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4 Download: 0

중국 내 치매 노인 대상 음악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Title
중국 내 치매 노인 대상 음악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Other Titl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Music Intervention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China
Authors
Wang, Qianyi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내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음악을 활용한 중재 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과 음악 중재의 전반적인 적용 상황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중국 내 치매 노인 대상 음악치료 중재의 임상적 근거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포함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총 45편의 학술지 연구를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비뚤림 평가를 위해 Risk of bias 검증 도구를 이용하였다. 또한, 중재 영역별 음악 중재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중재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의 전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중국 내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음악 중재 연구의 연도별 현황의 경우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2016년 이후 등재된 연구는 전체 연구 중 81%를 차지하며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중재 연구의 중재 대상을 살펴보면, 참여자들의 평균 연령대는 60~80대(84%)로 확인되며, 알츠하이머형 치매 대상(58%)에 집중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재 목표를 분석한 결과, 연구의 종속 변인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정서 영역과 인지 영역을 혼합적 목표로 수행한 연구(31%)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재의 적용 현황을 살펴보면, 중재 방법을 중심으로 음악치료 연구와 음악 보조치료 연구를 나눠 분석하였다. 세부적 중재 방법에 따른 분석에 따르면 음악 감상이 활용된 연구 13편(29%)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혼합적 활동이 활용된 연주가 12편(27%)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음악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치매 노인의 전반적 인지 기능은 음악 중재가 적용된 실험군이 대조군과 비교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치매 노인의 일상생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음악 중재가 적용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 중재를 활용한 실험군이 음악 중재를 활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정서 영역에서 우울과 초조 행동 조절에 큰 효과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중국 내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중재 연구에서는 복합적 중재 방법이 전체 중 63%로 확인되며, 해당 연구의 중재 효과의 유무를 확인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문헌 분석에서는 연구자들의 낮은 전문성과 음악치료에 대한 이해와 임상 현장에서의 음악 활용 기술 부족으로 인해 감상 활동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다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중국에서는 음악치료가 전문적인 치료적 접근으로 이뤄지기 위해 더 많은 음악치료 전문가가 필요하며, 음악치료학을 전문적으로 교육받은 공인 음악치료사가 음악 중재 연구를 진행하여 음악치료 기법과 임상적 근거를 성립해 나가야 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중국 내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음악 중재 연구에 대한 고찰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연구와 관련된 특성과 시사점을 함께 기술함으로써 중국 내 음악치료의 연구와 임상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nd the overall application status of music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China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45 academic journal studi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Risk of bias verification tools were used to evaluate the bias of the study.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by intervention are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intervention effect,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Looking a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the annual status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conducted on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China can be seen to increase steadily from 2012 to 2021. In particular, studies registered after 2016 accounted for 81% of all studies, showing a significant increase. Looking at the intervention subjects of the intervention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age range of the participants was in their 60s to 80s (84%), and that they were concentrated on Alzheimer's dementia (58%).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ention goal, various 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were found, and the study (31%) that performed the emotional and cognitive areas as a mixed goal was the most. Next, looking at the application status of intervention, music therapy studies and music assistance therapy studies were analyzed separately, focusing on the inter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detailed intervention method, 13 studies (29%) using music listening were the most, followed by 12 (27%) using mixed activities. Finally, as a result of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the overall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music interven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music intervention had a greater effect on controlling depression and nervous behavior in the emotional domain than the control group without music intervention. On the other hand, in a music intervention stud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China, complex intervention methods were identified as 63% of the total, and there was a limit to confirming the intervention effect of the study. In addition, in literatur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many researchers' low expertise, understanding of music therapy, and lack of music utilization skills in the clinical field are mainly focused on listening activities. In China, more music therapy experts are needed to achieve a professional therapeutic approach, and a certified music therapist specialized in music therapy should conduct music intervention research to establish music therapy techniques and clinical ground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to the research and clinical sites of music therapy in China by analyzing music intervention studies in the past 10 years from various angles and describing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related to the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