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9 Download: 0

新羅 國家禮制 硏究

Title
新羅 國家禮制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ational Ritual System of Silla
Authors
박초롱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미
Abstract
이 논문은 신라 國家禮制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신라 사회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예제란 유학의 실천윤리이자 질서체계인 禮를 제도화한 것으로, 法制(律令)와 함께 전근대 동아시아 사회에서 二元的 통치수단으로 중시되었다. 그동안 한국사에서 예제 연구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집중되어 왔는데, 이는 예제를 유학의 정치이념에 기초한 개념으로 이해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초 예제의 原形은 공동체의 질서·의식·규범에 기초하였으며, 유학의 예 관념은 이후에 국가 차원에서 이를 제도화·체계화하는 데 영향을 준 것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신라 예제의 형성과 변화는 공동체의 관습·규범이 국가의 지배질서로써 법제와 쌍을 이루는 제도로 발전하고, 다시 유교에 기초한 중국의 예제를 수용하여 재편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준다. 이렇게 볼 때, 신라의 국가예제에는 신라 지배구조의 특징이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신라는 법흥왕대 율령을 반포하였고, 이때를 즈음하여 법제에 대응하는 국가예제도 성립되었다. 이때의 국가예제는 소국단계의 禮俗을 근간으로 하되 유교적 국가의례에 일부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국가예제의 형성과정은 지증왕대의 상장례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법흥왕대의 율령이 신라의 전역과 모든 인민에 대한 一元的 지배를 선언한 것이었다면, 진흥왕의 순수는 국가의례를 통해 실제 지방에 이를 실현한 것이었다. 순수에는 수도와 현지에서의 제사가 동반되었고, 지방의 풍속을 점검하고, 중앙의 법률·예악·제도를 기준으로 포상과 처벌을 행하였다. 순수는 이러한 절차를 통해 중앙의 지배질서를 지방에 확산시켰다. 한편 진흥왕은 가야의 음악을 신라로 받아들이면서 ‘大樂’을 정비하였다. 대악의 정비는 통합과 조화의 機制였던 樂으로써 질서와 절제의 기제였던 예를 보완한 것이었다. 법흥왕대 형성된 국가예제는 중고기 말~중대 초에 唐禮를 수용함으로써 재편되었다. 우선 당례의 수용에 앞서 진평왕대 국가예제를 항시적으로 전담할 관서로 禮部가 설치되었다. 이어서 진덕왕대부터 당례가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때 당례의 수용을 주도한 것은 김춘추로, 그는 유교의 名分論과 階序的 질서, 이를 표면화한 당례의 속성에 집중하였다. 김춘추의 입당을 계기로 예부의 체계가 확립된 것은 신라가 당례를 수용하여 국가예제를 재정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당례의 수용에도 불구하고 중고기에 확립된 신라 국가예제의 전통은 유지된 측면이 있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국가제사의 編制 방식이다. 신라의 국가제사는 통일 이후 신문왕대 ‘吉凶要禮’의 입수를 통해 재편되었다. 그러나 당에서 모든 국가제사를 규모와 중요도에 따라 大·中·小 三祀로 편제한 것과 달리, 신라에서는 오직 名山大川만을 삼사로 편제하였다. 이는 신라와 같이 당례를 기초로 국가제사를 정비한 고려와 일본이 모든 국가제사·의례를 일괄하여 삼사로 편제한 것과 뚜렷하게 구분된다. 이러한 국가제사의 편제에는 신라의 전통적 제사체계, 그 바탕에 있는 지배구조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국가예제가 작동하는 범위는 크게 국제관계와 국내사회로 兩分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른바 삼국통일을 전후로 한 시기를 대상으로 이를 살펴보았다. 中原을 통합한 수·당은 자국 중심의 一元的 국제질서를 확대하려 하였고, 이 과정에서 신라와 당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갈등의 실질적 원인은 전쟁과 이후의 냉각된 양국관계에 있었다. 그러나 이때의 갈등이 예제를 매개로 표출되었던 것은 주목할 만하다. 당례의 전파를 통해 일원적 국제질서를 정착시키려하는 당과 이미 자체적으로 국가예제를 운영해온 신라의 입장이 부딪힌 것이다. 나당관계의 정상화와 함께 예제를 매개로 한 양국 간 마찰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다. 대신 8세기에 당례를 수용하여 천황제를 확립한 일본과 의식의 참여, 외교의례의 절차 및 용어 문제를 두고 여러 차례 갈등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통일을 전후한 시기에 무열왕계 왕실에 의해 종묘제가 수용되었다. 종묘는 現王의 직계조상을 제사하는 공간으로, 왕실의 종묘가 국가적 祭場으로 인정받는 것은 곧 국가운영에서 왕실의 독점적 지위를 표상하는 것이었다. 신라는 지배세력 간 상호협의에 따른 권력구조를 장기간 유지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국왕을 배출한 집단은 항상 여타의 진골귀족세력과의 차별화를 꾀하였는데, 무열왕계 왕실은 종묘제를 그 수단으로 선택하였다. 삼국전쟁과 나당전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강화된 왕권은 무열왕계 왕실의 종묘를 국가적 종묘로 인정하게끔 만들었다. 그러나 무열왕계의 독점적 위상에 대한 불만은 축적되고 있었다. 혜공왕대의 종묘제 개편은 진골귀족들의 불만에 의해 촉발된 것이었다. 그 결과 무열왕계와 진골귀족들은 종묘의 首位를 진골세력 공통의 조상인 始祖 미추왕으로 바꾸고, 종묘에서 모시는 국왕의 직계조상의 숫자를 줄이는 것에 합의하였다. 그러나 원성왕부터 직계 4親을 국가적 종묘에 모시려는 노력이 재개되어, 애장왕대에 재차 종묘제 개편이 일어났다. 이는 무열왕과 문무왕을 종묘에서 分立시키고, 시조와 직계 4친의 오묘를 구성하는 것으로, 무열왕과 문무왕을 향후 종묘제 운영에서 논외로 삼겠다는 것이었다. 이후 진골귀족 가문들 사이의 왕위 쟁탈전은 종묘 운영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이 점에서 종묘제는 신라 지배구조의 특징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change of the national ritual system of Silla and to identify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of Silla society. The ritual system i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Li(禮), the practice ethics and order system of Confucianism. Together with the law system, it was valued as one of the dualistic means of the governing rule in pre-modern East Asian society. To date, research on the ritual system in Korean history has been focused o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because the ritual system was considered as a concept based on the political ideology of Confucianism. However,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original form of the ritual system was based on the order, ritual, and norms of the community, and that the idea of Li(禮) in Confucianism became influential later when the ritual system was institutionalized and systematized at the national level.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ritual system in Silla showed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 customs and norms of the community developed into a system paired with the law system as the ruling order of the state, and then were reorganized again by accepting the ritual system in China based on Confucianism. In this regard, Silla's national ritual system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Silla's governance structure. Silla promulgated the ordinances during the reign of King Beopheung. Around this period, the national ritual system corresponding to the law system was also established. The national ritual system at that time was based on the small state stage, but was partially influenced by Confucian national rituals.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national ritual system was revealed in the change of the funeral ritual of the King Jijeung. While the ordinances of King Beopheung declared the monistic rule over the whole of Silla and all the people, the progress of King Jinheung actually realized it in each province through national ceremonies. The progress accompanied ancestral rites in the capital and local areas, inspected local customs, and adopted rewards and punishments based on the central laws, rituals, and systems. In doing so, the progress spread the central ruling order to the provinces. Meanwhile, King Jinheung introduced the music of Gaya to Silla and improved official national music. The arrangement of official national music, as a mechanism for unity as harmony, supplemented Li(禮) which was a mechanism for order and temperance. The national ritual system formed during the reign of King Beopheung was reorganized by accepting ritual system of Tang(唐禮制) from the end of the mid-period to the early later period. First of all, prior to the acceptance of Ritual System of Tang, Yebu(禮部) was established as an office in charge of the national ritual system at all times during the reign of King Jinpyeong. Then, from the reign of King Jindeok, Ritual system of Tang began to be accepted in earnest. At this time, Kim Chun-chu led the acceptance of ritual system of Tang. He paid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Confucian justice and hierarchical order, and ritual system of Tang that specified the characteristics. The establishment of Yebu(禮部) with the arrival of Kim Chun-chu was evidence that Silla reorganized the national ritual system by accommodating ritual system of Tang.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acceptance of Tang's Li(唐禮), the tradition of the national ritual system of Silla established in the mid-period continued. The best evidence to show this was the organizational method of national ancestral rites. Silla's national ancestral rites were reorganized after unification based on King Shinmun's Gilhyungyorye(吉凶要禮). However, unlike Tang, which organized all national ancestral rites into three classes of large, medium, and small ancestral rites according to their scale and importance, Silla only organized mountains and streams into three classes. This was distinctly different from that of Goryeo and Japan, which arranged their national ancestral rites based on ritual system of Tang similar to Silla and comprehensively organized all national rites into three classes. As such, the traditional ancestral system of Silla and the related governance structure influenced the organization of national ancestral rites. The scope of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ritual system can largely be divided into two parts, international relations and domestic society.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The Sui and Tang dynasties, which united the Chinese continent, tried to expand the monistic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their own countries and it caused conflicts between Silla and Tang. Of course, the underlying cause of the conflicts was the war and the un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However, it was noteworthy that the conflicts at that time were expressed through the ritual system; Tang, which aimed to establish a unified international order through the spread of ritual system of Tang, collided with Silla, which had already operated the national ritual system of its own. The normalization of the Silla-Tang relationship relieved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over the ritual system. Instead, various conflicts arose over the procedures and terminology of diplomatic rites with Japan, which established the emperor system by accepting ritual system of Tang in the 8th century. In the pre- and post-unification period, the loyal shrine system was accepted by the royal family of King Muyeol. The loyal shrine is an ancestral rite space for the immediate ancestors of the current king. The recognition of the royal shrine as the national rite space symbolized the royal family's monopoly status in nation management. Since Silla maintained a power structure based on mutual agreement between the ruling powers for a long time, the family that produced the king always attempte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 Jingol nobility(眞骨貴族), as shown by the royal family of King Muyeol that used the royal shrine system for worshipping his immediate four ancestors. The royal authority strengthened through the successful Three Kingdoms War and the Silla-Tang Wars secured the royal shrine of the King Muyeol lineage as the national royal shrine. However, dissatisfaction with the monopoly status of the King Muyeol lineage accumulated. The reorganization of the royal shrine system during the reign of King Hyegong was triggered by the dissatisfaction of Jingol nobility(眞骨貴族). As a result, the lineage of King Muyeol and Jingol nobility(眞骨貴族) agreed to change the first place of the royal shrine to King Michu, the common ancestor of Jingol nobility(眞骨貴族) and to reduce the number of immediate ancestors of the king worshiped at the royal shrine. However, during the reign of King Wonseong, efforts to worship the 4 immediate ancestors at the national royal shrine were resumed,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royal shrine system occurred again during the reign of King Aejang. This was to separate King Muyeol and King Munmu from the royal shrine and constitute Omyo(五廟, five ancestor's shrines) for Sijo(始祖) and his 4 immediate ancestors. This implied that King Muyeol and King Munmu would be excluded from the operation of the royal shrine in the future. Afterwards, the battle for the throne between the families of Jingol nobility(眞骨貴族) was reflected in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royal shrine. In this context, the national royal shrine bes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Silla's governance struc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