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중환자실 간호사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환자실 간호사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on burnout in intensive care nurses : Mediated effect of resilience.
Authors
정윤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수진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on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in an intensive care unit.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5, 2021, to October 12, 2021, by convenience sampling of 147 nurses with intensive care unit experience of 6 months or more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s of 2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Bonferroni correction,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25.0.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analyzed with the three-stage mediation effect test procedure of Baron and Kenny (1986)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investigated by the Sobel test.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secondary traumatic stress of the subjects was 27.93±5.92. The mean score for burnout was 62.95±16.94. For the average score for each subdomain of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was 32.48±9.87 points, personal sense of achievement 29.53±7.42 points, and dehumanization 12.09±5.65 points. Emotional exhaustion, which is the higher factor of exhaustion with 27 points or higher, accounted for 75.5%. The average of resilience was 110.31±13.74 points. 2. Burnout based on the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higher for women than men (z=-2.45, p=.014), for those in their 20s than those in their 40s (X2=12.72, p=.002), and for those who were single than those who were married (X2=17.18, p<.001). Burnout was higher for nurses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s and emergency intensive care units compared with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X2=12.29, p=.031), higher for nurses with less than 5 years of total clinical experience than those with 5 years or more (F=7.75, p=.001), and higher for nurses with a salary of 3 to 3.99 million won than for nurses with 4 to 4.99 million won (X2=9.46, p=.009).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dissatisfied nurses had higher burnout than average and satisfied nurses (F=25.03, p<.001), and nurses with average job satisfaction had higher burnout than satisfied nurses. In terms of hospital satisfaction, burnout of dissatisfied nurses was higher than average and satisfied nurses (F=11.13, p<.001). 3. Secondary traumatic str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r=.45, p<.001)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r=-.17, p=.04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resilience (r=-.54, p<.001). 4. Based on the results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which is a mediating variable (β=-.17, p=.042),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β=.45, p<.001). The effect on burnout by inputting simultaneously secondary traumatic stress with resilience, which is a mediating variable, was investigat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In addition, secondary traumatic stress decreased to β=.45 in stage 2 and to β=.37 in stage 3,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resilience satisfied all 3 stages of establishing a mediating effect, suggesting that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exhaustion. Additio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was investigated by the Sobel tes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1.98, p=.048). Hence, resilience is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that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on burnout.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 other words, there is support for the relationship where secondary traumatic stress affects resilience and resilience affects burnout. Based on this, the study can suggest basic data for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in preventing burnout from secondary traumatic stress.;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1년 9월 15일부터 2021년 10월 12일까지 서울소재 2개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중환자실 경력 6개월 이상인 간호사 147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Bonferroni correc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다중회귀분석법을 활용한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정절차로 분석하였고 매개효과 유의성 검정은 Sobel test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 중 여성이 91.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연령은 평균 28.97±5.46세였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82.3%, 최종학력은 학사가 85.0%이였으며 종교는 없다로 답변한 사람이 65.3%였다. 근무부서는 외과중환자실과 신경계중환자실이 21.1%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 총 임상경력은 평균 5.90±5.56년, 중환자실 근무경력은 평균 4.57±4.80년이었다. 직급은 일반간호사가 90.5%로 대다수였다. 월 급여는 300-399만원이 44.2%, 평균 담당 환자수는 3명이 63.3%로 가장 많았고, 직업만족과 병원만족은 보통의 경우가 45.6%, 42.2%로 대다수였다. COVID-19 환자 간호경험은 의심환자 또는 선제 격리환자 간호경험이 있는 경우가 45.9%였다. 2. 대상자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의 점수는 평균 27.93±5.92점으로 중 83.0%, 하 17.0%이었다. 소진의 평균 점수는 62.95±16.94점이었다. 소진의 하위 영역별로 평균 점수를 살펴보면 정서적 소진 32.48±9.87점, 개인적 성취감 29.53±7.42점, 비인간화 12.09±5.65점으로 나타났다. 의료인의 높은 소진으로 분 류 되는 정서적 소진 27점 이상인 사람은 75.5%이었다. 회복탄력성은 평균 110.31±13.74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소진은 여자가 남자보다(z=-2.45, p=.014), 20대가 40대 이상보다(X2=12.72, p=.002), 미혼이 기혼보다 (X2=17.18, p<.001) 높았다. 외과중환자실과 응급중환자실 간호사가 신생아중환 자실 간호사보다(X2=12.29, p=.031), 총 임상경력이 5년 미만인 간호사가 5년 이상인 간호사보다(F=7.75, p=.001), 월 급여는 300-399만원인 간호사가 400-499만원인 간호사보다(X2=9.46, p=.009) 소진이 높았다. 직업만족은 불만족인 간호사가 보통과 만족인 간호사보다(F=25.03, p<.001) 소진이 높았고, 직업만족이 보통인 간호사가 만족인 간호사보다 소진이 높았다. 병원만족은 불만족 인간호사가 보통과 만족인 간호사보다(F=11.13, p<.001) 소진이 높았다. 4.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소진(r=.45,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회복탄력성(r=-.17, p=.042)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가 있었다. 소진은 회복탄력성(r=-.54,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 과,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매개변인인 회복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 을 미치고(β=-.17, p=.042),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가 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β=.45, p<.001).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를 매개변인 회복탄력성과 동시에 투입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β=-.48, p<.001),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모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 하였다. 또한, 2단계에서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β=.45은 3단계에서 β=.37로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 성립의 3단계를 모두 충촉하여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와 소진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Sobel 검정 결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1.98, p=.048). 즉, 회복탄력성은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유의미한 매개변인이다. 이상으로 본 연구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고 회복탄력성은 소진에 영향을 주는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