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8 Download: 0

대학생의 핵심자기평가가 진로적응성을 통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학생의 핵심자기평가가 진로적응성을 통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Negative/Positive eval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evaluation and Career Stress over Career Adaptability amo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uthors
정수원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변화하는 사회에서 성공적인 진로를 위해 요구되는 개인적 자원인 진로적응성을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확인하고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들을 탐색해 궁극적으로 진로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데 있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대학생이 지각한 핵심자기평가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진로적응성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동시에 한국의 사회문화적 분위기를 반영한 부정적,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핵심자기평가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가지고 핵심자기평가와 진로적응성, 진로스트레스 및 부정적/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수도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28세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배포하였다. 그 결과 총 248부의 설문지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본 후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어 측정 모형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고,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시해 모형 및 주요 변인간 경로계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치에서 성별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핵심자기평가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진로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진로불확실성, 취업압박, 정보부족은 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적응성에서는 남녀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주요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남녀 집단 별로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남녀 공통적으로 핵심자기평가는 진로적응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 관계에 있었다. 진로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외적, 내적갈등은 남녀 진로적응성과 유의하지 않은 상관을 보였다. 동시에 남녀 집단에 따른 차이도 존재했다.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진로적응성의 관계는 여자 집단에서만,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는 남자 집단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측정모형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연구 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심자기평가가 각 변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였다. 진로적응성이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유의하였다. 그러나 부정적/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에서도 핵심자기평가가 진로적응성을 거쳐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간접효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넷째, 다집단 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남자 집단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남자 집단에서는 정적으로, 여자 집단에서는 부적으로 나타나며 성차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생이 지각한 핵심자기평가는 부정적/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낮추고 진로적응성을 높이는 적응적 효과를 가져왔다. 적응 자원인 진로적응성은 다시 진로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적응 결과를 만들었다. 하지만 남녀 집단별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세분화된 진로 개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진로 이행기에 있는 한국의 대학생에 대해 진로 적응 모형의 유의성과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의 중요성을 밝혀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This study aimed to reduce career stress by identifying career adaptability, a personal resource required for successful careers in a diversifying society, and exploring variables expected to affect the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was hypothesized that career adaptability would mediate the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career stress. At the same time, it was expected that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ons reflecting the socio-cultural atmosphere of Korea would mediate the effect of core self-evaluation on career adaptability again. To examine hypothesis of the study, a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ing core self-evaluation, career adaptability, career stress, and fear of negative/positive evaluation was distributed to undergraduate students aged 18-28 and enrolled in a university in Seoul and Gyeonggi. A total of 24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examining demographic factors of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and the bootstrapping step for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ere followed. Finally, a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model and path coefficient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descriptive statistics of major variabl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mean of core self-evaluation and fear of positive evaluation of 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women. On the other h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mong the subscales of career stress, Career Ambiguity, Employment Pressure, and Lacking Information were found to be higher for women.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was found in career adaptability. Second, a correlation analysis for each male and female group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The core self-evalu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daptability,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or both sexes. Among the subscales of career stress, External and Internal conflicts showed in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areer adaptability in both sex groups. At the same tim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was only revealed in fema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career str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in males. Third, conduct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model showed good fit statistics, and the direct effect of the core self-evaluation on each variable was significant. Also the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on career stress were significan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fear of negative/positive evaluation on career adaptability were not significant. Moreover in the bootstrapping step for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nly indirect effect of the core self-evaluation on career stress mediated by career adapt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in multi-group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were found in the model. The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career adaptability was significant only in the male group. In additio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positivly affected career adaptability in the male group and negativly in the female group, but both were not significant at the p<.05 level. To conclude, it can be seen that the core self-evalu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by enhancing career adaptability, while alleviating the fear of negative/positive evalu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reduces career stress. It suggests that career adaptation model has its own power explaining career construction of Koreans. Furthermore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career adaptability implies detailed intervention according to gender is necessary. This study provide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career adaptation model in Korea and revealed that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interventions according to gender in helping undergraduates who considers his/her own career and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