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8 Download: 0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생의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지속의도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

Title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생의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지속의도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Immer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hievement Orientation and Exercise Continuity Intention pf Dance Majors at Art High Schools
Authors
이수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형중
Abstract
본 연구는 예술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 전공생들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운동몰입이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강원도, 전라도 지역의 예술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편의표본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였으며 총 233명의 표본을 추출하였고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5부를 제외하여 유효표본 228부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어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26.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일반적 특성을 위해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변수들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ANOVA)을 실시했으며, 변수들의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고, 가설의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syis)과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생의 성취목표성향에 따른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중 과제성향이 운동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중 자아성향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생의 성취목표성향에 따른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중 과제성향이 운동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중 자아성향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생의 운동몰입이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운동몰입의 하위요소인 인지몰입, 행위몰입 모두 운동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생의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소 인 과제성향, 자아성향 모두 운동지속의도 관계에서 운동몰입은 완전매개효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과제성향의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생들은 개인의 지속적인 발전과 향상된 기술을 습득할 때 꾸준한 무용수행이 지속적으로 이어지지만, 자아성향의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생들은 운동몰입의 매개체를 통해서만 지속적인 무용수행으로 이어 나갈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예술고등학교 지도자들은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생들의 성취목표성향을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이며, 각각의 성향에 따라 동기부여를 차별화하여 몰입으로 이어지게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무용수행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몰입의 경험이 필수적이며, 몰입은 최상의 수행을 도와주고 있어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 exercise continuity inten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immersion on the dance majors attending art high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investigator selected some dance majors attending art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do, Gangwon-do, Jeolla-do as a population.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and a total of 233 samples were taken, of which 228 effective samples were finally selected and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excluding 5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For data proces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and correlational analysis of variables was perform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o verify hypothese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dance majors in art high schools on exercise immersion, it was found that task orientation amogn the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on exercise immersion. However, among the sub 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 self orientation did not shown significant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dance majors in art high schools on the exercise continuity, it was found that among sub 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 task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xercise continuity intention. However, among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 self orient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exercise continuity inten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exercise immersion of dance majors in art high schools on the exercise continuity intention, it could identified that both cognitive immersion and behavioral immersion, which are sub factors of exercise immer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xercise continuity intention. Fourth, Exercise immersion was found to b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continuity intension and both the task orientation, the self orientation, which were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dance majors in art high school. In conclusion, it could be seen that task-oriented art high school dance majors continue to perform continuously when they continually develop themselves individually and acquire advanced skills, but self-oriented art high school dance majors can only lead to continuous dance performance through a medium of exercise immersion. Through this finding, it is urgent for art school leaders to grasp the achievement goals of art high school dance majors, and they should differentiate the majors; motivation according to the majors respective tendencies to lead to immersion.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he experience of immersion is essential to improve the level of dance performance and immersion helps with the best performance, which can affect continuous particip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