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7 Download: 0

부정적 정서신념 및 정서조절곤란이 지속비애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정적 정서신념 및 정서조절곤란이 지속비애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Associations between Negative Beliefs about Emotions,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and Prolonged Grief : Testing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upport seeking
Authors
이수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사랑하는 사람이 떠난 현실을 마주하는 일은 개인 내면에 많은 저항과 함께 강렬한 감정의 파도를 불러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사람들은 때로는 강렬한 비통함에 잠식되기도, 또 때로는 이로부터 벗어나 휴식취하기를 반복하면서 고인의 죽음을 자신의 삶에 통합시켜간다. Stroebe & Schut의 이원과정모델 (Dual Process Model)에 의하면 애도는 단일하고 정적인 과정이 아닌, 상실에 직면하고 이와 관련된 생각과 감정을 정리하는데 초점이 맞춰진 상실지향 상태와 고인이 없는 새로운 현실에 대처하는데 초점을 맞춘 회복지향 상태가 번갈아 경험되는 역동적인 대처 과정이다. 즉, 둘 중 어느 한 상태에 있는 것이 적응적인 또는 ‘올바른’ 애도가 아니라, 상황과 때에 따라 두 상태를 오고가는 것이(oscillate) 자연스럽고 적응적인 현상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동요(oscillation)에 유연하게 반응하며 애도의 과업들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자신의 목표와 상황적 요구에 맞게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는데, 이에는 정서에 대한 개인의 신념이 주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사별 후 홍수처럼 밀려오는 여러 강렬하고도 낯선 감정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이는지에 따라 그에 대한 정서적 반응과 더불어 정서조절의 모습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병리적인 비애 반응을 뜻하는 지속비애장애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도 정서적 경험에 대한 신념 및 정서 조절의 중요성이 제기된 바 있으나, 이들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비애에 대한 부정적 정서신념과 정서조절곤란의 효과를 확인하여, 치료 장면에서의 개입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기-조절능력이 저하됐을 때 개인은 외부의 지지와 돌봄에 의지하여 자신의 정서적 고통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사회적 지지를 추구하는 정도와 효과는 개인의 특성 뿐 아니라, 상황적 맥락과 사회적 반응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별 상황에서의 사회적지지 추구가 정서조절 곤란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을지 확인 할 필요가 있다. 정리하면, 본 연구의 목적은 부정적 정서신념과 부정적 정서신념과 지속비애 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사회적 지지추구가 조절하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친밀한 대상을 사별로 잃은 성인 310명 (남 155명, 여155명)의 부정적 정서신념, 정서조절곤란, 사회적 지지추구, 지속비애 증상을 측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Mplus 7.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정적 정서신념, 정서조절곤란, 지속비애 증상 사이에는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사회적 지지추구는 부정적 정서신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정적 정서신념과 지속비애 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조절 곤란은 두 변인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가 사회적 지지추구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한 결과, 부정적 정서신념이 정서조절곤란을 매개로 지속비애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사회적 지지추구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사별을 경험한 사람들의 정서 신념이 부정적일수록 정서조절곤란의 수준이 증폭되고, 그 결과 지속비애 증상이 악화되지만, 지속비애를 악화시키는 정서조절곤란의 영향을 사회적 지지추구가 조절하지는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지속비애를 정서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지속비애 치료에 있어 인지적인 접근 뿐 아니라 정서조절을 위한 내적 자원을 증진시키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Negative beliefs about emotion and its effect on emotion regulation has recently been recognized as a key mechanism of various psychopathology following stressful life events. Despite the fact that the emotional distress is a major aspect of Prolonged Grief Disorder (PGD),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how emotion regulation plays a role in development of PG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difficulties in regulation emotion mediates the link between negative beliefs about emotion and symptoms of PGD, and whether support seeking is effective in dealing with this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that leads to PGD. A sample of 310 adults (155 male, 155 female), bereaved at least 6 months previously, filled out questionnaires about negative beliefs about emotio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upport seeking and symptom levels of PGD.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established, having emotion regulation difficulty and support seeking as a mediator and moderator respectivel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the structural model of moderated mediation was tested with Mplus 7.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beliefs about emotion,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and PGD. For support seeking,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beliefs about emotion only. Second,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mediated the link between negative beliefs about emotion and PGD. Third, support seeking was no significant moderator in this moderated mediation model, meaning that it does not moderat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difficulty. This study provides initial evidence that those who have negative beliefs about emotion suffers from increased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during bereavement which then can lead to aggravation of PGD symptoms. Also, the result suggests that seeking support in times of bereavement may not always be beneficial for bereaved individuals with PGD; rather, they may benefit from therapeutic interventions that promotes self-regu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