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4 Download: 0

冠巖 洪敬謨 문학의 文史一致 경향 연구

Title
冠巖 洪敬謨 문학의 文史一致 경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ademic Tendencies of the Alignment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in Gwanam Hong Gyeong-Mo's Literature
Authors
박소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동준
Abstract
본 연구는 冠巖 洪敬謨(1774~1851)의 문학에 나타난 文史一致 경향을 검토하고, 홍경모 문학이 지닌 문학사적 위상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 후기는 지식의 종합화와 博物化 경향이 짙어지던 시대였다. 홍경모 또한 이러한 시대적 조류에 참여하면서 방대한 저술과 업적을 남겼고, 노년에는 손수 평생의 글을 총정리하면서 文史一致라는 관점에서 자신의 詩文이 지닌 의미를 되돌아보았다. 본 연구는 이런 독특한 면모에 주의하면서 홍경모 문학의 文史一致 경향을 집중적으로 조명해보았다. 이에 먼저 당대 국내외 史學의 부상과 文史一致의 토대가 되는 배경을 분석하고, 홍경모의 外史氏 인식의 형성 과정을 추적해보았다. 나아가 文史一致 경향을 검토할 수 있는 작품으로 「海嶽記」, 「四宜堂志」, 『重訂南漢志』, 「吳州詩志」를 실펴, 홍경모의 文史一致 경향이 지닌 문학사적 의의를 조명해보았다. 먼저 국내외 문화·사상 전반에 걸쳐 史學이 부상하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국외의 경우, 浙東史學派 章學誠에 초점을 맞추어 六經皆史說이 부상하는 현상을 눈여겨보았다. 장학성은 공자의 『春秋』와 사마천의 『史記』를 문학의 시초로 보고, 문학은 사학에 근간을 둔 하나의 뿌리에서 기원하였다고 주장하였다. 經世를 위한 史學을 주창했던 그는 한편으로 ‘志’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였는데 이 점은 홍경모와 문학의 특질과 연결되는 요소이기도 하였다. 국내의 경우, 이전부터 소론계 문사들에게서도 經史一致의 관념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文史一致가 배태될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되고 있었다. 그리하여 마침내 홍경모는 자신이 글쓰기가 국가 차원의 正史가 아닌 개인적 차원에서의 外史로 기능할 수 있음을 역설하였다. 이에 홍경모의 문학관 형성에 영향을 끼친 요인으로, 조부 洪良浩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家學의 전수 양상을 살폈다. 홍경모의 개방적인 인식 기저에 홍양호의 포용적 華夷觀이 자리하고 있다고 보았다. 1·2차 연행을 다녀온 후 詩로 쓴 연행록인 「사상운어」와 「사상속운」을 편찬한 계기가 되었다. 이외에 홍경모 문학의 文史一致 경향이 일정 부분 소론계의 토양에서 발아된 것임을 해명하기 위하여 徐有榘와 徐瀅修의 詩史 인식, 즉 문학과 사학의 상관성에 대한 그들의 태도를 간추려보았다. 또한 홍경모의 ‘시문은 모두 역사’라고 한 ‘詩文皆史’ 선언 이면에 공자의 『春秋』와 사마천의 『史記』에 내포된 정신을 승계하려 한 의식이 작용하고 있었음을 밝혔다. 대상 사물의 역사적 기원이나 정보를 빠짐없이 기록하는 태도, 史體를 활용하여 詩文을 창작하는 경향은 홍경모 문학의 文史一致 경향을 뒷받침하는 근거라 할 수 있었다. 이에 작품과 저술을 통해 홍경모 문학의 文史一致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海嶽記」, 「四宜堂志」, 『重訂南漢志』, 「吳洲詩志」를 선별하여 창작 시기와 대상 제재에 따라 文史一致가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탐색하였다. 먼저, 금강산 유람기 「海嶽記」는 유람기보다는 금강산 안내서로서 기능이 대폭 강화된 결과로 보았다. 금강산과 동해에 대한 사실적 고증에 주력한 작품으로, 개인적인 감동과 재미는 절제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대상의 객관적인 묘사와 사실 정보에 치중하는 이런 모습은 결과적으로 金剛山志의 기능을 겸한 특징으로 나타났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사의당을 기록한 「四宜堂志」를 家史의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私邸의 내력과 연혁, 사물의 故實 등을 살펴 개인의 집에 관한 기록물이 역사적 史料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여타 문인들이 집에 관한 기록물을 남길 때 선택하는 記文의 형식이 아닌 志 형식을 선택한 것과 구성에 있어 7개의 節目化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文史一致 경향의 한 양상을 유추해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重訂南漢志』를 살펴, 여타 지방지와 구분되는 편목과 항목들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중 邑志의 특성이 반영된 대목을 주목하였으며, 역사 서술이 나타나는 「城史」와 「史餘」, 「逸事」 항목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丙子胡亂 관련 내용 및 인물 이야기, 민간 설화와 야담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다는 점을 이 작품의 주요 특징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志 장르를 이용하면서 詩史一致를 구현한 작품으로 「吳洲詩志」를 주목하였다. 吳州(現 평안도 강동군) 지역의 유래, 역사, 산천과 명승, 인물, 민속 풍습과 생활상까지 모두 詩로 진술한 특이한 작품집이었다. 대상이 되는 장소나 인물, 사건 등을 소재로 삼고 문학과 사학[文史]의 경계를 넘나드는 영역 확장을 이뤄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작품이라고 평가하였다. 조선 후기 문학사에서 홍경모의 文史一致 경향이 의미하는 바는, 개인이 쓴 詩文과 기록도 역사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여 기존 고문론의 관행적 범주를 벗어난 데 있었다. 홍경모가 강조한 文史一致의 이념과 文史一致 경향의 글쓰기는 19세기 문학사가 품고 있는 이채로운 특징이었다. 그는 개인의 경험을 역사 서술의 소중한 재료로 만들었으며, 역사와 문학의 상호 작용을 통한 혼융의 글쓰기를 시범해 보였다. 나아가 外史氏로서의 소임을 자임하며 史學과 文學의 결합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the history and literature align in Gwanam Hong Gyeong-mo’s works and take a glimpse into the prominence his literature achieved. To this day, the spotlight has been on Hong Gyeong-mo (1774-1851), for being a leading literary figure for the Soron fac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untles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is various works from cultural and historical standpoints, spanning from literature, history, epigraphy, calligraphy, and poetry. He has always been sought after by cross-disciplinary studies beyond his academics. In the paper, how history and literature tends to align in Hong Gyeong-mo’s works and what were the contributing factors to this academic tendency. Moreover, it aim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into the rise of historiography, domestic and foreign, and the foundation for the alignment of history and literature in Hong Gyeong-mo’s works and follow the development of his thoughts as a private historian. It furth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s of his notable works, ‘the Haeakgi’, ‘The Sauidangji’, ‘The Jungjeongnamhanji’, and ‘The Ohjusiji,’ deriving impact the alignment of history and literature on the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Such tendency was formed in the era when similar historical pieces, such as “The Six Classics Are All History” by Zhang Xuecheng’s (1738-1801) from Qing Dynasty were gaining momentum. Influenced by Confucianist notion of history of King Jeongjo and the Soron writers, Hong Gyeong-mo strived to absorb the positive aspects of history in his writing. He further supported the objectivity and practicality of poetry, believing that the poetic works could be a part of history which could be passed down from generations to generations. He sought to bear witness by describing his experiences or objects he had encountered, maintaining his position as a chronicler, and worked to accumulate his records, trying to construct a history where the present is connected to the future. So, Hong Gyeong-mo complied his lifelong works and literary achievements into a collection under the name of ‘Unofficial History ‘and anticipated that the history could align with literature, from the past, present to the future, through poetry. His understandings as a private historian derived from the school of thoughts his family belonged to for generations. Unlike his grandfather, Hong Yang-ho who established himself as a historian of an official capacity, Hong Gyeong-mo, however proved that one’s private accounts can support the historical accounts as the official records. What is also noteworthy is that he named the collection of his literary works “History,” while giving himself the responsibilities as a private historian. Earlier works by Lee Yoon-young and Yoo Man-ju set the precedent for this tendency to view private records as history. It could also be observed in Jung Won-young who viewed private journals as the history. Hong Gyeong-mo had been a government official for forty years, leaving the records of his journeys into different regions in Korea and of his envoy years in China. Among them, Geumgangsan Mountain Travelogue ‘the Haeakgi’ is a work that shows the overall history of Geumgangsan Mountain. Hong Kyung-mo recorded objective facts relating to the Geumgangsan and showed in this book that he deviated from subjective thoughts or external objects and self. Furthermore, he combined the chronological order and descriptive style of writing in his works and recorded unofficial accounts and stories as miscellaneous, maintaining his stance as a chronicler. ‘The Sauidangji’ is a record of the Sauidang, which has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Hong Family of Pungsan and can be seen as the records of the family’s thoughts and beliefs. It also proves to be historical source materials by examining Sauidang’s origins and history or past precedents or examples. It shows the alignment of history and literature in that the work attempted to categorize seven detailed items in composition with the selection of a record format describing the entire history rather than a general record document format.‘The Jungjeongnamhanji’is a chronology of townships in Gwangju, Gyeonggi-do that has not been studied so far, and it is noted tha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local history, focusing on Seongsa (the history of a capital, a country, and a city), Sayeo (the rest of history), and Ilsa (the facts that are not revealed in the world). It contains several descriptive passages related to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as well as the relevant people, folk tales, and unofficial stories. Looking at these aspects, ‘The Jungjeongnamhanji’ is analyzed as a work linked to history and literature rather than simply interpreting it as a local history. 'The Ohjusiji' accentuates his tendency to align literature and history and it is a unique work in that it has 90 pieces of poetry and serves as a local history. It is noteworthy that all origins and history of the remote areas (currently Gangdong-gun, Pyeongan-do), mountains and scenic spots, people, folk customs, and lifestyles are depicted in these poems. It is a meaningful work because it has expanded the boundaries between literature and history by using the target places, people, and events as the subjects of poetry. Also, aligning the poetry and history strengthened the significance of aligning history with literature through his works. This paper, by closely examining the aspects of Hong Kyung-mo's various works, concludes that he has taken on a role of a private historian, making historical statements using poetry and creating several works using historical perspectives. Hong Gyeong-mo summoned Confucius's "Spring and Autumn Annals" and Sima Qian's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to expand the horizons for historical narrative and the areas of historical-literature. He attempted logical reasoning that could objectively demonstrate everything subject to topics or materials of the work, and this attempt was aimed at proving the original shape, the origin, and original idea of the object, which was hidden in the rhetoric or form. All of Hong Kyung-mo's literary works are unofficial historic records that support the official history, and they are the result of realizing the significance of aligning literature and history, meaning that personal accounts could also be the historical accou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