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응급실 간호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응급실 간호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Emergency Room Nurses’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Authors
최윤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in emergency room nurse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that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A total of 188 emergency room nurse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300 beds in Seoul city,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tool for measuring “the perceived seriousness of child abuse reporting intention” was developed and used by the researcher, and that for “the perceived benefits related to child abuse reporting intention” was developed by Ahn (2002)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child abuse reporting. For the measurement of “the perceived barriers related to the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the tool developed by Ahn (2002)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sui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e., the emergency room nurses. “The self-efficacy related to the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tool was used by Kim (2012), who translated and modified the tool from Greytak (2009). “The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was measur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tool of Park et al. (2013). Correlations and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perceived severity (β=.142, p=.024), perceived barrier (β=-.252, p<.001), and self-efficacy (β=.313, p<.001) were factors influencing emergency room nurses’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Among them,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as self-efficacy,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32.9% (F=23.889, p<.001).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arrier, and self-efficacy, which are the main concepts of the health belief model, can play important roles in improving emergency room nurses’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s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to all emergency room nurses a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onveniently sampled.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with respect to the health belief model, which can serve as a valid theoretical basis for research related to child abuse reporting intention, and present new research directions in this regard.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pecific interventions using the concept of the health belief model, identified as an influencing factor in this study, to increase the nurses'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in the emergency room. ;본 연구는 Rosenstock(1974)의 건강신념모델을 바탕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와 관련한 건강신념을 파악하고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1년 11월 15일에서 2021년 11월 17일까지 온라인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이루어졌고 연구 대상자는 서울소재 300병상 이상의 8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응급실 간호사로서 임상에 근무한지 6개월 이상이 경과된 188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아동학대 신고의도와 관련한 지각된 심각성을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 지각된 이익은 안재진(2002)의 아동학대 신고의 효과성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지각된 장애는 안재진(2002)의 아동학대 신고 장애요인 측정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은 Greytak(2009)이 개발한 문항을 번역 및 수정한 김수정, 이재연(2013)의 도구로 측정하였다. 아동학대 신고의도는 박혜영 등(2013)의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versio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8.12세였고 성별은 여자가 171명(91%)명, 결혼 유무는 미혼이 162명(86.2%), 자녀 유무는 ‘자녀가 없다’고 답한 연구대상자가 170명(90.4%)이었다. 최종 학력은 학사가 153명(81.4%)으로 가장 많았고 응급실 총 경력은 6개월 이상 3년 미만이 84명(44.7%)으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와 관련한 지각된 심각성의 평균은 28.18±2.31(점수 범위: 6-30), 지각된 이익의 평균은 18.05±3.16(점수 범위: 5-25)이었다. 지각된 장애의 평균은 23.61±5.25(점수 범위: 8-40), 자기효능감의 평균은 27.16±4.82(점수 범위: 8-40)이었고, 아동학대 신고의도의 평균은 8.53±1.37(점수 범위: 2-10)이었다. 3. 대상자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와 관련한 지각된 심각성은 나이(F=2.691, p=.048), 응급실 총 경력(F=4.761, p=.01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응급실 총 경력이 ‘3년 이상 6년 미만’인 대상자가 ‘6년 이상’인 대상자보다 아동학대와 관련한 지각된 심각성의 정도가 높았다. 지각된 이익은 성별(t=3.148,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남자’가 ‘여자’보다 지각된 이익의 정도가 더 높았다. 자기효능감 또한 성별(t=2.476, p=.01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남자’가 ‘여자’보다 자기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학대 신고의도와 관련한 지각된 심각성(β=.142, p=.024), 지각된 장애(β=-.252, p<.001), 자기효능감(β=.313, p<.001)은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이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고 모형의 설명력은 32.9%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아동학대 신고의도와 관련한 지각된 심각성,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아동학대 신고의도와 관련한 지각된 장애가 낮을수록 아동학대 신고의도 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초자료로 하여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확인된 아동학대 신고의도와 관련한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 자기효능감에 초점을 맞추어 응급실 간호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