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공공도서관의 지역 구술 활성화 방안

Title
공공도서관의 지역 구술 활성화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revitalizing the regional oral history in public libraries : Focused on Gyeonggi-do Public Library
Authors
정세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연경
Abstract
인간의 역사를 풍부하게 만들고 있는 구술사는 보통의 평범한 삶에 대한 역사를 포착하는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지역사 연구에 필수적인 방법론이 되고 있다. 지역의 이야기를 담은 구술자료들은 지역민들이 지나온 삶을 보여줌과 동시에 지역사의 한 부분을 생생하게 설명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한편, 지역 속에 존재하는 지역 중심기관인 공공도서관은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지역자료의 수집과 보존, 활용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지역 구술을 통하여 정기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지역의 역사성을 보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 내 공공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지역사회 거점으로서의 공공도서관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지역 및 지역사 연구에 사용된 구술사, 그리고 공공도서관이 중심이 된 구술사에 관한 국내외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국외에서 공공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지역 구술을 진행한 사례로 미국의 Way Public Library, 미국의 Parchment Community Library, 호주의 State Library of New South Wales를 조사하였다. 그다음에는 국내에서 공공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지역 구술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6개 경기도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다음에 본 연구는 경기도 내 공공도서관의 지역 구술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해 경기도 내에서 지역 구술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6개의 공공도서관과, 지역 구술을 시행한 도서관과 비슷한 규모를 가지고 있지만 지역 구술을 시행하지 않은 6개의 공공도서관을 선정하여 총 12개의 도서관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1차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11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설문 응답자 중 면담에 응한 9명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2차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 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을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요소에 대해서 대체로 ‘매뉴얼’, ‘인력’, ‘예산’, ‘인식’, ‘협력 기관’에 동의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심층 면담은 1차 설문 결과에 따라 수정 및 보완한 질문지 바탕의 반구조화된 형태로 진행되었고, 상황이나 수집된 자료의 정도에 따라 2~3차례 면담을 시행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하여 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 활성화에 필요한 사항에 대한 담당자의 구체적인 의견과 생각을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정책 유관 기관, 공공도서관, 그리고 타 기관의 역할 및 과제를 구분하여 공공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우선 도서관 정책 유관 기관은 공공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국의 공공도서관에 지역 구술을 통한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가능성과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공공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에 관한 가이드라인 배포가 필요하다. 도서관에서의 지역 구술은 지역주민과의 관계 형성을 통한 만남의 성격이 강하며, 지역의 평범한 이야기를 비전문가가 기록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구술사 매뉴얼보다 도서관 환경에 적합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둘째, 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에 관한 사서 대상 교육 개설이 필요하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정기적인 사서 대상 교육을 통해 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에 관한 과목을 개설하여 도서관에서의 지역 구술이 가능하다는 것을 공표해야 한다. 셋째, 현황 및 사례 공유를 통한 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 홍보가 필요하다. 전국도서관대회와 같은 행사를 통하여 지역 구술이 도서관 활동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 널리 알려질수록, 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그다음으로 공공도서관은 지역 구술 활동이 지역의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고 정체성을 확립하며 지역 중심기관으로서의 도서관을 활성화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지역을 위한 활동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시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의 단계적 시행을 제안하였다. 경기도 지역 구술 시행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바탕으로 지역 구술을 ‘구술 관련 강좌’, ‘구술생애사업’, ‘지역구술사업’으로 구분하였고, 지역 구술에 뜻이 있는 도서관이 먼저 시도해보기에 추가 인력 및 예산의 투입 없이 진행 가능한 ‘구술 관련 강좌’가 현실적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또한, 이는 추후 도서관 지역 구술사업으로의 확장을 고려해볼 수 있는 파일럿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둘째, 구술자료의 활용을 통한 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 홍보가 필요하다. 현재 구술자료의 활용은 단행본 발간에 국한된 모습을 보이는데 음성 및 영상자료의 활용이 활발해진다면 이용자에게 더욱 친화적이고 직관적인 구술자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을 위해서 협력 기관의 모색이 필요하며, 구체적인 협력 기관으로는 학교와 지역 공공기관을 제시하였다. 국내외적으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을 때, 학생 주도의 지역사 탐구 프로젝트에 있어 지역 구술은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검증이 이루어진 바이다. 따라서 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에 있어 학교와의 연계는 도서관과 학교,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작업이며, 새로운 지역사 교육 과정의 체계를 마련하는 시도가 될 수 있다. 이어서, 시청이나 구청, 군청 등 지역 공공기관에서 주관하는 지역 구술과 도서관이 협력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 기록사업에 있어 지역민의 접근성이 높은 공공도서관이 지역 공공기관과 함께한다면 이 역시 상호 도움이 되는 작업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타 기관의 역할과 과제로는 대학에서의 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 관련 전문 강의 개설과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통한 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 활성화를 이야기하였다. 학부에서부터 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이 가진 개념과 목적 그리고 방법을 깊이 이해하게 된다면, 장기적으로 도서관에서의 지역 구술을 위한 전문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이야기 수집과 보존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지역민과 가장 가깝게 위치한 공공도서관이 지역 구술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 구술 시행 도서관의 사업 담당자의 인사이동과 함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상황으로 심층 면담 대부분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져 대면 연구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비대면 상황에서도 면담에 충실히 응해준 도서관 담당자 덕분에 연구를 마칠 수 있었으며, 국내외 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 사례와 설문과 심층 면담을 통해 국내 공공도서관 중심의 지역 구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Oral history, which enriches human history, is the most appropriate way to capture the history of ordinary life, and has become an essential methodology for regional history research. Oral materials containing regional stories are very meaningful in that they show the lives of the regional residents and at the same time vividly explain a part of the regional history. On the other hand, public libraries, which are regional institutions existing in the region,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ollecti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regional materials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reg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a way to revitalize regional oral history centered on public libraries in Gyeonggi-do. First,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y as a community base was examined, and oral histories used in regional and regional history studies, and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oral histories centered on public libraries were examined. Subsequently, as examples of regional oral history conducted by public libraries abroad, Way Public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Parchment Community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and State Library of New South Wales in Australia were investigated. Next, the cases of 6 Gyeonggi-do public libraries that had experience in regional oral history were investigated as domestic cases. Next, in this study, a total of 12 librari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by selecting 6 public libraries with experience in regional oral history in Gyeonggi-do and 6 public libraries without regional oral history experience that on a scale similar to that of a library that performed regional oral history.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first survey, 1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 secon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on 9 people who responded to the interview.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generally agree with ‘manual’, ‘manpower’, ‘budget’, ‘awareness’, and ‘partnering institution’ with respect to the elements necessary to activate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in a semi-structured format based on a question sheet that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survey, and 2~3 interviews were conduc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r the level of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specific opinions and thoughts of the person in charge on matters necessary for the revitalization of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were collected. Based on this, the roles and tasks of Institutions related to library policy, public libraries, and other institutions were divided, and a plan to promote public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was suggested. First of all, Institutions related to library policy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ublic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and present new possibilities and visions of public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to public libraries across the country. To this end, first,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guidelines for regional oral history centered on public libraries. Regional oral history in the library has a strong character of meeting through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local residents and in that ordinary regional stories are recorded by non-specialists, a more comfortable and simple guideline is needed than general oral history manuals. Second, it is necessary to open an education for librarians on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needs to publicize that regional oral history is possible in libraries by opening a course on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through regular education for librarians. Third, it is necessary to publicize the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through shar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cases. As it becomes widely known that regional oral history can be used as one of library activities through events such as the National Library Contest, the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can be expanded. Next, public libraries should constantly consider and try activities for the region, recognizing that regional oral history activities are an effective means to form a sense of community in the region, establish identity, and revitalize the library as a regional central institution. To this end, first,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implement a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Based on the case of public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that conducted in Gyeonggi-do, regional oral history could be divided into ‘oral history related lectures’, ‘oral life history’, and ‘regional oral history’. It is more suitable for libraries wanting an oral history experience to try ‘oral history related lectures’first, that could be conducted without additional manpower and budget input. Also, this can be a pilot program that can be considered for expansion to the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business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through the use of oral materials. Currently, the use of oral materials appears to be limited to the publication of books, but if the use of audio and video materials becomes more active, a more friendly and intuitive oral materials service can be provided to users. Third,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cooperative institutions for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schools and local public institutions are suggested as specific cooperative organizations. When examining previous studies at home and abroad, it has been verified that regional oral history is a very effective means for student-led community history inquiry projects. Therefore, in the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the link with the school is helpful for the library and the school, and it can be an attempt to prepare a system for a new regional history curriculum. Next, cooperation with local public institutions such as city hall, county office, ward office, and village local government was proposed. Local public institutions are currently carrying out various local archiving projects. If a public library with high accessibility to local residents cooperates in these projects, this will also help the library, local public institutions, and each other. Lastly, for universities and local governments, which are other institutions, it was proposed to open lectures on regional oral history at universities and to provide strong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for public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If students deeply understand the concept, purpose, and method of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from undergraduate, they can grow as a professional manpower for regional oral history in the library in the long term.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regional stories, and support the public library closest to local residents to conduct regional oral history activitie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face-to-face research was not carried out smoothly as most of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non-face-to-face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However, the research was completed thanks to the library staff who faithfully responded to the interview even in non-face-to-face situ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ought and derived a way to revitalize regional oral history centered on public librarie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public library-centered regional oral history,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