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6 Download: 0

북한이탈주민의 무연고자 사망장례 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Title
북한이탈주민의 무연고자 사망장례 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Funeral of the Unrelated Deceased of North Korean Defectors
Authors
이유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무연고자 사망장례 경험이 북한이탈주민 개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어떤 트라우마를 겪는지 내부자의 관점에서 심도 있게 파악하고자 하는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질문은 “북한이탈주민의 무연고자 사망장례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질적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은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게 정의를 하고 있으며 많은 방법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분석방법으로 Stake(1995)가 제시한‘사례 내 분석’과‘사례 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먼저 자료 분석을 위해 심층 인터뷰에서 수집한 녹음내용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전사 과정을 거쳤다. 전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별 사례에 대한 전체 의미를 이해하려고 하였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분석 프로그램 타게트(Taguette)를 이용하여 코딩작업을 시행하였다. 또한, 사례 내 분석에서 각 사례를 개별적으로 분석하면서 북한이탈주민의 무연고자 사망장례의 경험에서 나타나는 이슈들을 찾아 세부 주제를 확인하려고 노력하였다. 모든 사례를 분석하고 비교하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 새로운 주제를 발견하는 사례 간 분석 작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하나의 사례에서만 드러나는 이슈이거나, 사례 수가 많지 않아 사례 간 분석에 활용될 수 없는 범주들도 놓치지 않고 분석에 포함 시키기 위해 반복적으로 분석하여 주제를 찾으려고 하였다. 그 결과 5개의 상위범주와 11개의 하위범주, 2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상위범주“참여자와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 무연고자 사망장례 경험에서 받는 영향이 달랐다. 참여자 6명 중 5명은 고인과‘가족 같은 관계’를 가지고 서로 의지하며 생활하던 사이였다. 고인들의 죽음에서 장례를 직접 치를 수 없는 것에 대한 슬픔과 분노, 현실부정 등 심하게는 1년간 사람을 외면하는 우울증까지 겪게 되었다. 하지만 참여자 한 명은 고인의 죽음은 안타깝게 생각하지만 남인데 어쩔 수 없고 정부에서 무연고자로 장례를 치르니까 그 절차를 당연히 따라야 한다고 하였다. 고인은 한국에 와서 방황하면서 술에 의지하고 살았으며 주변 지인들에게 민폐를 종종 끼쳤다. 참여자는 고인이 안쓰러워 잘살기를 바라며 잔소리도 많이 했고, 밥도 챙겨주고, 휴가철에 함께 여행도 했지만, 부담스러운 존재였다. 두 번째 상위범주“무연고자에 대한 지식”에서는 참여자들은 북한에서 무연고자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이 없다. 참여자 4명은 지인의 죽음을 통해 무연고자에 대해 알게 되었고 무연고자에 관한 법에 대해 경험하게 되었다. 다른 참여자 2명은 무연고자에 대해 알고 있었는데 북한에서는‘고아’라고 하였다. 세 번째 상위범주 “죽음에 대한 경험”에서는 참여자들이 충분한 애도와 추모를 가졌는가에 따라 고인의 죽음을 좋은 추억으로 남기고 싶거나 아예 생각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며 잊고 싶은 시간으로 경험하였다. 그리고 참여자에게 충분히 애도하지 못한 무연고자 장례식은 고인의 갑작스러운 죽음보다 장례식을 빨리 치르지 못해 힘들었던 감정들이 더 큰 부정적 경험으로 남게 되었다. 네 번째 상위범주“지인의 죽음을 통해 느낀 두려움”에서 북한이탈주민은 태어나서 자란 고향을 떠나 목숨 걸고 넘어와 새로 함께 시작한 삶이기에 가까운 지인들과 느끼는 연대감은 가족과 같은 끈끈한 정으로 이어진다. 때문에, 가족을 떠나보내는 아픔만큼 남은 사람들의 고충이 크고 고인들의 권리를 지켜줘야 한다고 하였다. 다섯 번째 상위범주“북한이탈주민 무연고자 장례”이다. 연구참여자들은 북한이탈주민 무연고자에 관심을 가지고 하나원과 하나센터에서 정착 교육을 할 때 무연고자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고인의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지켜주고, 지인의 애도와 치유에 관심을 가지는 사회복지 차원에서 북한이탈주민의 무연고자 사망장례의 실태와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실재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무연고자 사망장례 중에 일반장례로 치른 사례 두건을 비교해보면, 고인들이(2명) 불치병으로 사망하였지만 한 명은 그 기간이 28일 걸렸고 한 명은 3일에 장례를 치렀다. 3일에 장을 치른 사례는 병원에서 장례식장을 연계해서 장례식을 지원해 주었다. 그리고 장례를 치른 후 참여자가 사망신고를 했다. 하지만 28일 걸린 사례는 병원에서 무연고자 확인절차를 요구하였고 이 절차 기간이 20일 정도 지났고, 통일부에서 확인하는 기간이 일주일 넘게 걸렸다. 비슷한 사례지만 어느 지역인가에 따라 장례식 기간이 25일이나 차이가 났다. 이것은 북한이탈주민 무연고자에 관한 법과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나원과 남북하나재단에서는 북한이탈주민에게 초기정착교육과 함께 무연고자에 대한 기본 지식과 법에 대해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에서는 북한이탈주민 사망자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간과하지 말고 혈연이나 가족관계가 아니라도 북한이탈주민 지인의 요구에 따라 연고자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그 후 장례를 치를 수 있도록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법과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북한이탈주민의 무연고자 사망이 발생할 때 신속한 장례가 진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 무연고자 사망장례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관할 지역 담당자의 재량에 따라 지역마다 다르게 장례가 치러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북한이탈주민 무연고자 사망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연고자가 없는 북한이탈주민도 공공기관이 최소한 신속하게 장례의식을 보장하여 고인의 존엄한 삶의 마무리를 하고, 남겨진 지인의 애도와 치유를 할 수 있는 예방과 대책을 마련할 체계적인 방안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This research is the qualitative case study thoroughly perceiving in the perspective of an insider on how the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 for the funeral of unrelated deceased affect individuals of the defectors and what kind of traumas they suffer through.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is “How are the experience of unrelated deceased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e definition for the process of analysis of the qualitative data slightly varies by scholars and there are various ways to analyze it. This study has harnessed a method of ‘In-case analysis’ and ‘Inter-case analysis’ proposed on Stake (1995) as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First, the study went through the transcription process, which indicates the recordings collected from the in-depth interview as it is, for the data analysis. Based on the transcribed data, this study strived to comprehend the full meaning of each case. The next step was to execute the coding process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program called Taguette. Furthermore, the study strived to identify the detailed subjects by discovering the issues occurring from the defector’s unrelated deceased cases while analyzing each case individually in the in-case analysis. It analyzed and compared every possible case to presen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proceed with the inter-case analysis that discover a new subject. Moreover, the study attempted to find the subject through constant analysis to encompass the issues that solely appear in a single case or categories that cannot be utilized in the inter-case analysis. As result, 5 upper categories, 11 lower categories, and 28 semantic units were derived. The first upper category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of the participant and the deceased” exhibited that the effects from the experience of unrelated decease varied. 5 out of 6 participants were in relations of reliance to one another and had a ‘family-like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They suffered from agony, rage, denial reality, and even in severe cases to depression avoiding human contact for a year on that they cannot proceed with the funeral for the death of the deceased on themselves. However, one of the participants contended that the death of a deceased is sorrowful and yet it is a case for unknown and also the process should be conformed as the government sets the funeral for the unrelated. Additionally, the deceased have wandered around and heavily relied on alcohol and occasionally cause annoyance to the surroundings in Korea. The participants felt empathy toward the deceased so that they gave lectures, took care of their supper, and traveled together during leaves, however, they were a burdensome existence. In the second upper category of the “knowledge on the unrelated”, participants have never heard of the unrelated in North Korea. 4 of the participants knew about the unrelated by the death of the acquaintances and experienced the laws for the unrelated. The other 2 participants already knew about the unrelated and they were called ‘orphans’ in North Korea. In the third upper category of “experience of death”, whether the participants had sufficient condolences and remembrance or not, the death of the deceased was a good memory to be kept or a time to be forgotten with the efforts to not think of it at all. Also, the funeral for the unrelated that did not give enough chance for the participant to show condolence was left as a negative experience from the hardships of the slow progress of the funeral rather than the sudden death of the deceased. In the fourth upper category “the fear experienced from the death of acquaintance”, the sense of solidarity with the close acquaintance moves onto the state of family-like intimacy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as they have left their birthplace with the life at stake and to come south to start a new phase of life. And so, the grievance of the people is high as much as sending those loved ones and thus believed that the rights of deceased should be kept. The fifth upper category is “North Korean defector’s unrelated funeral.”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had attention toward the unrelated defectors and insisted that the education of unrelated is necessary when doing the settlement training in Hana One and Hana Center. Through these study results, the facts and issues of the funeral for unrelated deceased North Korean defectors were derived in terms of social welfare that protects the dignity of the deceased as a human being and interested in the condolences and remedy for acquaintances. In comparison with the headscarf of cases held as general funerals among the funeral for unrelated deceased experienced by the actual study participants, 2 of the deceased died of the incurable disease, however, one took 28 days whereas the others took 3 days to proceed with the funeral. In the case of a funeral done within the time frame of 3 days, the hospital connected with the funeral hall to proceed with the funeral. Also, the participant has made the death report after the funeral. In contrast, in the case of the 28-day taken funeral, the hospital required a procedure for the confirmation of unrelated which took 20 days, and the confirmation process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ook over a week. They were similar cases, however, the funeral period differed by 25 days depending on the area. This was because there had not been an established law and institutional basis for the unrelated amo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Hana One and the South and North Korea Hana Foundation must inform the North Korean defectors of basic knowledge and laws about the unrelated along with initial settlement education. And then, laws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ets for the funeral to be possible and a prompt funeral should be conducted when the death of an unrelated North Korean defector happens. From this study, it was comprehended that funerals are held in variance by region at the discretion of the personnel in charge of the regional jurisdiction since there were no guidelines of the funeral for the unrelated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This means that there is a need to prepare the guidelines for the deaths of unrelated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this, public institutions should swiftly grant funeral ceremonies and give the end to the dignified life of the deceased even to North Korean defectors without relatives and improve systematic and preventive measures for the condolence and cure for the remaining acquaintan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