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9 Download: 0

약물관련 악골괴사와 괴사를 동반한 악골골수염의 발생위험요인 비교분석

Title
약물관련 악골괴사와 괴사를 동반한 악골골수염의 발생위험요인 비교분석
Other Titles
Comparative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MRONJ) and osteomyelitis with necrosis : Retrospective study
Authors
이영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플란트치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종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악골괴사증(Osteonecrosis of jaw, ONJ)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의 임상적 특징을 성별, 연령별, 발생위치별로 파악해보며, 약물과 관련한 악골괴사증(medication-related ONJ, MRONJ)이 가지는 특징, 복용중인 약물의 종류와 악골괴사를 일으킬 수 있는 약물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약물관련 악골괴사의 알려진 위험요인과의 연관성을 파악해보는 후향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9년 3월 1일부터 2021년 3월 31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서울병원 구강악안면외과를 내원하여 악골괴사증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54명의 외래기록지, 방사선기록, 수술기록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8.0 program (Chicago, IL, USA )을 이용하여 성별, 연령, 임상증상, 동반한 전신질환, 복용중인 약물종류, 발생부위, 치과적 위험요인, 수술방법, 수술횟수, 병리검사결과를 백분율산출 및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골흡수억제제의 투여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환자를 구분하고, 각 군의 특징을 카이제곱검정, 피셔정확검정, T-test를 시행하였다. 약물관련 악골괴사 발병 위험요인 분석에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통계학적 분석은 유의수준 p<0.05에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019년3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악골괴사증으로 이대서울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수술을 받은 환자는 여자 43명, 남자 11명 (총54명)으로 여자가 많았고 시험군은 여자35명, 남자 3명(총 38명), 대조군은 여자 8명, 남자 8명(총 16명)으로 시험군에서 여자가 더 많았다. 전체 환자 중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해 약물관련 악골괴사일 위험이 11.667배(95% CI, 2. 518-54.050) 크고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했다(p<0.05). 2. 악골괴사 환자의 평균연령은 75.59세였고 시험군은 77.79세(±8.34), 대조군은 70.38세(±15.19)로 시험군이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강한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p=0.082). 나이가 1세 증가 시 약물관련 악골괴사에 걸릴 위험은 1.062배(95% CI, 1.005-1.123)였다(p=0.033). 3. 동반된 전신질환으로는 두 군 모두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중추신경계질환의 순이었고 당뇨를 제외한 전신질환은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당뇨가 있는 악골괴사 환자가 약물과 관련되어 발생할 위험은 8.750배 (95% CI, 1.041-73.546)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046). 4. 구강내에 발생부위는 두 군 모두 전치부에 비해 구치부에서 높게 발생하였고(p=0.253) 상악에 비해 하악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고 두 군 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964) 5. 악골괴사가 나타나기 전에 선행된 치과치료로는 시험군은 임플란트가 14명(35.9%), 발치가 12명(31.6%), 의치가 5명 (13.2%), 치주염 4명(10.5%), 자발적 발생이 3명(7.9%)의 순이었고, 대조군은 임플란트 관련이 7명(43.8%), 의치가 6명(37.5%), 발치가 2명(12.5%), 치아가 1명(6.3%) 이었다. 발치로 인해 약물관련 악골괴사가 생길 위험은 3.231배(95% CI, 0.632-16.520)(p=0.159), 치아는 1.765배(95% CI, 0.182-17.149)(p=0.624)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6. 방선균(Actinomyces)이 검출될 경우 약물관련 악골괴사로 발생할 위험은 4.655배(95% CI, 0.538-40.284)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162). 7. 골흡수억제제를 투여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가 총 38명으로 전체의 70.37%였고 치료약물로는 비스포스포네이트가 14명 (35.9%), 데노수맙이 7명(17,9%)이었고 비스포스포네이트중에서는 졸레드로네이트계(10.3%)가 가장 많았다. 8. 치료방법은 부골적출술과 동시에 rhBMP-2를 적용하는 수술적 치료방법이었고, 87.0%에서 1회의 수술로 회복되었고 시험군과 대조군간의 수술횟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p=1.000) 9. 시험군의 주요한 발생요인별 상관관계를 보면 나이, 당뇨, 발생부위, 발치로 보정을 하여도 여자가 남자보다 약물관련 악골괴사에 걸릴 위험은 13.527배(95% CI, 2.122-86.238)였다(p=0.006). 다른 요인을 보정해도 당뇨환자가 약물관련 악골괴사에 걸릴 위험은 11.098배(95% CI, 0.854-144.276) 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p=0.066) 이상의 결과로 악골괴사증 환자에서의 공통되는 특징을 살펴보았고, 70.37%에서 골대사에 관련된 약물을 복용 중에 골괴사가 나타났으며 임상증상, 전신질환, 발생부위, 치과치료의 위험요인에 따른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operated on Osteonecrosis of jaw (ONJ) by gender, age, and location of occurrence, and to compare and analyze with MRONJ and osteomyelitis of jaw bone necrosis. It is also a retrospective study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ype of drug being taken and the drug that can cause MRONJ an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with known risk factors of MRONJ. Material &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outpatient records, radiation records, and surgical records of 54 patients who visited the oral and facial surgery department of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Seoul Hospital and had the surgery of Osteonecrosis of jaw from March 1, 2019 to March 31, 2021.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bone absorption inhibitors,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MRONJ group and control group.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based on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8.0 program (Chicago, IL, USA) and chi-square test, Fisher's effect test, and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p<0.05.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more female patient than male patient in Osteonecrosis of jaw and in the MRONJ group. The Odds Ratio for female MRONJ patient group was 11.667 times higher (95% CI, 2.518-54.050) than that of male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2.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ith osteonecrosis was 75.59 years (±11.21 SD), 77.79 years (±8.34 SD) in the MRONJ group and 70.38 years (±15.19 SD) in the control group. (p=0.082). The Odds Ratio for MRONJ for a 1-year increase in age was 1.062 (95% CI, 1.005-1.123) (p=0.033). 3. Patients of Osteonecrosis of jaw with diabetes had 8.750 times of the Odds Ratio for MRONJ (95% CI, 1.041-73.546),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46). 4. Osteonecrosis occurred higher in the posterior region than in the anterior region and more in mandible than in maxilla. (P=0.964). 5. 38 patients who had received bone resorption inhibitors accounted for 70.37% of patients with osteonecrosis. Bisphosphonate was used in 14 patients (35.9%) and denosumab was used in 7 patients (17,9%). Among bisphosphonates, zoledronate was the most common. 6. The Odds Ratio for woman to get MRONJ was 13.527 times higher (95% CI, 2.122-86.238) than man, even after adjusting for age, diabetes, site of occurrence, and tooth extraction. (p=0.006). The above results examined common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Osteonecrosis of jaw, and many patients appeared while taking bone metabolism-related drugs, showed association according to clinical symptoms, systemic disease, oral lesions, and risk factors for dental treat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플란트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