authors
한지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책을 읽어주는 방식에 따라 일반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이해 능력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전자책을 이용한 책 읽기 시 성인 개입의 여부에 따라 아동의 이야기 이해 능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만 4-5세 일반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전자책을 이용한 책 읽기 방식과 성인과 함께 전자책을 이용한 책 읽기 방식에서 이야기 이해 수행력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경기 및 충청, 경상 지역에 거주하는 만 4-5세의 아동 9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 아동들을 대상으로 언어 검사 및 비언어성 지능 검사를 선별 검사로 실시하였으며, 그 후 이야기 이해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령전기 만 4-5세 일반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 간 전자책 읽기에서의 이야기 이해 과제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성인 개입 전자책 읽기에서의 이야기 이해 과제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만 4-5세 일반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전자책 읽기에서 이야기 이해 능력에 차이가 없음이 확인되었고, 성인 개입 전자책 읽기에서도 이야기 이해 능력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아동 개별 수행력을 살펴보았을 때, 일반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 모두 전자책 읽기에서보다 성인 개입 전자책 읽기(co-viewing)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획득한 것과 일반 아동 집단과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 간 이야기 이해 과제의 평균 점수의 격차가 전자책 읽기에서보다 성인 개입 전자책 읽기(co-vieiwing)에서 줄어든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태블릿을 이용한 전자책 읽기 활동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이해에 있어 일반 아동에서와 마찬가지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어 교육 현장 또는 임상 현장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을 목적으로 한 전자책을 이용한 활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전자책 이야기 이해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성인 개입으로 일반 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이득을 본 것으로 나타나 성인 개입 전자책 읽기(co-viewing)가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같은 언어 취약 아동 집단에서 보다 큰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tory comprehension ability between TD children and SLI children according to e-book reading methods. Also,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bility differs according to joint engagement when e-book reading. For this purpose,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pects of story comprehension performance in the e-book reading methods for TD children and SLI children aged 4-5.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 children aged 4-5 who live in Gyeonggi, Chungcheong and Gyeongsang areas. The language assessment and nonverbal intelligence test were conducted for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study, and then the story comprehension task was conducted after e-book reading under each con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score of story comprehension task in e-book reading between TD children and SLI children aged 4-5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fference in story comprehension score in joint engagement e-book read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ory comprehension ability in e-book reading between TD children and SLI children aged 4-5,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ory comprehension ability in co-viewing e-book reading. However, when examining the individual performance of children, it was confirmed that both TD children and SLI children scored relatively higher in co-viewing e-book reading, and that the gap in the average score of story comprehension task between TD children and SLI children decreased in co-viewing e-book read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e-book reading activities using tablets do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tory comprehension of SLI children as in TD children, so it can be suggested that e-book activities for education purposes for SLI children are more actively utilized in educational or clinical sites. In addition, the SLI children showed relatively greater gains in understanding e-book stories than the TD children due to co-viewing, so it is expected that co-viewing e-book reading will play a greater role in the children with poor language ability such as SLI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