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8 Download: 0

SF 영화 및 드라마의 포스트휴먼 담론 연구

Title
SF 영화 및 드라마의 포스트휴먼 담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sthuman Discourse in Hard SF Movies and Dramas
Authors
김수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혜원
Abstract
Science fiction movies and dramas express new spaces through recreating alternative spaces and provide cognitive experience through reproduced images. Through the narrative structure, characters are reproduced to carry cultural identities, and the recipient accommodates cognitive structures through images. Hard science fiction movies and dramas are symbolic in that they show the process of forming new relationships with non-human beings based on a realistic and technologically intensive society and a near-future world. Therefore, compared to other science fiction movies and dramas that are surreal but not time-constrained, the existence of posthuman is realistically expressed, and by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posthuman’existence, they present a more effective relationship and struc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production of the posthuman character's identity through the repeated structure of human relationships in hard science fiction movies and dramas. In hard science fiction movies and dramas, posthuman characters, which lead the story based on posthuman discourse, are reproduced through various types. In response, 38 hard science fiction movies and dramas will be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posthumanism, focusing on the controversy between N. Katherine Hayles and Rosi Braidotti. In the second chapter,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human characters and human characters in hard science fiction movies and drama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Greimas's behavior model and symbolic quadrilateral model as ‘carré sémiotique’. In this model, posthuman, which are reproduced independently and subjectively as new existence, are reproduced as non-subjects in the process of forming identity through relationships with humans. According to the behavior model, the characters can be divided into three behavior models: subject, object caller, recipient, helper and antagonist. Relatively, each model is connected through desire, communication, and subject. The relationship structure is typified based on the semantic action of the interrelationship. These interrelationships can be categorized into ‘relation de contratiete, contradicion, and d’implication’ based on symbolic quadrilateral diagrams. In the relationship as the subject and the object, humans try to fulfill their desires through posthuman. Therefore, when the subject's desire is realized or constrained, the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disappears. In the case of the sender and receiver, the posthuman characters can express his or her identity or perform independent actions by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human sender. posthuman characters, characterized as object by humans, want to maintain mutual relationships. However, the sender, or human characters, who are categorized as the subject, create a one-way relationship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because of their environment. Finall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donors and opponents, posthuman beings are categorized as human-centered donors and posthuman opposites,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donor posthuman characters are reproduced as another subject that helps the humans. However, it does not act decisively or directly in narrative but rather acts as a helper that supports the behavior of human characters. In the third chapter, focuses on the postcolonialism theory of Homi K. Bhabha and Prantz Fanon and discusses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human characters and human characters and the process of forming a hybrid identity. As a new existence, posthuman gain cultural identity through relationships with people in social structures. According to this theory, cultural identity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systematization or independent identit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osthuman. The former creates a relationship with humans based on the inherited data in the application and conversation of human characters. In the latter case, they express their independence, acknowledge their differences from humans, internalize them, and acquire them. However, the identity created through this process is formed by internalizing human attitudes and values through the imitation of diverse humans. This is independence without subjectivity; weakened independence ultimately results in otherizing. The hybrid identity of posthuman shows the limitation of cognitive subjective perspectives through the plurality of perspectives. When reproduced as an object of human characters, the existence of posthuman functions as tools in different directions depending on how humans use them. When the relationship is as a sender and a receiver or a subject and an object, it is ultimately created in a passive-active relationship and therefore the posthuman characters end up in a lower, dominant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autonomous identity is revealed, the posthuman characters create a new structure within itself. The posthuman system in narrative reproduction is reproduced as a social system in another space separated from human society. It is a reproduced aspect based on the fact that humans are dominant over posthuman characters, as the posthuman society is created in a different space, where human authority cannot reach. This means that posthuman characters will return to their subdominant positions. In the fourth chapter, posthuman characters are analyzed based on the object theory of Catherine Hales and Levi R. Bryant. Objects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self-productive machines and other production machines, where self-productive machines mean organisms. In the narrative, objects act in different ways through new experiences. The structural form of objects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openness and operational closure, which is meaningful in that they are based on their system and characteristics rather than on the behavior model.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posthuman is analyzed by viewing the relationship as a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rather than by distinguishing them into subjects and objects or others. Objects are related to events occurring in narrative structures. According to this theory, the posthuman characters experience events in narrative adapts to the system or reproduces itself to create new elements. Adapting posthuman characters are internalized in a way that accepts the flow of a given relationship, in which the posthuman behavior and identity formation are unidirectional and restrictive. When closed operations are performed, new things are produced from experience.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background, and system elements is the biggest cause of the change in the object. Self-generated data are continuously updated and new technologies are added. If the physical identity of an object is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is formed apar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ew nonhuman beings, each object establishes its own unique identity. Posthuman characters are repeated in that they contain alternative possibilities. They provide various possibilities for non-human existence on the premise of fictional settings and suggest ways to interact with non-human beings. The recipients of movies and dramas indirectly carry out cognitive experiences of non-human beings through images provided. In other words, images are a means of providing receptors with a sens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y form relationships with non-human beings, indicating the reality of a new society with non-human beings. Thus, with the emergence and continuation of another world becoming a topic of conversation, it is important to view the structure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ew beings in other spaces, not in the real world. ;SF 영화 및 드라마는 대안적 공간을 재현하여 새로운 공간을 표현하며 재현된 이미지를 인지적 경험으로 제공한다. 서사 구조를 통해 캐릭터들은 문화적 정체성을 지니도록 재현되며 수용자는 이미지를 통해 인지적 구성물을 수용한다. SF 장르 중 하드 SF 영화와 드라마는 현실적이고 기술집약적인 사회를 기반으로 근미래적 세계를 배경으로 하며 비인간 존재들과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상징적이다. 이에 따라 초현실적이거나 시간 제약을 받지 않는 다른 SF 장르의 영화 및 드라마에 비해 포스트휴먼의 존재 양상을 실제적으로 표현하며 포스트휴먼이라는 새로운 존재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기에 보다 효과적인 관계 및 구조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하드 SF 영화 및 드라마에서 인간과의 관계 속 반복적 구조를 통해 포스트휴먼 캐릭터의 정체성을 재현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하드 SF 영화 및 드라마에서는 포스트휴먼 담론을 바탕으로 서사를 주체적으로 주도하는 포스트휴먼 캐릭터를 다양한 유형을 통해 재현한다. 이에 캐서린 헤일즈와 로지 브라이도티의 논의를 중심으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하드 SF 영화 및 드라마 38편을 탐색하고 분석한다. 2장에서는 하드 SF 영화 및 드라마의 포스트휴먼 캐릭터와 인간 캐릭터와의 관계 유형을 그레마스의 행동자 모델 및 기호학적 사각형 분석 모델에 기초하여 경계적으로 분류 가능하다고 보고 이를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이때 새로운 존재자로서 독립적이고 주체적으로 재현되는 포스트휴먼이 인간과의 관계를 통해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주체 아닌 주체로 재현됨을 전제로 한다. 행동자 모델에 따라 ⓵주체와 대상 ⓶발신자와 수신자 ⓷원조자와 대립자 세 가지의 행동자 모델로 구분하여 캐릭터를 유형화하며 이는 각각 욕망, 전달, 주체와의 관계를 축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드러나는 상호 관계에 따른 의미 작용을 바탕으로 관계 구조를 유형화한다. 이러한 상호관계는 기호학적 사각형의 도식을 기준으로 함의관계, 모순관계, 반대 관계로 분류 가능하다. 주체와 대상의 관계에서 인간은 주체로서 포스트휴먼을 대상으로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고자 한다. 따라서 주체의 욕망이 실현되거나 제약되는 경우 대상과의 관계는 소멸된다. 발신자와 수신자의 경우 인간 발신자가 정보를 전달함에 따라 포스트휴먼 캐릭터는 정체성을 드러내거나 주체적 행동 실행이 가능하다. 인간에 의해 시스템적으로 구현되는 포스트휴먼 캐릭터는 상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지속하고자 한다. 하지만 주체로 분류되는 발신자 즉 인간 캐릭터는 자신의 상황에 따라 관계의 지속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관계가 유지되는 동안은 상호적 연결성을 지니지만 인간에 의해 관계의 방향이 정해지는 일방향성을 지닌다. 마지막으로 원조자와 대립자의 관계에서는 각각 포스트휴먼이 인간 주체의 원조자인 경우와 포스트휴먼의 대립자로서 인간이 관계하는 경우로 유형화가 가능하다. 이때 원조자인 포스트휴먼 캐릭터는 인간 주체를 돕는 또다른 주체로 재현된다. 하지만 서사에서 결정적이거나 직접적인 행동을 수행한다기 보다는 인간 캐릭터의 행동을 보조하는 조력자 역할을 한다. 3장에서는 호미 바바와 프란츠 파농의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포스트휴먼 캐릭터가 인간 캐릭터와 관계 맺는 과정에서의 의미를 분석하고 혼종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새로운 존재인 포스트휴먼은 사회 구조 속 인간과의 관계에서 문화적 정체성을 획득한다. 이때 포스트휴먼의 유형에 따라 문화적 정체성은 시스템화로 인해 정형화 되거나 주체적 정체성을 발현하는 두 유형으로 분류된다. 전자의 경우 인간 캐릭터의 응시와 담화에 의해 내재되어 있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간과 관계한다. 후자의 경우 주체적 정체성을 발현하여 인간과 다른 자신의 차이를 인정하고 내재화 하여 정체성을 체득한다. 하지만 이때의 정체성은 인간과의 차이를 통한 흉내내기를 통해 인간의 태도 및 가치관을 내재화 하여 형성된다. 이는 주체 없는 주체성이며 약화된 주체성은 결국 타자화로 귀결된다. 포스트휴먼이 가지는 혼종적 정체성은 관점의 복수성을 통해 인지의 주관적 관점에 대해 제한적이다. 인간 캐릭터의 대상으로 재현되는 경우 인간의 사용 방향에 따라 포스트휴먼 존재는 상이한 방향으로 도구적 기능을 한다. 발신자와 수신자의 구조나 주체와 대상의 관계를 지니는 경우 결론적으로 능동과 수동의 관계로 이어지며 이때 포스트휴먼 캐릭터는 하위 지배적 위치에 존재한다. 또한 자율적 정체성이 드러나는 경우 이때의 포스트휴먼 캐릭터는 포스트휴먼 내 구조를 새롭게 생성한다. 서사 재현에서 포스트휴먼의 체계는 인간 사회와 장소적으로 분리된 또 다른 공간에서의 사회 체계로 재현되며 인간 권력이 닿지 않는 공간에서 포스트휴먼의 사회를 따로 생성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인간이 포스트휴먼 캐릭터에 비해 상위 지배적 위치에 존재함을 전제하는 재현 양상임을 보여준다. 즉 포스트휴먼 캐릭터가 인간의 하위 지배적 위치로 재현되는 양상으로 회귀됨을 함의한다. 4장에서는 캐서린 헤일즈와 레비 브라이언트의 객체 이론에 근거하여 포스트휴먼 캐릭터를 분석하고자 한다. 객체는 자기생산적 기계와 타자생산적 기계로 구별 가능한데 이때의 자기생산적 기계는 유기체를 의미한다. 서사에서 객체는 새로운 경험을 통해 작용 방식을 달리한다. 객체는 구조적 개방성과 조작적 폐쇄성의 특성에 따라 객체의 구조 형태에 차이를 보이며 이는 앞서 행동자 모델로 유형화 하고 관계를 분석한 식민주의적 분석보다 객체 자체의 체계 형태 및 특징을 기준으로 분석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이에 인간과 포스트휴먼의 관계를 앞선 주체와 대상 혹은 타자로 나누어 분석하기 보다 자체의 특성과 관계로 개념화 되는 객체로 전환하여 분석한다. 객체는 서사 구조 내에서 이루어지는 사건을 요소로 관계한다. 이때 포스트휴먼 캐릭터는 서사 속에서 사건을 경험하여 체계에 순응하거나 자신을 재생산하고 새로운 요소를 생성한다. 순응하는 포스트휴먼 캐릭터는 주어진 관계에서 흐름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내재화가 이루어지며 이때 포스트휴먼의 행동 양식이나 정체성 형성은 일방향적이면서도 제한적인 상호작용을 보인다. 폐쇄적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경험을 통해 새로운 것을 생산한다. 이때 객체에게 가장 큰 변인을 주는 것은 환경과 배경 및 체계 요소의 관계이다. 자기 생성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추가하는 등의 재현 양상을 보인다. 객체의 물질적 정체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인간과 새로운 비인간 존재자의 관계를 벗어나 객체끼리의 관계가 형성되면 객체는 각각의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한다. 즉 각각의 객체가 지니는 내부체계인 물질성과 객체가 구조 속에서 경험하는 외부체계인 문화성을 중심으로 포스트휴먼의 새로운 관계와 구조의 가능성에 대해 분석 가능하다. 포스트휴먼 캐릭터는 대안적 가능성을 함의한다는 점에서 반복적인 이미지로 생산된다. 포스트휴먼 캐릭터는 허구적 설정을 전제로 비인간 존재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하며 인간에게 비인간과의 관계 방법을 제시한다. 영화 및 드라마의 수용자는 제공되는 이미지를 통해 비인간에 대한 인지적 경험을 간접적으로 수행한다. 즉 이미지는 수용자들에게 비인간 존재자와의 관계 형성 방향을 감각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수단이며 비인간과의 새로운 사회의 실재를 보일 수 있다. 이처럼 또다른 세계의 등장과 지속이 이슈가 됨에 따라 인간과 현실 세계가 아닌 다른 공간에서의 새로운 존재자들의 관계에 집중하여 구조를 조망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