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5 Download: 0

Parental calling and gender of parents modulate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Title
Parental calling and gender of parents modulate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uthors
정지유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Parents struggle with stress when the demands of childrearing exceed their resources and capacity to cope. Particularly, as the COVID-19 pandemic persists, the increased level of parenting stress poses a major risk factor for depression.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both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ir impacts on depression. Building upon previous research on career calling, the present study aimed to test parental calling as a protective factor that can buffer the link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Parental calling is defined as individuals’ meaning and belief system that allows one to live a purposeful and fulfilling life as a parent through a reinterpretation of their own daily life experiences. Knowing that mothers and fathers encounter somewhat different types of demands in childrearing, parental calling may have a different buffering effect on depression by the gender of parents. Taken together, the current study was set out to examine whether parental calling can play as a buffer in parenting stress-depression relation and whether it is further moderated by parents’ gender. Six hundred and nineteen parents (fathers: 314, mothers: 305) who are under the age of 60 and rearing at least one child participated in an online questionnaire study. The proposed moderated moderation, a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parenting stress, parental calling, and parents’ gender on depression, was tested using PROCESS macro model 3 (Hayes, 2013).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wa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calling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in mothers on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were significantly benefitted by a heightened sense of parental calling whereas such beneficial effect of parental calling was absent in fathers. The current study revealed that parental calling can work as an effective moderator for negative outcomes of parenting stress. Particularly, depending on how parents conceptualize their parenting roles and how much they are involved in childrearing, the benefits can be more evident as observed in the mothers. This study offers new insight into the role of parental calling and its application to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interventions and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본 연구는 부모가 경험하는 양육 스트레스에 주목하여, 부모 소명이 부모가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우울의 관계를 완화할 수 있는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그리고 이러한 부모 소명의 조절효과가 부모의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부모 소명은 부모라는 역할에 대해 부모 역할을 이행하고 달성할 운명을 지니고 있다고 믿는 한 개인의 인지적 신념으로, 이는 부모가 양육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마주하는 양육 경험을 재해석하여 열정과 정체성을 지닐 수 있도록 해주는 개념으로 여겨진다. 가정 내에서 부와 모가 양육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마주하는 세부적인 과업과 어려움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부와 모의 역할수행의 맥락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부모 소명이라는 개인의 양육 역할에 대한 인지적 신념의 완화효과 또한 상이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한 명 이상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만 60세 미만의 부와 모를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총 619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 소명, 부모의 성별이 가지는 삼원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조절된 조절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 결과에 따르면 양육 스트레스, 부모 소명, 부모의 성별 간 삼원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여 성별에 따른 부모 소명의 상이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부모 소명의 완화효과는 부와 모 중 어머니에서만 유의하였다. 반면, 아버지에게는 부모 수명의 완화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양육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부모 소명이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를 완화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효과가 부모의 성별에 따라 상이한지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 소명이라는 부모 역할에 대한 개인의 신념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를 완화하는 긍정적 자원임을 밝혔다. 또한, 부모 소명이라는 긍정적 자원이 모두에게 천편일률적으로 효과적인 자원이 아니며, 특히 어머니에게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개인 내적 자원임을 밝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