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회생절차에서 계속기업가치에 관한 연구

Title
회생절차에서 계속기업가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valuating the debtors’value as a going concern in the rehabilitation procedures
Authors
김다혜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수근
Abstract
In the wake of the currency crisis that began in 1997, criticism arose that the corporate reorganization process began despite the so-called non-economical companies in the Republic of Korea(“Korea”). As a result, in the 1998 the Korean Corporate Reorganization Law accepted the concept of valuation the corporate as a going concern. Since 1998, the going concern value has also been stipulated as a requirement for permission to prepare a rehabilitation plan which Aims for Liquidation or Business Transfer, and a requirement for the authorization of discontunation procedures before authorization granted for rehabilitation plan. From the commencement of the procedure to the abolition, the corporate value cannot be separated. In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the continuing enterprise value is calculated as a specific value. For example, the decision to commence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judges that "the value thereof when the debtor's business continues is KRW 34,407,000,000 and the liquidation value is KRW 14,289,000,000,000, indicating that the going concern value far exceeds the liquidation value." Criticism follows over the accuracy of this continuing corporate value. This study begins with a question in that the continuing enterprise value is the value estimated by the evaluator. this thesis is to find an answer to whether it is necessary to use the valuation the debtor as a going cocern, which is only the estimated value within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and if so, who and how to estimate it meets the purpose of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The debtor's business types are diverse and the causes of bankruptcy are all different.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evaluating corporate value to calculate the debtor's value, inspectors usually choose the Discounted Cash flow Method(“DCF method”) prescribed by the trial regulations. And usually, the discount rate is calculated by reflecting 6.5% of the risk premium resolved by the court. This study tracked the legislative history and process related to the going concern value. Understanding the legislative history of continuing corporate value is a means of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stipulating that legislators calculate the debtor's going concern value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and the current working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evaluation of valuation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As part of this, an evaluation method for the going concern value was reviewed. Reviewing the valuation method is to examine whether the most appropriate method of valuation the corporate as a going concern is the DCF method. The DCF method is a method of predicting income over time. While it is useful to determine how much creditors can be redeemed for each rehabilitation plan period, the subjectivity of the evaluator may be involved. In addition to the DCF method, the Asset vased approach and the market comparable approach are mainly used as corporate valuation method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orporate valuation approach, the conclusions reached by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oretically, it is desirable to evaluate corporate value by the DCF method. Rehabilitation procedures are procedures in which creditors want to be redeemed from the debtor's future cash flows. The DCF method is a way to meet the needs of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in that it is a way to directly obtain the present value of the corporate as a going concern. However, using other methods other than the DCF method or other valuation methods for each case may be a good way to valuation of the company. Even if the statute does not specify that valuation method should be used, the evaluator will use an appropriate method. The next question is who will continue to calculate the corporate value. The problem of calculating the going concern value is related to the purpose of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The legislator continue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going concern value in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and tried not to judge the public interest factors of the debtor. This is somewhat consistent with the creditors’bargain theory that the purpose and nature of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lies in protecting all creditors' rights and promoting their welfare. According to this, creditors are the ones who can make the most reasonable decisions about their rights. There is no reason for the court to admit its discretion in valuation the debtor as a going concern. Next, this thesis reviewed alternatives to solve the problem of valuation the debtor as a going concern in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The first alternative to review is new approaches for corporate reorganization. Mar J. Roe's new model, Bebchuk Scheme, Aghion, and Hart & Moore's theory, and Barry E. Adler & Ian Ayres' dilution mechanism theory were reviewed. In conclusion, there is no legislations of adopting the above theories. The above theories presuppose perfect market and efficient choice of stakeholders based on it. However, the theories have limitations in that additional information costs or financial power are required for stakeholders to be able to make efficient choices. This thesis studied legisl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s an alternative. The legislation of both countries shows a different aspect from our rehabilitation procedures in relation to the valuation. In the Chapter11 and the Japanese rehabilitation procedure,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going concern value and the liquidation value was not defined as a procedural requirement. A Chapter11 stipulated the principle of guaranteeing liquidation value, which requires that the value distributed to rehabilitation creditors and security holder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iquidation value of the rehabilitation plan. There is no provision on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going concern value. In the Japanese company rehabilitation procedure, legislators clearly expressed the purpose of the revision to exclude economic judgment in the new corporation rehabilitation law. In relation to the evaluation of the property value, what stipulated to evaluate the existing continuing corporate value was revised to evaluate the market price. "the liquidation value is greater than the continuing corporate value" is a requirement for permission to prepare a rehabilitation plan which Aims for Liquidation or Business Transfer, and a requirement for the authorization of discontunation procedures before authorization granted for rehabilitation plan. The liquidation value value and the going concern value can be viewed as indirect facts constituting the facts of the requirements. In the end, the above requirements are merely an arithmetical comparison between the liquidation value and the continuing enterprise value, so in the end, the continuing enterprise value and the liquidation value itself can be seen as the factual legal matters constituting the legal requirements. Since pleadings are applied to factual legal matters in the area of civil trials, the value of going concern value should be viewed as the area of argument and proof of the participants. However, the above conclusion is the result of the general theory of civil trials. In the Non-contentious Case, Courts shall ex officio find facts and examine evidence as it deems necessary. If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is Non-contentious Case, it can be considered reasonable for the court to appoint an inspector to valuation. However, this study differs in conclusion. First of all,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is not clearly defined as a non-contentious case. It cannot be considered that the court consistently applies ex officio detectionism within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Certain requirements may be required to prove facts in ordinary judgment procedures. The initiation and abolition of procedures and the preparation of rehabilitation plans affect debtor and participants. The way the court calculates the going concern value cannot be seen as leading to accurate and fair continued corporate value calculation. In conclusion, the study proposes to partially apply adversarial justice when valuating the debtor, even though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is classified as a non-contentious case. The application varies from step to step. In the commencement and abolition of rehabilitation procedures, it is desirable for the court to judge the requirements only when the claimant under the Act asserts the dismissal and abolition of the liquidation value exceeds the going concern value.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court be bound if there is no dispute over the continued corporate value between the right holder to prepare the rehabilitation plan and the equity holders who meets the approval requirements in preparing the rehabilitation plan. As in the current proced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rties from bearing the inaccuracies of the continuing corporate value calculated by the appointment of inspectors by the court. Even if both debtors and participants believe that the going concern value is equal to or exceeding the liquidation value, there is no unreasonable situation in which the proceedings are initiated or abolished at the judgment of the court. The continuing corporate value introduced in the Corporate Reorganization Act in 1998 is at the request of the times. This was because the complacent reorganization of the corporate caused social repercussions by debtors who were allowed to initiate the corporate reorganization process because of its public interest. Going concern value is an important tool for selec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ebtors and serves as a limit to creditor rights adjustment. However, it is difficult for courts to predict firm’s future value. It is expected that this thesis will be helpful for meeting the purpose of rehabilitation procedure. ;1997년 시작된 외환위기를 계기로 이른바 경제성이 없는 기업들에 대한 회사정리절차가 개시된다는 비판이 일었다. 그 결과 1998년 회사정리법에 계속기업가치 개념이 도입되었다.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큰 경우 개시신청을 기각하도록 규정한 것이다. 이후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큰 경우 청산·영업양도를 내용으로 하는 회생계획안 작성을 허가하고, 회생계획 인가 전에 회생절차를 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이 추가로 신설되었다. 계속기업가치는 회생절차 개시신청의 단계부터 회생계획 인가 전 폐지에 이르기까지 사용된다. 회생절차에서 계속기업가치는 특정한 값으로 산정된다. 예를 들어 회생절차 개시 결정문은 “채무자의 계속기업가치는 34,407,000,000원이고, 청산가치는 14,289,000,000원으로 계속기업가치가 청산가치를 훨씬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판시한다. 이러한 계속기업가치를 두고, 정확성 여부에 대한 비판이 따른다. 이 논문은 계속기업가치는 평가자가 추정한 값이라는 점에서 의문을 가지고 시작한다. 회생절차 내에서 추정한 값에 불과한 계속기업가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지, 사용한다면 누가 어떻게 추정하도록 하는 것이 회생절차의 목적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한다. 채무자의 사업유형은 다양하고 도산상태에 이르게 된 원인도 모두 다르다. 그러나 조사위원들은 채무자의 계속기업가치 산정을 위하여 다양한 기업가치 평가방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개 재판예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현금흐름할인법을 택한다. 그리고 대개 법원이 의결한 위험프리미엄 6.5%를 반영하여 할인율을 산정한다. 이 논문은 계속기업가치와 관련한 입법연혁과 그 과정을 추적하였다. 계속기업가치 입법연혁을 이해하는 것은 입법권자들이 회생절차에서 채무자의 계속기업가치를 산정하도록 규정한 목적과 현재의 실무 배경을 이해하는 수단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회생절차에서의 계속기업가치 평가를 개선할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일환으로 계속기업가치를 산정하는 평가기법을 검토하였다. 기업가치 평가기법을 검토하는 것은 계속기업가치평가방법 중 가장 적절한 방법이 현금흐름할인법인지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현금흐름할인법은 기간에 따른 소득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채권자들이 회생계획기간별로 얼마를 변제받을 수 있을지 파악하는 데 유용하지만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다. 현금흐름할인법 외 다른 기업가치평가방법으로는 자산가치평가법, 시장가치접근법이 주로 사용된다. 기업가치평가기법을 검토한 결과 이 논문이 도달한 소결론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으로 본다면 기업가치는 현금흐름할인법에 의하여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생절차는 채권자들이 채무자의 미래의 현금흐름으로부터 변제받고자 하는 절차이다. 현금흐름할인법은 바로 이 묶음의 현재가치를 직접 구하는 방법이라는 면에서 회생절차의 요구에 부응하는 방법이다. 다만, 사안별로 현금흐름할인법 외의 다른 방법을 함께 사용하거나 다른 가치평가방법을 쓰는 것이 계속기업가치를 산정하는데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재판예규에서 특정한 가치평가방법을 사용하도록 명시하지 않아도 평가자는 적절한 방법을 쓰기 마련이다. 계속기업가치 산정 문제는 회생절차의 목적과 연결된다. 입법권자는 회생절차에 계속기업가치 개념을 도입하면서 채무자에 관한 공익적인 요소를 판단하지 않고자 하였다. 이는 회생절차의 목적과 본질이 모든 채권자의 채권을 보호하고 그들의 복리를 증진시키는 것에 있다고 보는 채권자협상이론의 기본 이념에 다소 부합한다. 이에 따르면 채권자는 자신의 채권추심에 대한 가장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자이다. 법원에게 계속기업가치 산정에 대한 재량을 인정할 이유가 없다. 뒤이어 이 논문은 회생절차에서 계속기업가치 산정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검토하였다. 가장 먼저 검토할 대안은 회생절차에서 계속기업가치를 산정하지 않고 권리의 조정을 결정하는 방법론이다. Mar J. Roe의 대안이론, Bebchuk의 Bebchuk Scheme, Aghion, Hart & Moore의 대안이론, 그리고 Barry E. Adler & Ian Ayres의 희석화기제 이론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위 이론을 제도화한 예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위 대안이론들은 시장의 완전성과 이에 기초한 이해관계인의 효율적 선택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시장의 완전성은 입증되기 어렵고, 이해관계인들이 효율적 선택을 할 수 있으려면 추가적인 정보비용이나 자금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회생절차에서 반드시 계속기업가치를 산정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미국 회생절차와 일본 회생절차에서는 계속기업가치와 청산가치의 비교 결과를 절차상 요건으로 규정하지 않았다. 미국 연방파산법은 회생계획안에 관하여 회생채권자와 담보권자에게 분배되는 가치가 그 채권의 청산가치 이상일 것을 요구하는 청산가치 보장의 원칙을 규정하였다. 계속기업가치 산정과 관련하여 규정한 바는 없다. 일본 회사 갱생제도의 경우 입법권자들은 경제성 판단과 관련하여 유연한 평가를 받아들이겠다는 취지를 회사갱생법의 개정을 통하여 명확하게 드러냈다. 재산가액의 평가와 관련하여 기존 채무자의 계속기업을 전제로 평가하도록 규정한 것 것을 시가로 평가하도록 개정하였다. 미국이나 일본의 입법례를 살펴본 바와 같이 회생절차에서 계속기업가치를 도입하는 문제는 법정책상의 문제로 볼 수 있다. 계속기업가치는 평가자가 미래 채무자의 가치를 예측한 값이고 평가자의 시각에 따라 계속기업가치는 모두 다르게 산정되기 마련이다. 그러나 계속기업가치는 관리인이 채권자들에게 협상안으로 제시할 수 있는 변제계획에 대한 최대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그 효용이 있다. 공익적인 측면을 배제하고 채무자를 경제적인 관점에서만 판단하고자 한 정책적인 목적도 존중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토대로 이 논문은 계속기업가치 산정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크다는 것은 회생절차의 개시시신청 기각, 회생계획 인가 전 회생절차 폐지, 청산 또는 영업양도를 내용으로 하는 회생계획안 작성 허가의 요건사실이다. 민사소송 영역에서 사실 구분 이론을 회생절차에 접목한다면 청산가치 값, 계속기업가치 값은 그 요건사실을 구성하는 주요사실에 가깝다. 민사소송에서 주요사실에는 변론주의가 적용되어 당사자에게 사실 주장의 책임 등이 따른다. 회생절차에서 계속기업가치는 이해관계인 간에 쟁송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변론주의적 요소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다만, 위와 같은 결론은 민사재판의 일반이론을 따른 결과이다. 비송사건에서는 법원의 직권탐지주의가 적용된다. 비송사건의 특성에만 천착한다면 법원이 조사위원을 선임하여 채무자의 계속기업가치를 탐지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이 연구는 결론을 달리한다. 우선 회생절차를 비송사건으로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다. 회생절차 내에서 법원이 일관되게 직권탐지주의를 적용하고 있다고 볼 수도 없다. 또한 법원이 계속기업가치 산정과 관련하여 공정성과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회생절차가 비송사건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계속기업가치 산정 시 변론주의 요소를 일부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법원이 조사위원을 선임하여 산정한 계속기업가치의 부정확성을 당사자가 부담하도록 하는 현행 실무를 개선하기 위함이다. 법률에 따라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를 초과함을 이유로 개시신청을 기각할 것 또는 회생계획 인가 전 회생절차를 폐지할 것을 주장하는 때에 한정하여 법원이 계속기업가치에 관하여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계속기업가치에 관하여 절차 참여자 사이에 합의가 있는 경우 법원이 이를 배제할 수 없도록 제한을 둘 필요가 있다. 1998년 회사정리법에 도입된 계속기업가치는 시대적 요청에 따른 것이다. 공익성이 있다는 이유로 회사정리절차 개시를 허가받은 채무자들의 안일한 회사정리가 사회적인 파장을 일으켰기 때문이었다. 계속기업가치는 채무자들의 경제성을 선별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이고 채권자 권리조정의 한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유용한 개념이지만 법원을 포함한 누구도 정확한 채무자의 계속기업가치를 산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절차 참여자와 법원 간 계속기업가치 산정과정에서 역할 조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대안이 채무자를 비롯한 이해관계인에게 계속기업가치를 정확하게 산정하고자 하는 유인을 제공하고, 계속기업가치 도입 목적을 충실히 달성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