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5 Download: 0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내재화문제의 관계에서 자기확신의 종단적 매개효과

Title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내재화문제의 관계에서 자기확신의 종단적 매개효과
Other Titles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self-affirm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alizing problem : A longitudinal study from 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Authors
안주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ajectories of the internalizing problem, the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elf-affirmation from adolescents to early adults, and the effects among variables. It aimed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these trajectories, and to establish a basi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The study used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from 3 grade in middle school to age 20. To identify differences of within-person and between-person over time, a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an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internalizing problem,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self-affirmation changed linearly over time. In detail, as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urned 20 years old, the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changed positively, the internalizing problem decreased, and the self-affirmation slowly increased. Second, the longitudinal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by adolescents and early adults on the internalizing problem was significant. At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the degree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influenced the internalizing problem initial level and rate of change across time. Third,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by adolescents and early adults on self-affirmation was longitudinally significant. The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initial level and rate of change had a longitudinal effect on the self-affirmation initial level and rate of change across time. Fourth, self-affirm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rnalizing problem, which was significant longitudinally.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the level of self-affirmation and internalizing problem had a negative relationship, and the self-affirmation rate of change had a longitudinal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the internalizing problem. Fif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affirmation was longitudinally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on the internalizing problem.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h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internalizing problem, and self-affirmation, female were more affected by the self-affirmation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on the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effect. To summarize, it was found that the more positive the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t the initial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self-affirmation and the lower the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I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changes positively as they grow, the level of self-affirmation grows faster, which affects the speed of decrease in internalizing problem.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s.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elf-affirmation on the internalizing problem from 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and self-affirmation can alleviate the internalizing problem. Through this, this study revealed the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on the internalizing problem. Implement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cusing o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self-affirmation, which are variables influencing the internalizing problem initial level and internalizing problem rate of change, can prevent the occurrence or speed up the reduction of internalizing problem. And it also suggests implication that it can be useful to focus on self-affirmation, an internal factor, than inter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were difficult to intervene.;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부터 초기 성인기까지 내재화 문제와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확신의 발달양상과 그에 따른 변인간의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었다. 이러한 발달 궤적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별 차이가 있는 지 확인하고, 이후 치료 개입에 함의를 논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시행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2차~6차 년도(중3~20세)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종단자료에서 시간 흐름에 따른 개인 간 차이와 개인 내 차이를 밝히기 위해 잠재성장 모형을 적용하였고, 변인들의 변화가 성별에 따라 다른 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부터 초기 성인기까지의 각 변인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중학교 3학년에서 성인기 초기 20세가 되어감에 따라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는 긍정적으로, 내재화 문제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자기확신의 정도는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기부터 초기 성인기까지 개인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이 유의하였다. 중3 시점에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의 정도는 내재화 문제의 초기값, 변화율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청소년기부터 초기 성인기까지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 확신에 미치는 영향이 종단적으로 유의하였다. 중3 시점의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양상을 반영한 변화율은 중3 시점 자기확신의 정도와 자기확신의 변화에 종단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기확신은 내재화문제에 부적인 영향이 있으며 이는 종단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중3 시점의 자기확신의 정도와 내재화 문제의 정도는 부적 관계를 가졌으며, 자기확신의 변화정도는 내재화 문제의 변화정도에 종단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경로에서 자기확신의 매개효과가 종단적으로 유의하였다. 여섯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내재화문제, 자기확신의 경로에서 성차를 분석한 결과, 중3 시점 자기확신의 정도가 내재화 문제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학생이 더 큰 영향을 받았다. 간접효과에서는 집단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초기 시점에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자기확신의 정도가 높고, 내재화 문제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3에서 20세로 성장함에 따라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면, 자기 확신의 증가 정도가 빨라지고, 이는 내재화 문제의 감소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남녀 집단에게 동일하였으며 성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내재화 문제를 겪는 청소년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이를 완화할 수 있는 자기확신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구체적인 심리적 기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내재화 문제의 초기 수준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확신에 초점을 맞춰 예방 및 개입프로그램을 시행한다면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의 발생을 사전에 막거나 감소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여 청소년이 초기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최적의 적응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인의 정신건강을 위하여 개입이 어려운 대인관계적⦁환경적 요인보다 개인 내적 변인인 자기확신에 초점을 맞추어 개입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