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언론 성과보도에 대한 인식이 성과정보활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언론 성과보도에 대한 인식이 성과정보활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ption of Media Performance Reporting on Performance Information Use
Authors
변솔휘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유진
Abstract
공공부문에서 책무성은 시민이 주인이 되고 정부가 대리인의 역할을 수행하는 주인-대리인 이론에 기초한다. 이에 따르면, 정부 기관은 대리인으로서 부여받은 책무성을 유지·확보하기 위해 성과 정보를 생산·제공해야 하며, 시민은 주인으로서 자신의 외적 책무성을 향상시키고 대리인에게 책무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성과 정보를 획득하고 활용해야 한다. 정부의 사업(정책)에 대하여 시민들은 다양한 정보 획득 경로를 이용하지만 시민들이 정부의 성과 정보를 획득하는 데 가장 의존하는 매체는 언론이라 할 수 있다. 정부 기관은 공신력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적인 정보의 생성·배포 책임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론의 높은 접근성과 정부 사업(정책)과 관련된 의제의 비현저성으로 인하여 시민들은 주로 언론 보도를 통해 성과를 평가하고, 정부 기관에게 성과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게 된다. 이렇듯 성과 정보 제공 주체로서 언론의 역할이 지대함에도 불구하고 언론의 성과 정보 제공 기능에 관하여 논의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또한, 성과 정보에 대한 인식과 성과 정보 활용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들은 이러한 관계의 방향성을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하고 있었다. 하나는 성과 정보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성과 정보 활용이 더 많이 이뤄진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성과 정보를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성과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변화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성과 정보에 대한 인식과 성과 정보 활용 간의 관계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타나게 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다뤄지지 않았던 성과 정보 제공자로서 언론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언론 보도를 통한 정부 사업(정책)의 성과에 대한 인식이 실제 성과 정보 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일반 국민과 공무원 간에 언론의 성과 보도에 대한 인식이 성과 정보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 국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일반 국민과 공무원 간의 성과 정보 활용에 대한 평균 차이를 활용한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성과 정보 활용에 있어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으며, 둘째, 단순회귀분석을 통하여 언론이 제공하는 성과 정보에 대한 인식이 성과 정보 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언론 제공 성과 정보에 대한 인식이 성과 정보 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언론이 제공하는 성과 정보에 대한 인식이 성과 정보 활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언론에서 제공하는 성과 정보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성과 정보 활용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수한 성과에 대한 긍정적 보도를 의미하는 긍정적 사례와 미흡한 성과에 대한 부정적 보도를 뜻하는 부정적 사례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부정적 사례보다 긍정적 사례에서 인식이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 국민과 공무원 간에 언론이 제공하는 성과 정보에 대한 인식이 성과 정보 활용에 미치는 영향 차이를 검증한 결과, 일반 국민과 공무원 모두 언론 제공 성과 정보에 대한 인식이 성과 정보 활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사업(정책) 사례별로 두 집단 간의 영향력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사업(정책) 사례 각각의 성과 우수·미흡 요인이 상이하여 유의미한 패턴을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대체로 공무원이 일반 국민보다 인식이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지니는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 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의 사업(정책)에 대한 이해도 제고 차원에서 우수한 성과에 대한 홍보·확산 방안 마련과 미흡한 성과에 대한 개선 노력이 병행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이 나타났으며, 둘째, 국민의 삶과 밀접한 영역의 사업(정책)에 대한 성과 정보의 적극적인 활용이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공무원이라는 직업 특성상 공무원의 언론의 성과 보도에 대한 반응성이 일반 국민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내적 타당성 저해 요인에 대한 통제가 다소 부족했으며, 2차 자료로서 가지는 한계점으로 인하여 연구 결과를 보편적인 결과로 단정 짓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후속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Accountability in the public sector is based on the principal-agent theory, in which the citizen becomes the principal and the government acts as the agent. According to this, government agencies should produce and provide performance information in order to maintain and secure accountability granted as agents, and citizens should acquire and utilize performance information to improve their external accountability as principals and to increase accountability of agents. Regarding government policies, citizens use a variety of information acquisition channels, but the media is the most dependent means for citizens to obtain government performance information. Although government agencies not only have public confidence and expertise, but also are responsible for producing and distributing public information, due to high accessibility to media and non-obtrusive agenda related to government policy citizens mainly evaluate performance through media coverage and hold government agencies accountable for their behavior and performance. Accordingly, despite the great role of the media as a performance information provider, it was difficult to find a study discussing the function of provid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media. In addition, studies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performance information and performance information use have suggested two main directions for this relationship. One is that the more pos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is perceived, the more performance information is used, and the other is that the more negative performance information is perceived, the active performance information is used to pursue chang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s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in which dire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performance information and performance information use appea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how the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 of government policy provided by media affects the actual performance information use, focusing on the role of the media as a performance information provider, which has not been previously studied.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media performance reporting on the performance information use between the citizen and public officials. To this end, an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using survey data onto the citizen and public officials. First, an independent sample t-test is conducted using the average difference in performance information use between the citizen and public officials to examine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rough simple regression analysis, it empirically analyzes how the perception of performance information provided by media influences performance information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the perception of performance information provided by media influences performance information use, we find that the perception of performance information provided by media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information use, confirming that performance information use increases if performance information provided by media is positive. As a result of comparing positive cases indicating positive media coverage on high performance and negative cases indicating negative media coverage on low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in positive cases rather than negative cases, the perception of performance provided by media has a greater influence on performance information use.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perception of performance information provided by media between the citizen and public officials on performance information use, both the citizen and public official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information use.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influence between the two groups by policy case, significant patterns could not be identified due to different factors of high and low performance of each policy case, but it was identified that public officials generally have a larger influence on perception than the citizen.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policies of not only public officials but also the citizen, measures to promote and spread high performance should be prepared, and efforts to improve low performance need to be made concurrently.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performance information on policies on areas close to people's lives. Finally, it was identified that due to the nature of the job as a public official, they are relatively more responsive to media performance reporting than the citizen. However, this study lacked control over the factors that hinder internal validity, and due to the limitations of secondary data,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e research results as universal results. Thu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and conduct follow-up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