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교통약자의 보행보조기 종류에 따른 보행환경 편의성 연구

Title
교통약자의 보행보조기 종류에 따른 보행환경 편의성 연구
Other Titles
Convenience of the walk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ypes of walking aids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Authors
김소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다은
Abstract
보행보조기는 혼자 이동하기 어려운 보행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 원하는 곳으로 보행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이다. 신체의 노화로 인해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거나 무릎이나 발목의 연골 노화, 탈골로 인해 보행 시 가중되는 신체의 하중을 스스로 견디기 어려운 경우, 지팡이나 보행차, 휠체어 등의 보행보조기를 이용하여 보행하게 된다. 이때 보행보조기는 하중을 분산시키거나 신체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보행환경을 조성하여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는 교통약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 독립적인 힘으로 보행하여 원하는 곳으로 편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모든 이들의 보행기의 확대를 위해 중요하다. 보행은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한 사회적 참여와 이동편의에 대한 복지 증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증가하는 고령자들을 비롯하여 수많은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는 교통약자를 고려한 편리하고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개선방향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우선 보행보조기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용하는 행태에 따라 크게 3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도구를 짚어 균형을 유지하거나 몸의 하중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지팡이, 목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지팡이가 도구를 이용해 보행환경의 정보를 얻는 정보 습득의 역할을 한다. 둘째, 도구에 달린 바퀴를 밀며 이동하는 방식으로 보행차가 대표적인데, 경우에 따라 유모차를 보행차처럼 이용하기도 한다. 셋째, 도구에 앉아 바퀴를 움직이며 이동하는 방식으로 수동 및 전동 휠체어, 전동스쿠터 등이 있다. 교통약자는 보행 능력이 저하됨에 따라 보행보조기에의 의존도가 점차 높아지게 되는데, 지팡이 등을 짚는 보행에서 차차 보행차 등을 미는 보행으로 전화되었다가, 신체 능력이 더욱 저하됨에 따라 휠체어에 앉아 이동하는 상황으로 변화해 간다. 앉는 유형의 휠체어는 앞의 두 유형과 달리 자신의 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바퀴가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경우에도 노년기에 접어들면 신체능력이 저하되면서 보행보조기를 이용한 보행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보행보조기의 유형에 따라 각 보행보조기가 보행을 돕는 작동방식에 있어 차이가 있고, 교통약자의 보행 양상 및 어려움의 종류도 달라지게 되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8개의 보행환경요인 각각에 대해 보행편의성 만족도를 묻는 4점 리커트 척도의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18개의 보행환경요인은 각종 선행연구와 보도설계 및 관리 지침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등으로부터 도출하였다. 우선 선행연구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거나 보도설계 지침에서 중요하게 언급된 보행환경요인을 선별하였고(12개) 이에 더하여 비록 선행연구에서 자주 고려된 보행환경요인이 아니지만 특별히 보행보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에게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보행환경요인을 추가하였다(4개). 본 연구의 예비조사 과정에서 보행에 불편을 야기한다고 응답된 2개의 보행환경요인, 즉 ‘주정차된 차량’과 ‘그늘 없음’을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18개의 보행환경요인을 구성하였다. 이 외에 개인 특성으로서 나이와 성별, 이용하는 보행보조기, 자주 다니는 길 등을 질문하였다. 마지막으로 보행 중 불편을 유발했던 보행환경 요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답변할 수 있는 주관식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용하는 보행보조기에 따라 서로 다른 보행환경요인에 의해 보행편의를 저해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로 지팡이와 이용하는 교통약자는 ‘바닥면의 미끄러움’, ‘바닥면의 요철’, ‘횡단보도 보행신호 시간 부족’이 보행편의 저해 요인이라고 응답하였다. 그중에서 ‘바닥면의 미끄러움’이 가장 큰 영향요인이었는데 이는 지팡이를 이용하는 교통약자가 다른 보조기 이용자에 비해 보행보조기가 땅에 닿는 면적이 가장 적으며 한 방향으로 하중을 받기 때문에 미끌리거나 중심을 잃기 쉬운 까닭이다. 또한 보도의 요철로 인해 지팡이가 틈에 끼이거나 걸려 보행에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고, 횡단보도에서 보행신호 시간이 부족하여 위험을 겪는 상황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지팡이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는 낙상과 부상에 대한 위험과 불편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보행차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는 ‘바닥면의 경사도’, ‘바닥면의 수평 경사’, ‘주정차된 차량’, ‘바닥면의 요철’, ‘횡단보도 보행신호 시간 부족’이 보행편의 저해 요인이라고 응답하였다. 그중에서 ‘바닥면의 경사도’, ‘바닥면의 수평경사’, ‘주정차된 차량’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보행차는 보조기를 밀며 이용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경사도와 수평 경사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보행보조기의 무게로 인해 내리막길 등에서 중력으로 인해 기울어져 보행자에게 오히려 보행보조기가 부담이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들고 이동하는 보조기가 아니기 때문에 바닥의 요철을 피해가기 어려우며 지팡이 이용자와 마찬가지로 보행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 내에 길을 건널 때나 주정차된 차량이 보행 경로를 막고 있을 때 비켜야 하는 등, 보행차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는 보조기를 제어하기 어렵고 차량으로 인한 위험과 불편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휠체어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는 ‘보도 유효폭의 좁음’, ‘차량 과속 방지턱’, ‘바닥면의 요철과 틈’, ‘보도의 턱’, ‘보도 연석 경사로의 급함’, ‘주정차된 차량’이 보행편의 저해 요인이라고 응답하였다. 그중에서 ‘보도 유효폭의 좁음’, ‘차량 과속 방지턱’이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휠체어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는 다른 보조기에 비해 보조기의 부피가 커 이동 시 더 많은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다른 보조기에 비해 길의 유효폭이 좁아 불편을 많이 겪으며 보도를 이용하지 못하고 차도를 이용하여 차량 과속 방지턱과 같은 차도에 있는 요인에 의해 불편을 겪는다. 또한 보도의 턱이 낮춰져 있지 않거나 보도 턱을 완화하기 위한 경사로가 가파르게 조성되어 있어 휠체어 이용자가 이를 이용하는데 불편을 겪는다. 이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휠체어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는 보도의 유효폭과 가파른 곳에서의 낙상 위험과 불편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교통약자가 이용하는 보행보조기의 종류에 따라 보행하는 방식이 현저히 다르기 때문에, 교통약자가 경험하는 보행환경의 보행 편의 저해 요인은 보행보조기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보행환경요인으로 인해 불편을 겪더라도 보행보조기의 종류에 따라 불편을 야기하는 방식이 달랐으며 이를 해결하는 방안도 다를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보행보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의 보행편의 저해요인은 크게 보도 유효 폭과 관련된 요인, 지속적인 보도 포장재 관리와 관련된 요인, 경사와 관련된 요인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보도 유효폭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차량 과속 방지턱, 보도 연석 완화 경사로의 급함 등이 있으며 보도 포장재 관리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바닥의 미끄러움, 바닥의 요철과 틈 등이 있다. 또한 경사와 관련된 요인으로 바닥면의 경사도와 바닥면의 수평경사가 있다. 보도 유효폭의 개선과 경사의 개선은 기존 휠체어 이용자들을 중점으로 진행한 연구에서도 자주 다뤄졌으나 지속적인 보도 포장재 관리와 관련된 요인들은 기존 연구에서는 개선의 방법들로 잘 제시되지 않았으며, 일부 선행연구에서 포괄적인 환경개선의 의미로 보행환경 관리의 필요성만 언급되었다. 이를 토대로 기존의 보행환경에 관한 사업과 제도의 개선방법으로 세 가지를 제안할 수 있다. 첫 번째로 교통약자가 많이 통행하는 길과 복지관 인근 길을 교통약자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보행편의를 집중적으로 증진시키고 두 번째로 보도 관리에 대한 명확한 관리기준을 세워 정기적으로 보도를 관리한다. 마지막으로 물리적 환경의 여건이 충분한 길에는 보차분리시설을 확충하는 등의 방안으로 보행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시의 모든 길에서 보행보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의 보행편의 개선을 위해 완벽하게 보행환경을 조성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교통약자가 주로 이용하는 길의 보행환경을 개선하면 전체적인 보행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기적인 보도 관리의 체계를 통해 보도의 노후화 및 갑작스러운 파손으로 발생하는 바닥면의 요철과 장애물 등을 제거하여 보행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폭이 충분히 넓은 보차혼용 길에는 보차분리시설을 설치하여 차로 인한 위험과 불편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행태에 따라 보행보조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의 보행편의를 저해하는 보행환경요인이 다름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A walking aid is a tool that helps a pedestrian facing difficulty walking by themselves to walk without the help of others. If it is difficult to maintain body balance due to aging, or if it is difficult to withstand the weight of the body when walking due to cartilage aging or dislocation of the knee or ankle, you will walk using a walking aid such as a walking stick, walking car, or wheelchair. At this time, the walking aids serve to distribute the load or assist the body. It is important to create a safe and convenient walking environment such that the mobility handicapped can walk with independent force and move comfortably without the help of others. This is because walking is very important for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exchanges with people and for the promotion of welfare for convenience of movement. Accordingly, empirical efforts were directed toward creating a convenient and safe walking environment considering the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people and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numerous walking aids. The walking aids can be main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behavior they use. First, maintaining balance or supporting the body's load by using walking aids such as walking sticks and crutches. Second, pushing and moving the wheels on the walking aid, such as rollators. In some cases, strollers are used as rollators. Third, sitting on the walking aid and moving the wheels, such as manual and electric wheelchairs and electric scooters. With the decreasing walking ability, the mobility-handicapped people gradually depend more on the walking aids. Such people may gradually change from walking with a walking stick to walking with a rollator. However, with any further deterioration in the physical ability, they prefer sitting in a wheelchair. Unlike the previous two types of walking aids, a seated-type wheelchair has wheels instead of legs. Not only the disabled, but the general public is also likely to use walking aids with increasing age. It is noteworthy that depending on the type of walking aid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way each walking aid helps walking, and the types of walking patterns and difficulties of the mobility handicapped vary.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four-point Likert scale was prepared to determine the walking convenience under 18 walking environmental factors, which were derived from various preceding studies, sidewalk design and management guidelines, and an obstacle-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ystem. Walking environmental factors that were frequently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or that are identified as important in the sidewalk design guidelines were selected (12). In addition, walking environment factors that were not frequently considered in the previous studies but have a major influence on the mobility handicapped who use walking aids were also selected (4). During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in this study, two walking environmental factors that were identified to cause discomfort during walking, namely, “parked and stopped vehicle” and “no shade,” were included. Overall, 18 walking environmental factors were considered.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also covered questions abou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ge, gender, walking aids used, and frequently traveled routes. Finally, subjective questions that specifically asked for factors causing walking discomfort were also included.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different walking environmental factors hindered the walking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walking aid used. Those using walking sticks identified “slippery road floor,” “road crack,” and “short walk signals on the crosswalk” as the factors hindering the walking convenience. Among them, “slippery road floor” was the most common factor because a walking stick has the smallest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compared to other walking aids, and people using walking sticks may easily lose their balance for the walking sticks receive the load in only one direction. In addition, due to the unevenness of sidewalks, the walking stick is often caught in a gap, causing inconvenience in walking. Moreover, there are situations where the walking signal time is insufficient on the crosswalk. Owing to these factors,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the walking stick were found to be at great risk for falls and injuries. Second, people using rollators identified “steep slopes,” “steep horizontal slopes,” “parked and stopped vehicles,” “uneven roads,” and “short walk signals on the crosswalk” as the factors hindering the walking convenience. Among them, “steep slopes,” “steep horizontal slopes,” and “parked and stopped vehicles'” were the most common factors hindering the walking convenience. Because the rollator requires pushing, it is greatly affected by the inclination and horizontal inclination. Owing to the weight of the walking aid, it may get tilted due to gravity on a downhill road, making the walking aid rather burdensome to the pedestrians. Moreover, since such a walking aid does not need to be carried while moving, it is difficult to avoid the unevenness of the road. Similar to the walking stick users, the walking speed of rollator users is slow; therefore, they should step aside while crossing the street in the pedestrian signal of the crosswalk or when a parked vehicle is blocking the pedestrian path. It was found that the mobility handicapped who use rollators had difficulty controlling the walking aids and felt great danger and inconvenience due to the vehicles. Third, those who use wheelchairs identified “narrow width of the sidewalk,” “vehicle speed bump,” “uneven roads and gaps on the floor,” “steepness of the sidewalk's curb ramp,” and “parked and stopped vehicle” as the factors hindering the walking convenience. Among them, “narrow width of the sidewalk” and “vehicle speed bump” were the most common factors.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wheelchairs require a lot of free space when moving because the dimensions of aids are larger than those of the other aids. Therefore, the effective width of the road is narrower than that for the other aids, causing a significant inconvenience. The speed bumps on the road also cause inconvenience. In addition, the chin of the sidewalk is not lowered or the ramp of the sidewalk is steep, making it difficult for the wheelchair users to use it. As mentioned above, the factors that hinder the walking convenience in the walking environment may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type of walking aid used based on the walking method employ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ven if the same walking environmental factors cause discomfort, the discomfort was experienc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walking aid, and the methods of overcoming it were also different. Three main factors hinder the walking convenience of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walking aids: ineffective width of the sidewalk, improper sidewalk pavement management, and slopes. The factors related to the sidewalk pavement management include slippery floor, uneven roads, and gaps in the floor. Finally, the factors related to slope include steep slopes and steep horizontal slopes. Improvement of sidewalk effectiveness and slopes has been frequently investigated in studies focusing on the existing wheelchair users; however, factors related to the continuous sidewalk pavement management have not been well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only the need for walking environment management has been addressed. Based on this, three proposals can be made to improve the existing walking environment projects and systems. First, roads near welfare centers and roads frequented by the mobility handicapped can be declared as designated protected areas. Second, clear management standards for sidewalk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to regularly manage sidewalks. Finally, pedestrian separation facilities on the roads should be expanded with sufficient phys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It is difficult to create a walking environment to completely improve the walking convenience of the vulnerable pedestrians using walking aids on the roads in the city. Therefore, improving the walking environment on the roads frequented by the mobility handicapped can improve the walking convenience. Pedestrian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designating a protected zone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making the sidewalks wider, and constructing a gentle slope on the road adjacent to the major facilities. However, if it is difficult to create a gentle slope, the walking inconvenience can be alleviated by installing a guide sign that allows you to make a detour using a gentle road.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risk and inconvenience caused by cars by installing a vehicle separation facility on a mixed-car road that is wide enough. Roads where pedestrians are mixed are more than five times likely to result in accidents between the vehicles and pedestrians than on roads where pedestrians are separated. Surveys have shown that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walking aids experience great inconvenience due to the vehicles. Therefor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walking aids can be enhanced by installing a pedestrian separation facility on a wide road of over 8 m to separate the sidewalk from the roadway.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at the walking environment factors that hinder the walking convenience of the mobility handicapped who use walking aids differ according to their usage. Measures to address these factors have also been sugg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