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2 Download: 0

미산제와 강산제의 ‘수궁가’ 中 <토끼 궤변> 비교 연구

Title
미산제와 강산제의 ‘수궁가’ 中 <토끼 궤변>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f ‘Rabbit’s Sophistry ’ from Sugungga in the Misan school and the Gangsan school : emphasis on two great singers: Cho Sanghyun and Kim Suyeon
Authors
임세율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판소리 5바탕 중 하나인 수궁가의 <토끼 궤변> 대목을 여러 유파 가운데 미산제 박초월의 소리를 잇고 있는 김수연과 강산제 정응민 소리를 잇고 있는 조상현의 소리를 중심으로 사설·장단·선율을 비교 연구 하였다. 미산제와 강산제의 대표자라 할 수 있는 김수연 명창과 조상현 명창의 음반으로 <토끼 궤변> 대목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 부분은 미산제와 강산제가 전체적으로 비슷하나, 사설 내용의 순서가 달랐다. 사설의 길이는 1211음절, 강산제 수궁가 사설의 총 음절은 1192음절로 미산제 수궁가의 사설의 길이가 길었지만 19음절 차이로 큰 차이는 없었다. 둘째, 장단 및 붙임새 부분은 미산제와 강산제 모두 중모리장단이다. 미산제 김수연의 소리는 68장단, 강산제 조상현의 소리는 67장단으로 장단 수 또한 크게 차이 나지 않았다. 미산제 김수연 소리의 붙임새 구성은 총 68장단 중‘대마디대장단’60장단(88.2%)과‘밀붙임’8장단(11.8%)을 사용하고 ‘당겨붙임’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산제 조상현 소리 또한 67장단 중‘대마디대장단’63장단(94%)과‘밀붙임’4장단(6%)을 사용,‘당겨붙임’은 사용하지 않았다. 하여 김수연의 소리와 붙임새 구성은 비슷하였으나‘대마디대장단’쓰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선율 부분은 두 창자의‘토끼 궤변’사설 중 출현음의 일부만 같은 ‘유사’의 경우가 전체 62마디 중 54.8%의 비율로 다른 경우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창자의 동일 출현음이 김수연의 출현음과 일치하는 경우는 전체 62마디 중 12.9%, 조상현의 출현음과 일치하는 경우는 전체 62마디 중 24.1% 비율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두 창자의 출현음이 상이한 경우는 전체 62마디 중 1.6%의 비율을 나타냈다. 실음채보로 보았을 때, 김수연과 조상현 두 창자의 본청은 E♭로 동일했으며, 김수연의 출현음은 G♭-E♭"이고 조상현은 D♭-G♭"로 조상현이 부르는‘토끼 궤변’이 위아래로 4음계를 더 구사하는 음역대을 확인했다. 결과적으로 두 명창 모두 상·하청 고루 넓게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조상현은 남성이지만 여성과 견주어도 손색없을 정도의 넓은 음역대을 사용하고 있었다. 시김새 사용 유형으로는 김수연이 조상현에 비해 주 음정 뒤에 꾸밈음이 두 개 붙은 유형과 셋잇단음표를 나타낸 유형을 많이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조상현은 꺾는 음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아래 음에서 윗음(주음)으로 끌어올리는 유형은 김수연의 소리에서만 확인되었고, 주 음정 앞에 꾸밈음이 세 개 붙은 유형은 조상현의 소리에서만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주 음정 뒤에 한 개의 꾸밈음이 붙는 유형, 주 음정 앞에 꾸밈음이 두 개 붙은 유형은 두 창자 모두 비슷한 횟수로 확인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김수연과 조상현의 수궁가 중‘토끼 궤변’대목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사설·장단·붙임새·음역·선율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필자는 이 연구를 계기로 수궁가의 유파별 음악적 특징과 비교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뤄지기를 고대한다. ;This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ditorials, rhythms, and melodies of a passage in Rabbit’s Sophistry (Tokkiguwebyeon) in Sugungga one of the five surviving stories of the Korean pansori-focusing on, among several schools, two greats singers, Kim Suyeon and Cho Sanghyun, who follow in footsteps of Park Chowol of the Misan school and Jung Eungmin of the Gangsan school respectively. I studied each passage sung by Kim and Cho, who are now representatives of their own schools,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overall contents of the editorial are similar in the Misan school and the Gangsan school, whereas the sequences are different.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editorial is 19 syllables, which is not significant, given the Misan school’s Suggunga consists of 1211 syllables and the Gangsan school’s consists of 1192 syllable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editorial the Misan school’s Suggunga consists of 1211 syllables and the Gangsan school consists of 1192 syllables. Secondly, the rhythm and Buchimsae are‘Jungmori rhythm’for both the Misan school and the Gangsan school. The passage of Kim Suyeon of the Misan school consists of 68-rhythm and the work of Cho Sanghyun of the Gangsan school consists of 67-rhythm, therefore, there is no distinc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hythms. Among the 68-rhythm in the work of Kim Suyeon of the Misan school, 60-rhythm (88.2%) is ‘Daemadi Daejangdan’ and 8-rhythm (11.8%) is ‘Milbuchim’, while ‘Dan-gyeobuchim’ is not used. Likewise, the majority of the 67-rhythm by Cho Sanghyun of the Gangsan school consists of ‘Daemadi Daejangdan’ and there is no ‘Dan-gyeobuchim’. Of the 67-rhythm, 63-rhythm (94%) is ‘Daemadi Daejangdan’ and 4-rhythm is ‘Milbuchim’. In consequence, while the overall composition was quite similar to Kim Suyeon’s, the use of ‘Daemadi Daejangdan’ in Cho’s was slightly more frequent compared to that of Kim's. Finally, in melody, there are 62-bar in the passage. Among the 62-bar, it was 54.8% where some part of the used note of both Kim Suyeon and Cho Sanghyun are identified as ‘similar’, which is the highest similarity compared to other cases. Furthermore, while 24.1% of both singers’used note is identified as ‘identical’ to Cho Sanhyung’s used note, it is only 12.9% for Kim Suyeon’s. It is only 1.6% where the two singers’ used note is completely different. In addition, the pitch of each singer recorded on the copy of the music is identical; E♭. However, the used note range of Kim Suyeon is G♭-E♭, whereas that of Cho Sanghyun is D♭-G♭, which makes Cho’s range 4-step wider than Kim’s. As a result, both singers are known to have wide range of notes. Especially, Cho Sanghyun’s vocal range, although Cho is a male singer, is as wide as a female singer’s. In the case of ‘Sigimasae’, it was evident that, whereas Cho Sanghyun employs a technique of twisted sounds, Kim Suyeon mainly uses two types of ‘Sigimsae’main notes followed by two grace notes, and triplets. Additionally, Kim Suyeon adopts a vocal technique where the pitch of a singer goes from low to high without a break, which Cho Sanghyun does not use. On the other hand, Cho Sanghyun uses main notes following after three graces notes, which is not found in Kim Suyeon’s work. At last, the main notes followed by one grace note and main notes following after two grace notes were used by both Kim Suyeon and Cho Sanghyun. In conclusion, the analysis demonstrated above identifi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Kim’s and Cho’s passages, as well as the features of the editorial, rhythm, ‘Buchimsae’, range, and the melody of each. I hope that various studies about the schools of Pansori will be continu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