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1 Download: 0

타인과 소통을 위한 예술적 실행들

Title
타인과 소통을 위한 예술적 실행들
Other Titles
Practice of Art for Communication with Others : a Contemplation of My Works
Authors
이민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우순옥

전혜숙
Abstract
본 논문은 자아에 대한 내적인 응시에서 출발하여 외부 세계와의 관계를 표현하는 본인의 작품들을 내용과 방법적인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작품들에 나타난 소통의 의지와 그것이 지닌 미학적 의의를 찾는 데 목적을 둔다. 논문은 작업이 전개되는 과정을 따라 각각의 작품을 설명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 나타난 심리적 변화와 소통을 향한 탐구 방식의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본인의 작업은 자아의 내적인 응시를 담은 ‘독백’ 형식의 글쓰기를 존재론적 고독에서 비롯된 외침으로 인식하고 자아실현과 관계된 대화 연출의 한 형태로 활용한다. 독백은 파편적인 풍경의 수집과 더불어 본인의 작품에서 무의식적 기억-이미지를 더듬어 가는 과정이자, 외부와 소통하고 관계를 맺기 위한 내적인 정서를 탐구하는 심리적 안전지대이자 유예기간으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또한 이러한 존재에 대한 인식과 자아 연출이 확장되어 외부와의 관계와 소통의 필요성으로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장소에 관한 관심을 통해 나타나게 되는데, 그것이 일상 속 공간에서 발견되는 ‘발코니’다. 발코니 공간은 하늘과 외부를 향해 ‘열린 공간’이자 ‘빈 공간’으로서 외부와의 소통을 맺는 출구, 통로, 중간지대로서의 함의를 지닌다. 더불어 발코니 공간에 대한 사유는 점차 타인과의 관계를 이끄는 형태로 작업의 형식과 의미를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 본인의 작업을 ‘내적 독백과 풍경’, ‘발코니 공간’, ‘타인과의 관계’ 등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고, 이론적 배경과 동시대 미술의 맥락 안에서 형식적 근거와 타당성을 마련한다. 이는 심리학과 철학적 주제인 고독과 갈등에 관한 존재론적 정체성의 문제를 개인적 글쓰기와 풍경 수집으로 시각화하고 자기 응시적 글쓰기의 결과물인 대본이 타인의 목소리로 발화됨으로써 연출되는 심리적 완충작용으로 비롯된 다층적인 자의식에 대한 표현의 방식을 공감각적 영상들로 보여주는 본인 작업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서이다. 이어서, 일상의 풍경인 발코니 공간은 물리적 장소로서만이 아니라 심리적 장소이자 개인이 지녀야 할 절대적인 빈 영역으로서의 사적 공간으로부터 그 사유를 확장한다. 사적이고 공적인 공간의 만남이 가능한 중간지대이자 빈 공간으로써 기능하는 발코니의 개념은 사물과 도시 공간 속에 있는 공원으로 확장하되 새롭게 그 의미를 경험하게 한다. 즉 본인 작품에 드러나는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의 ‘경계 인식’은 심리적 갈등을 일으키는 촉매와 같지만, 관계와 소통으로 나아가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작용한다. 발코니 공간에 관한 연구는 지각적으로 열린 공간이자 통로로 인식하는 사유의 확장이지만, 풍경과 장소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으로 나아가는 것이기도 하다. 이 과정에서 발코니라는 개념은 비물질적 요소로서 언어이자 하나의 기호로 작용하여 다층적 예술 실천과 사유를 가능하게 한다. 작지만 허공에 떠 있는 그 형태를 상상하는 과정은 유토피아적 풍경을 개인의 내면에 소유하고 싶은 욕구를 일으키며 일상적 삶 속에서 비밀스럽게 감추어진 것들을 발견하여 새롭게 명명해보는 시간을 요구한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풍경에 대한 상상과 산책 개념이 타인과 소포를 주고받는 소통으로 결합되어 관계 미술의 측면을 가진 프로젝트로 진행되었다. 이는 관객을 미술의 영역 안으로 적극적으로 개입시키는 행위로, 최소한의 물질을 언어로 이용하여 예술의 영역을 확장하는 역할을 하였다. 본인은 그러한 과정에서 개입되는 유희적 요소와 고정되지 않은 가변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인간과 환경, 그리고 그 안에서 포착되는 복잡한 관계를 미술 작품을 통해 탐험하고 관찰하고자 하는 미적 욕구를 실현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공적인 것과 사적인 영역의 경계 인식과 소통 가능성이 예술적 실천으로 나타날 때, 일상과 예술의 통로를 벌리면서도 그 벌어진 틈을 좁히기 위한 방법으로 유희적이고 가변적 요소가 미술 언어로 전환되어 새롭게 쓰이고 있음을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본인은 내적인 갈등과 불안에서 시작된 존재론적인 고민을 발코니라는 중간지대의 개념을 매개로 외부와의 소통 방식의 가능성으로 해소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인은 무의식적 기억의 떠올림, 일상 속 장소와 공간에 대한 상상과 몽상을 전제로 글쓰기와 영상 편집, 빈 공간의 생성, 타인과의 비가시적 소통의 프로젝트와 도시공간 안에서의 만남과 행위를 보이는 퍼포먼스 형태의 예술을 실천해왔다. 나아가 이러한 실천이, 아서 단토가 언급한 것처럼, 열린 형태로 삶을 예술의 영역 안에서 발견하고 삶 속에서 타인과 예술을 공유할 기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This dissertation pertains to seek aesthetics meaning and willingness to interact expressed from my works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m which observe the inner self and express relationship between inner self and the outside. This dissertation explains works following the process in which each work develops and discuss the psychological changes and meaning of pursuing interaction revealed in the process. My work recognizes writing in the form of ‘monologue’ which contemplate inner self as a loud expression caused by solitude of existence and use it to express self actualization. Monologue is the process to track unconscious memory-image along with collecting scenery. It also means psychological safe zone and grace period to contemplate inner emotions to interact and relate with the outside. This recognition of existence and the presentation of self extends to interest in physical location and reveals through it, which is 'balcony' easily found in the area of daily life. Balcony acts as open space and empty space which implicates the channel, exit and middle zone to interact with the outside. Contemplation on balcony leads to extend the form and meaning or works pursuing relationship with others. In this dissertation, I classified my works into three subjects, which are 'monologue and scenary', 'balcony',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clarify rationalization of art form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my works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and humanities. My works visualize question of personal identity caused by solitude and conflict using personal writing and collection of scenary. Psychological interaction arising from reading the script resulting from writing through self-observation with voice of others displays expression of multi-layered self-consciousness using synesthetic video. In addition, I extends the concept of balcony by being aware of that balcony is not only physical space but also psychological area and absolute empty space which individual should have. Along with that, I also extends the concept of balcony from middle zone where private area and public area meet to the park in the middle of city to experience its meaning. Recognition of boundary between private and public initiates psychological conflict, but it is also process required for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and key to make atmosphere for those. Recognizing balcony as open space and channel matters in studying of balcony, but also fresh imagination about scenary and space is key process. In the process, balcony makes multi-layered action and thinking of art possible as it works as language and sign of non physical element. The process to imagine small thing hanging in the air awake desire to possess utopian dream and relaxing scenary in individual's mind and require time to find secretly hidden things in daily life and give them new names. Lastly, I proceeded with project including element of relational aesthetics that integrates imagination of scenary and concept of leisurely walk into communication by taking and giving small parcel with others. This project extends boundary of art with minimum material and words by bringing daily life and audience into the area of art. I actively embraced playful and variable elements involved in the process so that I could realize aesthetics aspiration to explore and observe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circumstances through creation of art work. However, I found out that playful and variable elements, which are means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daily life and art, are translated into language of art and used in new way when recognition of boundary between private and public area and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re expressed through practice of art, I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balcony, which is middle zone, in order to address the existential question caused by inner conflict and anxiousness. For this purpose, I practiced art in the form of performance displaying action and meeting in the city, project of unvisualized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writing and video based on imagination and dream about location and space in the daily life. In addition I hope this practice, as Arthur Danto said, to be the opportunity to share art with others in daily life and find life in the world of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