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고령환자에서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 및 위험요소분석

Title
고령환자에서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 및 위험요소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about Periimplantitis in Elderly Patients
Authors
최별이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치위생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은경
Abstract
노화에 따른 노인의 치아 상실은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는데 있어 임플란트가 점유하고 있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지만, 합병증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고령 환자는 노화에 의한 전신질환의 증가, 치유능력의 감소, 구강 위생 능력의 감소 등의 문제가 존재하여 다른 연령대에 비해 임플란트 합병증이 높게 나타나므로 고령 환자의 임플란트 주위 질환에 대해 임상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고령 환자의 환자 요소와 임플란트 요소를 분석하여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임플란트 주위염과 연관성이 있는 환자 요소와 임플란트 요소를 평가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 No. EUMC 2021-10-029)의 승인을 받아 진행되었다. 201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10년 동안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치과진료부 치주과에 내원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보철 수복을 시행한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 총 265명(661개 임플란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의료 기록과 치과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나이, 성별, 흡연 여부, 치주질환 기왕력, 전신질환은 환자 관련 요소로 분류하였고 임플란트 식립 위치, 무치악 여부, 임플란트 종류, 임플란트 길이, 임플란트 직경, 수술 단계,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GBR)시행 여부, 연결부 형태, 대합치 종류, 임플란트 인접치의 존재 여부는 임플란트 관련 요소로 분류하였다. 환자 관련 요소와 임플란트 관련 요소에 대한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 및 임플란트 주위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26.0(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p<0.05 미만일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시행하였고, 기술통계의 경우 환자의 특성에 따라 대상자 수와 백분율(%)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임플란트 주위염과 연관성이 있는 변수의 평가를 위해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Un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고,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임플란트 주위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들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에 포함하여 위험도(odds ratio, V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VCI)을 산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 결과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병률은 환자 수준에서 15.85%, 임플란트 수준에서 11.9%로 나타났다. 임플란트 주위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자 관련 요소는 고혈압, 골다공증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임플란트 관련 요소에서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구치부), 수술 단계(2단계), 임플란트에 인접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환자 관련 요소에서 고혈압의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약 2.720배(95% CI 1.582-4.678), 골다공증의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약 2.729배(95% CI 1.294-5.758)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 위험이 높았다. 임플란트 관련 요소에서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가 구치부인 경우 전치부보다 약 2.361배(95% CI 1.015-5.492)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 위험이 높았고, 수술 방법이 2단계인 경우 1단계인 경우 보다 약 1.908배(95% CI 1.146-3.177)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 위험이 높게 나타났으며, 임플란트 인접치가 존재하는 경우 인접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보다 약 1.730배(95% CI 1.037-2.887)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보철물 부하 기간 11개월째 처음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하였으며, 이후 임플란트 주위염의 위험도는 시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고혈압, 골다공증, 임플란트 식립 위치(구치부), 수술 단계(2단계), 임플란트에 인접한 치아의 존재 등이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임플란트 주위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요소들을 파악한다면 임플란트 주위염의 발생을 예측하여 고령 환자에서의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Purpose: There is a high prevalence of tooth loss in the elderly due to aging. Although the proportion of implants in replacing missing teeth is increasing, complications are also increasing. In particular, elderly patients have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systemic diseases due to aging, a decrease in healing ability, and a decrease in oral hygiene abili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at clinical considerations should be given to periimplant diseases in elderly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periimplantitis by analyzing patient factors and implant factors in elderly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and to evaluate patient factors and implant factors related to periimplantiti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pproval of the Bioethics Review Committee (IRB No. EUMC 2021-10-029) of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January 1, 2010 to December 31, 2020, a total of 265 (661 Implant) elderly patients aged 65 and over who visited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Dental Center, Affiliated with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laced implants and performed prosthetic restorations.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and dental radiographs. Age, gender, smoking status, history of periodontitis, and systemic disease were categorized as patient-related factors, and implant placement location, edentulousness, implant brand, implant length, implant diameter, surgical stage,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execution presence, connection type, type of opposing teeth, and presence of adjacent teeth or Implant were classified as implant-related factors.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related factors and implant-related factors were evaluated, and the prevalence of periimplantitis and factors that could affect peri-implantitis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v.26.0 (SPSS Inc., Chicago, IL, USA) program was used, and when p<0.05,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in the case of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terms of the number and percentage (%)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To evaluate variables related to periimplantitis, un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ing periimplantiti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dds ratio (V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VCI) were calculat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periimplantitis was 15.85% at the patient level and 11.9% at the implant level. As for the patient-related factors that can affect periimplantitis, hypertension and osteoporosis and presence of teeth adjacent to implants had a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present (p<0.05). In patient-related factors, the risk of periimplantitis was about 2.720 times (95% CI 1.582-4.678) with systemic disease of hypertension and about 2.729 times (95% CI 1.294-5.758) with systemic disease of osteoporosis. In terms of implant-related factors, the risk of periimplantitis was approximately 2.361 times higher (95% CI 1.015-5.492) than in the anterior region when the implant was placed in the posterior region, and when the surgical method was stage 2, it was about 1.908 times (95% CI) higher than that in the first stage. 1.146-3.177), the risk of periimplantitis was high, and the presence of adjacent teeth showed a higher risk of periimplantitis by 1.730 times (95% CI 1.037-2.887) than those without adjacent teeth. The first periimplantitis occurred 11 months after the prosthesis loading period, and thereafter, the risk of periimplantitis gradually increased with tim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hypertension, osteoporosis, implant placement location (posterior region), surgical stage (stage 2), and presence of teeth adjacent to impla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idence of periimplantitis in elderly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the risk factors of elderly patients that can affect periimplantitis are identified, it will be helpful in preventing periimplantitis by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periimplantit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치위생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